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활비 증가속에 부업을 하는 근로자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딜로이트자료에 의하면 전세계44개국 MZ세대의 46%가 부업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기업은 대부분 부업을 금지하고 있지만 일부기업은 업무에 지장이 없으면 허용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생산성이 선진국의 50%~60% 인것은 우리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우리의 생산성이 향상되어 부업보다는 여가시간을 즐겁게 보낼 수 있는 세상을 꿈꿔봅니다.
More workers seek side jobs amid soaring living costs
생활비 폭등속에 부업을 하는 근로자 증가
By Kim Hyun-bin 김현빈 기자
Posted : 2023-06-28 08:10 Updated : 2023-06-28 08:10
Korea Times
Companies concerned about falling worker productivity
노동생산성저하를 우려하는 기업들
A 39-year-old office worker surnamed Park is considering opening a self-service laundromat business to secure a source of secondary income apart from his main occupation. Although Park works for a major Korean business conglomerate, he is seeking to earn more money amid deepening economic uncertainties and rising living costs.
39세의 회사원 박씨는 본업과 별개로 부수입을 확보하기 위해 셀프 빨래방 창업을 고려하고 있다. 박씨는 국내 주요 대기업에 근무하고 있지만, 경제적 불확실성이 심화되고 생활비가 증가하는 가운데 더 많은 돈을 벌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Opening up unmanned shops has become a trend lately. You can find an unmanned shop in most neighborhoods these days. I myself am considering opening up an unmanned laundromat as it does not overlap with my main occupation and is a good secondary source of income," Park said.
“최근 무인점포 개설이 트렌드가 되고 있다. 당신은 요즘 대부분의 동네에서 무인점포를 찾을 수 있다. 나 자신도 무인 빨래방이 본업과 겹치지 않고 좋은 부수입원이기 때문에 개업을 고려하고 있다,”고 박씨는 말했다.
Like Park, an increasing number of workers are seeking to find an additional source of income as the rising cost of living and high interest rates take a toll on their pocketbooks leading them to pursue side jobs as relying solely on the monthly salary from their main jobs is increasingly difficult.
박씨처럼 생활비 상승으로 추가 수입원을 찾는 직장인이 늘고 있고 높은 이자율은 그들의 주머니 사정에 타격을 주어 그들의 주요 직업에서 나오는 월급에만 의존하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 짐에 따라 그들이 부업을 추구하도록 이끌고 있다.
The prolonged economic downturn also poses a risk as companies face difficulties with even well-known firms such as Meta Platforms and Tesla cutting personnel expenses. Having a stable second source of income, even if it is smaller than their main occupation, is seen as a way for employees to secure additional money in case their primary source is suddenly cut off, despite the government's goal of increasing the productivity of individual workers.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 메타플랫폼이나 테슬라 등 유명 기업들조차 인건비를 줄이는 등 어려움에 직면하면서 리스크가 커지기도 한다. 주된 직업보다 작더라도 안정적인 두 번째 수입원을 갖는 것은 정부의 개별 근로자의 생산성을 높이려는 목표에도 불구하고 직원들이 주요 원천이 갑자기 끊어 질 경우를 대비해 추가 돈을 확보하는 방법으로 간주되고 있다.
According to a survey conducted by global consulting firm Deloitte, 46 percent of Generation Z (MZ) individuals in 44 countries worldwide have side jobs. Millennials (M) also had a high rate of side job participation, reaching 37 percent.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there was a 3 percent increase for Generation Z and a 4 percent increase for Millennials.
글로벌 컨설팅업체 딜로이트(Deloitte)의 조사에 따르면 전 세계 44개국의 Z세대(MZ) 개인 중 46%가 부업을 하고 있다. 밀레니얼 세대도 부업 참여 비율이 37%에 달할 정도로 높았다. 전년에 비해 Z세대는 3%, 밀레니얼은 4% 증가했다.
The situation in Korea is not much different. According to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Side Jobs"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e number of individuals with side jobs is on the rise across all age groups, particularly among the highly educated.
한국의 상황도 많이 다르지 않다. 한국고용정보원이 조사한 '부업의 현황과 특징'에 따르면 모든 연령층 특히 고학력자들 중에서 부업을 하는 개인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While previous side jobs mainly served as a means for low-income individuals to make up for insufficient income from their main occupation, recent side jobs are spreading to groups classified as "high-quality jobs" by government standards.
이전의 부업은 주로 저소득층 개인이 주요 직업에서 불충분한 소득을 보충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었지만 최근 부업은 정부 기준으로 '양질의 일자리'로 분류되는 집단으로 확산되고 있다.
The participation rate of high-income individuals in side jobs is also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individuals earning more than 2 million won ($1,539) per month in their main occupation who engage in side jobs increased from 39.7 percent in the first half of 2015 to 54.7 percent in the first half of 2021, a surge of 15 percent.
고소득층의 부업 참여율도 높아지고 있다. 주된 직업인 부업을 하면서 월 200만원 이상을 버는 비중은 2015년 상반기39.7% 보다 2021년상반기 54.7%로 15% 상승했다.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nies, there is still a lack of acceptance of employees holding side jobs. Most companies include a clause prohibiting side jobs in their employment contracts.
기업 입장에서는 여전히 부업을 하는 직원들에 대한 수용이 부족하다. 대부분의 기업들은 고용계약서에 부업을 금지하는 조항을 포함하고 있다.
"Moonlighting is considered a violation of internal personnel regulations as it not only breaches company policies but also hampers employees' focus on their primary responsibilities, adversely impacting the company's performance. Therefore, it should be thoroughly investigated and strictly prohibited," an official from a major conglomerate said.
“불법부업(문라이팅)은 회사 정책을 위반할 뿐만 아니라 내부 인사규정 위반이고 직원들이 주요 책임에 집중하는 것을 방해하여 회사의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철저한 조사와 엄격한 금지가 이뤄져야 한다”고 대기업 관계자는 말했다.
However, some industry officials believe it should be allowed as long as it does not interfere with daily tasks.
하지만 일부 업계 관계자들은 일상 업무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허용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We respect personal freedom as long as it does not interfere with work and does not violate company regulations. However, we encourage avoiding side jobs if there is a possibility of violating regulations or causing harm to the company and colleagues," another official at a major conglomerate said.
“업무에 지장을 주지 않고 회사 규정을 위반하지 않는 한 개인의 자유를 존중한다. 단, 규정을 위반하거나 회사 및 동료에게 피해를 줄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부업을 피하도록 권장한다,” 고 또다른 대기업관계자는 말했다.
Nevertheless, the number of people moonlighting in side jobs continues to rise. However, this trend of increasing side jobs raises concerns about the overall productivity of the country. While Deputy Prime Minister and Minister of Strategy and Finance Choo Kyung-ho consistently emphasizes the urgent need to improve productivity in Korea, employees, as the main agents of production, are seeking alternative paths.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법으로 부업을 하는 사람들의 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부업 증가 추세는 국가의 전반적인 생산성에 대한 우려를 불러 일으킨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일관되게 우리나라 생산성 향상의 시급성을 강조하고 있는 가운데 근로자들은 생산의 주체로서 대안적인 길을 모색하고 있다.
According to the Federation of Korean Industries, when the total factor productivity of the U.S. is set as 1, Korea's total factor productivity is only 0.614. This means that Korea's productivity efficiency is only 61 percent compared to the U.S. The labor productivity of Korea, as announced by the World Bank, also remains at the level of 50 percent to 60 percent of advanced countries.
전국경제인연합회에 따르면 미국의 총요소생산성을 1로 하면 한국의 총요소생산성은 0.614에 불과하다. 이는 한국의 생산성 효율성이 미국에 비해 61%에 불과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세계은행이 발표한 바에 의하면 선진국의 50%~60% 수준에 머물고 있다.
#부업증가 #문라이팅 #부업금지 #부업권장 #양질의일자리 #불법부업 #근로자생산성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