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역한글에서 성서지대의 뽕나무는 모두 13회 나오는데
구약에서 11회, 신약에서 2회입니다.
그런데 개역개정에서 삭개오의 뽕나무를 돌무화과나무라고 번역하여
개역개정을 사용하는 교회에서 삭개오가 올라간 뽕나무는 성도들의 뇌리에서 사라졌습니다.
우리 말 성경에 삭개오의 뽕나무를 돌무화과나무로 번역한 성경은
개역개정과 공동번역과 현대어 성경입니다.
한글 KJV와 표준새번역은 개역한글의 뽕나무를
그대로 번역하였습니다.
헬라어 원문에서 삭개오의 뽕나무는 쉬코모라이아를 사용하고 있는데
쉬코모라이아는 누가복음 17장 6절의 뽕나무 헬라어 원문인 쉬카미노스와 다릅니다.
삭개오의 뽕나무 쉬코모라이아는 무화과 같은 뽕나무로
그 열매가 무화과와 비슷하나 뽕나무과로 분류되는 이집트에 많이 자생하는 돌무화과나무입니다.
개역한글에서 구약성경에 11회 나오는 뽕나무는 두 종류이며
삭개오의 뽕나무에 해당하는 영역본 sycomore을 사용하는 히브리 원문의 솨캄과
오리지널 뽕나무에 해당하는 영역본 mulberry로 번역된 히브리 원문의 바카입니다.
영역본에서 sycomore으로 번역한 솨캄은
왕상 10:27, 대상24:28, 대하1:15, 대하 9:27을 비롯하여
시78:47, 사9:10, 암7:14절의 말씀입니다.
영역의 sycomore인 히브리 원어의 솨캄은 공동번역에서 대부분 돌무화과로 번역하였으나
개역개정은 개역한글 그대로 뽕나무로 번역하였습니다.
개역개정은 영역의 sycomore에 해당하는 삭개오의 뽕나무만
돌무화과로 번역하였습니다.
대부분의 영역에서 mulberry로 번역한 히브리 원문의 바카는
모든 우리 말 성경을 비롯하여 공동번역에서도 뽕나무로 번역하였으며,
삼하5:23,4절, 대상 14:14-15의 말씀입니다.
신약성경에 삭개오의 뽕나무 외에 뽕나무에 대한 말씀이 한번 나오는데
겨자씨 한 알만한 믿음이 있었더면 이 뽕나무더러 뿌리가 뽑혀 바다에 심기우라 하였을 것이요
그것이 너희에게 순종하였으리라는 말씀입니다.(눅17:6)
여기에 사용된 뽕나무의 헬라어 원문은 쉬카미노스이며
KJV를 비롯하여 대부분의 영역본은 뽕나무 일종인 sycamine으로 번역하였으나
NIV와 NASB 등은 mulberry로 번역하였습니다.
한국 교회의 대부분은 현재 개역개정을 사용하기 때문에
삭개오의 뽕나무는 연륜이 높은 성도의 주일학교 추억의 동심으로 남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