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을 북한산 1
일시 : 2014 . 9 . 10 (수)
날씨 : 안개후 개임
장소 : 경기도 고양 북한산
(837m)
산행 방법 : 홀로 거북이 산책 산행
산행 거리 : 7.83 Km
산행 경로 : 북한산성입구버스정류장(11시)-대서문(11시 38분)-대동사(12시 17분)-위문(12시 37분)-백운대(13시 14분)-백운대피소(14시 2분)-인수암(14시 20분)-영봉(14시 43분)-전망바위
(15시 4분)-계곡허리길(15시 11분)-간이헬기장(15시 31분)-육모정고개(15시 50분)-육모정공원지킴터(16시 34분)-우이동도선사입구버스정류장(16시
53분)
산행 시간 : 11시 ~ 16시 53분 (5시간 53분)
금일 산행 경로
▼



불광동 버스터미널에서 경기 버스 34번을 타고 와서 11시에 산행을 시작한 송추 방향 북한산성입구 버스 정류장이다. 이하는 이 버스 정류장에서 북한산 역사 박물관 앞 쉼터 광장까지
가면서 주변 정취를 담은 것이다.
▼

산성 입구 모습으로 왼편에 보이는 산은 원효봉이다.
▼

여기 삼거리서 오른편 콘크리트 도로를 따라서 대서문 방향으로 간다.
▼

기분 상쾌하게 숲속 터널을 걸어가니 신선 노름하는 것 같은 정취가 느겨진다.
▼

물봉선
▼

괴불주머니
▼

흰뱁미꽃
▼


쑥부쟁이
▼

나팔꽃
▼

닭의장풀
▼

애기똥풀
▼

산성으로 올라가면서 바라본 대서문이다.
▼


흰돌쩌귀
▼

웅장하게 보이는 원효봉이다.
▼

북한산 역사관 앞 전망대에서 바라본 북한산 백운대 모습이다.
▼

잡상인 우글거리던 북한산 역사관 앞 쉼터 광장이다.
▼

북한산 역사관 앞 쉼터 광장을 지나서 다리를 건너면 만나는 이정표이다. 여기서 오른편으로 가면 북한산성계곡을 따라서 중성문 방향으로 가고 왼편으로 가면 북한산 정상인 백운대로 간다.
▼

개망초
▼

닭의장풀
▼

보리사 모습으로 이 사찰 왼편으로 나아있는 돌 계단을 따라서 백운대로 올라간다. 이하는 보리사에서 위문까지 올라가면서 담은 주변 풍광이다.
▼


왼편 계곡에 적은 개연 폭포가 있으나 잡목으로 가려서 보이지 않는다.
▼

사데풀
▼

저 위에 보이는 것이 대동사이다. 다리도 아프고 해서 그냥 통과한다.
▼

대동사 간이 일주문이다.
▼


대동사를 지나서 첫 번째 만나는 쉼터이다.
▼

대동사를 지나 두 번째로 만나는 쉼터이다.
▼

대동사를 지나서 세 번째로 만나는 쉼터로 구 약수암 터이다.
▼


급경사 깔딱 경사 돌 계단 묵 계단 길을 올라서 12시 37분에 오른 위문이다. 여기서 쉬지 않고 왼편 성벽을 따라서 백운대로 향한다.
▼

이하는 위문에서 백운대 정상까지 올라갔다가 내려오면서 담은 주변 경치이다. 돌 쇠 로프 길을 오르다가 담은 인수봉 모습이다.
▼

북한산성입구 버스 정류장에서 2시간 14분이 걸려서 13시 14분에 백운대에 올랐다. 산객이 조금 있는 편이다. 날씨는 맑은 편은 아니나 가까운 전망은 보인다. 이하 그림은 백운대에서 담은
주변 청취이다.
▼

인수봉과 도봉산 방향(왼편), 수락산 방향(중앙) 정취이다.
▼

만경대(중앙 암봉)아파트 촌 모습이다.
▼


아래 두 장은 도봉산(바로 밑)과 오봉 능선 사패산(아래 아래)을 확대해서 담은 정취이다.
▼


앞 봉우리는 염초봉 그 뒤가 원효봉이다. 그리고 그 뒤로는 고양시 일대이다. 왼편 끝 부분으로 한강 줄기가 보인다.
▼

앞 중앙 능선이 상장능선이고 그 뒤가 오봉능선 도봉산 주 능선이다.
▼

만경대
▼

왼편 앞이 만경대 그 오른편이 노적봉 그 뒤로는 문수봉에서 성곽으로 연결되어 위문으로 이어지는 능선이다. 왼편 앞 능선이 의상능선이고 그 뒤가 비봉 능선이다.
▼

왼편 첫 번째 봉우리는 용출봉이고 그 오른편이 의상봉이다. 그리고 오른편 앞이 염초봉 그 뒤가 원효봉이다.
▼

염초봉 원호봉 노고산(오른편 앞)이다.
▼

중앙에 좌에서 우로 뻗은 도로는 의정부로 이어지는 39번 도로이다.
▼

상장능선과 도봉산 오봉능선을 다시 한번 보고(왼편) 오른편 조금 멀리는 수락산이다.
▼

만경대와 노적봉 모습이다.
▼

오른편 앞 능선이 인수봉에서 이어지는 숨은벽 능선이다.
▼

인수봉과 그 뒤 오른편으로 수락산 그 뒤 오른편으로 불암산이 보인다. 의정부시 장암동과 서울 노원구 강북구의 아파트 촌이 펼쳐진다.
▼

왼편 앞에 만경대 노적봉과 그 뒤로 문수봉과 산성능선 의상능선 등이 뻗어있다.
▼

인수봉을 가운데에 두고 한 장... 왼편은 도봉산, 오른편은 수락산이다.
▼

백운대 정상부 모습이다.
▼

의정부 장암동 서울 강북구 노원구 도봉구 방면의 아파트 촌이다.
▼



기예를 부리는 산객 모습이다.
▼

위문에 있는 초소이다. 이하는 위문에서 인수암을 거쳐 영봉 정상까지 가면서 담은 주변 정취이다.
▼

조팝나물
▼

백운대피소에 있는 탑
▼


인수암 인근에서 올려다 본 인수봉으로 클라임머들이 많이 매달려 있다.
▼


깔딱고개에서 영봉으로 올라가는 입구로 오늘은 영봉으로 오른다.
▼


영봉 정상에서 바라본 인수봉 모습으로 왼편이 만경대 그 외편이 용암봉이다.
▼

왼편으로 앞이 진달래 능선이고 그 뒤가 칼바위 능선이다.
▼


14시 43분에 오른 영봉 정상 모습이다.
▼

영봉 정상에서 바라본 상장능선 오봉능선 도봉산 주능선 모습이다.
▼




상장능선의 도솔봉 모습이다.
▼

구철초이다. 이하는 영봉 정상에서 육모정 고개와 육모정 공원지킴터를 거쳐 우이동 도선사 입구 버스 정류장까지 가면서 담은 주변 풍광이다.
▼

궁궁이
▼



전망 바위
▼

아래 그림 2 장은 위 전망바위에서 본 경치이다.
▼




아래 헬기장에서 담은 주변 청취이다.
▼

우이능선 상의 헬기장이다.
▼

육모정 고개로 내려가다가 바라본 불암산 모습이다.
▼





오른편 중앙 둥그런 봉우리는 촛대봉이다.
▼

육모정 고개에 있는 이정표이다. 여기서 우회전하여 내려간다.
▼

육모정 고개길 깔딱샘이다.
▼

깔딱샘 오른편에 있는 바위로...
▼



이하 그림 몇장은 용덕사에 들려서 담은 것이다.
▼

산박하
▼






씀바귀
▼


봉선화
▼

봉선화
▼

개망초
▼

선굉이밥
▼

애기똥풀
▼





털별꽃아제비
▼

16시 53분에 여기에 와서 오늘 산행을 마무리하고 1161번 버스를 타고 가다가 150번 버스로 옮겨서 귀가했다.
▼

2014 . 9 . 12 산행 자료를 정리하면서
끝까지 보셔서 감사홥니다 ^L^ !
첫댓글 벌서 가을산행이 됩니까?
지난 여름도 그렇게나 덥더니 .........
세세히 기록된 주변 경치가 참으로 빈곳이 없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오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 많은 지돠편달 바랍니다. 좋은 산행 이어 가세요^^
잘보고 갑니다~~~
매번 오셔서 감사합니다. 아름다운 산행 하세요^^
자세한 설명으로 북한산 주변을 잘 알게되었습니다. 북한산의 웅장한 모습과 각종 야생화 즐감하고 갑니다.
늘 즐산하십시오.
전망이 그리 좋은 편이 아니라서 북쪽으로는 운악산 남서쪽으로는 용문산도 보이지 않습니다. 매번 무주상님 산행기를 주의 깊게 살펴 보고 있습니다. 매우 좋은 정보 얻어 갑니다. 감사합니다.
북한산 곳곳의 아름다운 풍광을 멋지게 담으셨네요
오리바위인가요
그 위에서 기예를 하시는 분도 대단(?)하시네요
장거리 산행 수고하셨습니다
오리 바위에서 물고나무서기를 하시는 분을 만나뵈는데 병원에 안가시려고 시작하쎴답니다. 대단하십니다. 백운대 정상으로 올라가는 산객들이 구경하는라고 한참 동안 대오 속에서 기다려야 했습니다.좋은 산행 함세요^^
전 바로도 못 서있겠는데 물구나무서신 분 대단합니다.
저도 신기하여 만나뵜었습니다. 정말 대단한 분이시였습니다.
얼마전 갔던 북한산의 아름다운모습을 다시봅니다. 언젠가 용덕사의 한적함 에 취해 머물던 시간이 생각이 납니다.
긴 산행 수고많으셨습니다.
자세한 산행기 감사합니다
매번 오시니 영광입니다. 나천지인님 산행기를 매번 숙독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산행 이어가세요^^
역시 야생화의 대가답게 가을 야생화를 잘 담아 오셨네요 ~
저는 쑥부쟁이와 개망초, 구절초가 구분이 잘 안되어서 많이 헷갈리더군요 ^^
인수봉에 암벽타시는 분들도 많고 북한산 내려오는 바위에 물구나무서기 하시는분...보기에도 아찔합니다.
깨끗한 조망과 잘 담아오신 북한산의 이곳 저곳 즐감하고 갑니다. 수고하셨습니다.
늘 오셔서 과분한 말씀을 남기시니 저로서는 영광입니다. 저도 개망초인지 구절초인지 쑥부쟁이인지 몰라서 기분 맥히는데로 이름을 붙입니다. 양행해 주시기 바람니다. 감사합니다. 아름다운 산행 이어 가세요^^
덕분에 영봉쪽 풍광을 오랜만에 보는군요.
그밖의 북한산의 모습과 야생화 잘 보았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오셔서 감사합니다. 매번 올려주시는 cdh1359님 산행기를 보고 얻은 바가 많습니다. 정말 유익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잘 보고 갑니다~~
방문에 감사드립니다. 앞으로 자주 오세요^^ 감사합니다.
가을의 정취가 물씬 풍기는 풍경 잘보고 갑니다.
갈려고 하다 못간 북한산 잘보고 갑니다.
오셔서 감사합니다. 북한산 풍광을 잘 전하려고 해도 원에 실력이 부족하여 ... 매번 격려의 글 감사합니다. 좋은 산행 이어 가세요^^
이길 따라 한번 가봐야 겠어요.
아직 단풍은 안들었군요.
그때는 아마 세종로 정도로 북적댈 텐데...^^
수고 많으셨습니다.
방문에 감사드립니다. 저도 그래서 평일에 갔습니다. 아름다운 산행 이이 가세요^^
많은 사진과자료 잘 보았습니다.북한산 아주 멋지고 매력있는 산임에는 틀림이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오셔서 감사합니다. 아름다운 산행 이어 가세요^^
역쉬~~연무님의 사진솜씨가 돋보이는 산행입니다.
보너스로 야생화도 즐기시고~저도 배우는 시간입니다~~ㅎㅎ
북한산은 언제봐도 좋은 산이지요~~ㅎㅎ
고맙습니다~~!!
방문에 감사드립니다. 천만에요^^ 날씨가 사진을 만들어 주었습니다. 근사한 산행 이어 가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