|
제목 | 中 정부, 희토류 관련 구조조정 진행 | |||||||||||||||||||||||||
---|---|---|---|---|---|---|---|---|---|---|---|---|---|---|---|---|---|---|---|---|---|---|---|---|---|---|
게시일 | 2016-06-14 | 국가 | 중국 | 작성자 | 석예담(톈진무역관) | |||||||||||||||||||||
中 정부, 희토류를 핵심자원으로 관리, 생산공급 조절을 위한 구조조정 진행 - 중국 전 세계 희토류 매장량 1/3 보유, 생산량 전 세계 90% 차지 - - 희토류 관련 기업을 6개로 통폐합 -
□ 중국은 전 세계 유통 희토류의 90%를 공급하는 주요 생산국
자료원: 바이두 백과(百度百科)
○ 희토류는 첨단장비와 전자제품의 필수소재로 쓰이면서 주요 자원으로 등장 - 자원의 희소성과 공급의 불안정으로 인해 전 세계 국가들이 안정적인 물량 확보를 위해 노력 중 - 2015년 희토류 가격이 계속 치솟자 세계무역기구(WTO)에서 중국의 희토류 수출 쿼터를 문제삼기도 했으며, 중국은 희토류 수출 쿼터를 폐지
○ 중국은 희토류를 ‘석유’에 비유하면서 국가 핵심자원으로 관리 -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2015년 기준 전 세계 희토류 매장량은 9500만 톤. 이 중 중국 내 매장량이 3600만 톤(전 세계 36%) - 현재 전 세계 유통 희토류 중 중국산 희토류가 90% 차지
○ 중국 정부는 장시성과 간저우에 총 매장량 76만 톤의 희토류 채굴지대 11개소 개발 - 연간 4만 톤 분리 생산 가능한 17개 희토류 분리공장과 연간 1만8000톤 생산 가능한 9개 희토류 압연공장 보유 - 그 중 간저우는 이온 흡착형 희토류 매장량이 가장 많은 지역
희토원소별 사용 분야
○ 중국은 네이멍구 지역을 중심으로 60년 전부터 희토류 광산을 개발해왔으나, 1990년대 이후에 수요가 급증하며 중요 자원으로 급부상 - 중국 내 희토류 산업은 1990년대 이전 소규모 영세기업이 개발을 주도하며, 현재 생산업체 간 경쟁이 심화된 상태 - 중국 정부는 주요 자원인 희토류 관린 강화를 위한 생산업체 구조조정에 착수
□ 희토류, 생산업체 간 심화에 따른 수출단가 하락 문제 발생
○ 2016년 중국의 희토류 수출물량은 전년대비 10% 증가한 반면, 수출 금액은 오히려 감소 - 중국 해관총서에 따르면, 올해 1~5월 중 희토류 수출물량은 2만1300톤으로 전년동기대비 9.7% 증가 - 특히 5월 수출량은 3232톤으로 지난해 같은 달(1597톤)보다 2배 이상 증가 - 올해 1~5월 중 수출액은 1억9000만 달러에 달해 전년동기대비 6.7%가 감소 · 중국의 희토류 주요 생산지인 네이멍구 지역은 올해 상반기에 2000톤을 수출해 전년동기대비 30.5% 증가
○ 수요 감소와 업체 간 경쟁 심화로 인한 희토류 단가 급락 - 중국의 희토류 수출단가가 하락 원인으로는 전 세계 경기침체에 따른 수요 감소와 중국 수출업체 간 경쟁 심화 - 중국 내 희토류 업체 간 경쟁이 심화돼 공급자 시장에서 수요자 시장으로 전환됨(중국 희토류 관련 기업은 99개). - 2013년도에 희토류 가격이 톤당 2만5000달러에 달했으나, 2016년 1~5월에는 1만 달러로 2년 사이 50% 이상 하락
□ 한국은 일본, 미국에 이어 중국 희토류의 제5위 수출 대상국
○ 우리나라는 희토류의 91%를 수입에 의존 - 중국은 전 세계 희토류의 90% 이상 생산, 우리나라도 중국산 희토류에 의존 - 확인 매장량은 중국 35%를 차지하나 현재 전 세계 공급을 중국에 의존 중
○ 중국산 희토류의 일본과 미국, 한국은 5위 규모 - 2016년 1~5월 중 일본과 미국의 수입량은 총 1억2000만 달러에 달함. - 2016년 대중 희토류 수입액은 같은 기간 5월 말 현재 2000만 달러에 불과하나, 일본 가공 희토류 사용 원자재 수입에 따른 영향이 큼.
□ 중국 정부는 희토류 생산공급 관리 강화를 위해 생산업체 구조조정에 착수
○ 2014년, 중국의 공업신식화부 ‘대형 희토류기업 그룹 조직개편사업지도’를 통해 전국 모든 희토류 관련 광산 및 제련 업체를 6개로 통폐합하겠다고 발표 - 2015년부터 중국은 구조조정을 통해 희토류 기업의 대형화 구축 - 중국 국토자원부, 2015년 5월 희토류 기업 통폐합 방안을 승인
○ 희토류 기업 간 구조조정이 마무리되면 생산 수출과 희토류 단가까지 통제 가능 - 희토류의 생산공급 수준의 조절 본격 실시 전망
6개 희토류 생산 관리 기업 리스트
□ 시사점
○ 희토류는 친환경 분야를 위주로 사용처가 확대되고 있어 향후 글로벌 수요량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2016년은 하반기는 현재 수준으로 안정될 것이라는 견해가 있음.
○ 한국 기업들은 IT분야 등 첨단제품에 대한 대외경쟁력 유지를 위해 중국과의 원만한 자원협력을 통해 안정적인 공급선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 최근 중국 정부의 희토류 업체 통폐합은 사실상 수출 통제의 효과가 있어 관련 동향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KOTRA 톈진 무역관 자료 종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