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나는 만법의 근원이다. 나라에 임금이 있어 신하가 그 명을 따라 모든 일을 맡아 처리하듯이 참 나가 있음으로써 오관을 통해 움직이는 내가 있는 것이다. 말하자면 보이는 나는 안 보이는 나의 신하로서, 시자로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거짓 나를 나로 알지 말고 참 나를 발견하라는 것이요, 모든 것을 참 나인 주인공에 일임하라는 것이다. 시자는 시자일 뿐이니 주인을 믿고 따르면 그뿐, 주인을 제쳐두고 제가 나서서 주인 행세를 하는 한 고통과 액난은 끊이지 않고 나를 따르게 마련이다.”
어느 누구라도 병을 싫어하고 죽음을 두려워 한다. 늙는 것을 즐겁다고 하는 사람도 없다. 그렇다고 그걸 피할 수도 없다. 태어난 것은 다 늙고 마침내는 죽는다. 고로 태어나는 순간부터 누구나 사망선고를 받아 놓고 있다. 삶이란 매 순간마다 죽음을 향해 나아가는 발걸음에 불과하다. 하지만 우리는 그것이 내게만 찾아 오는 양 두려워 한다. 이 순간 지구 상에서 수천 수만이 죽는데도 그것을 당연지사로 받아들이려 하지 않는다.
깨달은 이는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그는 이미 죽어보았기에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없다. 내가 죽어 참나로 거듭난 사람이요 죽음의 실체를 아는 사람이기에 그렇다.
우리가 노·병·사의 두려움에서 벗어 나려면 깨달은 이 처럼 참 나로 살아야 한다. 그 길 밖에 없다. 시자(侍者)의 삶에서 벗어나 주인의 삶을 이어가야 한다. 주인의 삶은 언제나 창조의 불꽃으로 타오르는 삶이요 영원한 생명으로 가득찬 삶이다. 거기엔 노·병·사 따위가 붙을 자리조차 없다.
그래서 가르침은 거짓 나를 버리고 참 나를 발견해 참 나로 살라고 강조한다.
이왕에 한 세상 살다 가는 것인데 주인으로 살아야지 시자로 살아야 할 까닭은 무엇인가. 임금으로 살아야지 신하로 살 건 뭔가. 노·병·사가 붙지 않는 자리에서 떵떵거리며 살 것이지 싫다면서, 두렵다면서 노·병·사를 껴안고 살 건 뭔가. 그럼에도 우리들은 시자의 삶을 고집한다. 어리석게도 거기에 집착한다. 고통스럽다, 괴롭다 하면서도 스스로 시자이기를 원한다. 모르기 때문이다. 주인의 삶이 어떤 것인지를 모르기 때문이다.
참 나인 주인을 만나 주인으로 살려면 버려야 한다. 놓아야 한다. 그리고 믿어야 한다.
나다, 내 것이다 하는 생각 좋다 싫다하는 생각을 놓아야 한다. 그런 분별심과 이기심을 버려야 한다. 예를 들어 우리가 죽기를 각오한다면 죽음에 대한 공포는 사라진다. 생에 대한 집착을 버림으로써 죽음이 발 붙일 곳을 잃듯이 노·병·사에 대한 분별을 놓아 버리면 삶은 그 순간부터 시자를 부리는 주인의 삶이 된다.
그러나 우리는 시자인 이 거짓 나를 참 나로 알고 있기 때문에 놓으려고도 버리려고도 하질 않는다. 보이지 않는 나, 주인을 믿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안다는 것은 깨닫기 전이면 어느 누구라도 완전한 앎이 아니다. 고작해야 글줄이나 조금 읽었고 한 줌 밖에 안되는 경험을 통해 이 거대한 세계의 한 모퉁이, 좁쌀만한 부분을 아는 것에 불과하다. 그러면서 우리는 마치 이 세상을 다 아는 양 제 스스로 관념의 벽을 쌓고 그 안에 갇혀산다. 주인을 믿기는 커녕 시자로서도 아주 어리석은 시자임을 자처하며 산다. 그러기에 고통과 액난이 끊이지 않고 내 뒤를 따라 다니는 것이다.
참 나인 주인을 무조건 믿는 것만이 나를 해방시켜 준다. 무조건적인 믿음은 맹목(盲目)이 아니라 스승의 가르침을 따라 실천하겠다는 의지이다.
서림제가 알기로는 "참 나인 주인을 무조건 믿는 것만이 나를 해방시켜 준다."라는 말은 부처님의 가르침이 아닙니다. 자... 그러면 이 말씀이 어떤 경전에 나오는지 알려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제가 25년동안 절밥을 먹으면서도 부처님 말씀을 모르고 있는 것인지도 모르니 경전의 출처를 알려주세요...()
서림그러니까 스님과 저의 대화는 결론이 안날 것 같아요. 다만 스님이 그 말씀은 어느경전에 있다고 답하시면 저도 구경하는 불자님도 답을 얻을 것 같습니다. 참고로 제가 아는 부처님은 "참 나인 주인"을 말씀하시지도 않았고 " 무조건 믿으라"고도 말씀하시지 않는 분입니다. 아마 이렇게 스님과 스님이 서로 다른 부처님을 알고 있다는 것이 불제자들에게는 충격이 될 것입니다.
서림서로의 살림살이 까지 가는 문제가 아니라고 봅니다. 단순히 '불교관'의 문제이고 '정견'의 문제라고 봅니다. 여기서 구경하는 불자들도 능히 자신의 의견을 내 놓을수 있는 문제이며 이것은 또 무엇이 불교인가? 불교가 다른 종교와 다른 점은 무엇인가?를 이야기하는 정도의 문제인 것이지요. 같은 조계종안에서도.... 스님들끼리도..... 불교에 대한 이해에 차이가 있다....는것을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閑主네, 스님께서 정법을 수호 하려는 생각이란건 높이 평가 합니다. 스님께서 소납의 좁은 소견을 지적해 주심도 진심으로 감사 드립니다. 이런 사이버 공간에서 법문이랍시고 끄적여대는 글들에서 저자의 시각으로 이해 하기는 어려움도 있겠죠. 그래서 우리 조계문중은 "불립문자"를 우선시 하는거겠죠.허나 아주 기초적인 교리 하나를 열거해 드리겠읍니다. 부처님 입멸시에 말씀하신 "자등명법등명(自燈明 法燈明 )" 을 보시면 이해가 가실런지요?
閑主스님의 노고(?) 덕분에 오늘 이 글들을 보시며 의구심 일으키시는 여러분들을 생각하셔서 라도..... 의구심 해소 차원에서 "참 나인 주인을 무조건 믿는 것만이 나를 해방시켜 준다."라는 소납의 생각이 어굿나 있음을 알려주는 부처님 가르침이 있다면 어떤 경전이든 간에 분명하게 열거해 주시고 지적해 주신다면 진심으로 잘못을 참회하고 앞으로 이런 사이버공간에서 조용히 사라지겠읍니다.
서림4가지 수행대상은 지금여기서 누구나 관찰 가능한 것입니다. 무조건 믿어야 할 대상이 아닙니다. 단지 부지런히 관찰하면 되는 것이고... 그렇게 수행하는 것을 부처님은 자등명 법등명이라고 설명하십니다. 자등명의 '자'를 참나라고 해석하면 경전의 설명과 어긋납니다. 불교는 그 참나를 믿는 것도 아닙니다. 불교의 믿음은 법을 이해해서 생기는 자신감,확신,기쁨등의 상태를 말합니다. 이해를 바탕으로 한 믿음이지요. "무조건 믿는 것"이 아니고요.
그러시다면요..... 스님께서 지금 이렇게 스님의 생각을 나투어내시는 것을 뭐라고 생각하시는지요? 스님께서 여기다 이렇게 여러 말씀 나투시는것 또한 관찰하시고 판단하시고 마음을 믿으시기에 여기다 스님 생각을 나타내시는게 아닐까요?} 아니면, 스님께서 지금 이렇게 생각을 나타내심이 아무런 믿음도 판단도 없는 말을 하고 계신거라는 말씀이신지요? ... 믿고 의지할 대상은 자신의 마음이 있어야 하고 이것을 달리 표현한다면 발우가 되는것인데 그 마음바탕도 없다면 생각하고 나투는 그 자체도 있을수가 없음이고 발우가 없다면 수많은 시주로 살아가는 우리 걸승들에겐 공양 자체도 없는것 아닐런지요?
믿는 맘이 있으니 관찰하는 대상이 있는거고 믿는 발우가 있음으로 해서 공양물이 담기는게 아닐런지요?더 보기
서림믿음은 2가지 경우에 가능합니다. 1.알고 보아서 믿는 경우 2. 알지 못하고 보지 못해서 믿는 경우....거의 모든 종교는 2번의 믿음을 말합니다. 불교의 믿음은 안그래요. 알고 보고 이해했을때 일어나는 믿음(자신감,기쁨,확신)을 이야기 하지요. 2번의 경우를 불교는 맹신이라고 하고요.
서림저는 지금 스님이 말한 "참 나인 주인을 무조건 믿는 것만이 나를 해방시켜 준다."는 것이 경전에 없는 말이다. 라는 것을 이야기 하는 중입니다. 경전에서 말하는 자등명 법등명의 설명을 가지고....부처님은 믿음을 그것도 무조건의 믿음을 말씀하시는 분이 아니란 것을....
스님, 소납은 경전을 안봅니다. 그냥 경험상에서 느끼는데로 설명을 하자니 그렇게 표현코져 함입니다.
부처를 믿고 예수를 믿고 ......하는것은 당사자가 그 가르침에 믿었고 믿었기에 귀의했으며 귀의했으니까 ... 자신의 믿음을 바탕으로 실참수행정진이 가능 한것입니다. 믿음이 없다면 자신이 섬기고 따르는 신도 부처도 없는거겠죠. 우리 불교처럼 실참수행으로라야 깨달음을 얻을수 있다는 종교에서는 자신을 믿고 의지함이 없다면 깨달음자체도 없다는게 소납의 생각이며 확고한 판단 입니다.더 보기
서림스님은 여기서 "소납은 경전을 안봅니다."라고 말하지만 앞에서는 " '참 나인 주인을 무조건 믿는 것만이 나를 해방시켜 준다."라는 말은 부처님의 가르침 맞읍니다."라고 확신에찬 말을 하셨습니다. 스스로 모순을 만드시는 건 아닌지요? 정확히 말씀드리면 스님은 불교를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생각"을 믿고 있는 것입니다. 스님의 생각이 얼마나 "확고" 하더라도 부처님의 말씀에 부합되지 않으면 번뇌일 뿐입니다.
스님....... 그럼 '참 나인 주인을 무조건 믿는 것만이 나를 해방시켜 준다."라는 말씀을 스님의 좁은 생각안에서만 가둬둔체 말씀 하시는거라고는 생각이 안드십니까? 그렇게 자신의 의견에만 동조하기를 바라시는 모습이 소납으로써는 이해가 안가는것이 소납만의 욕심일런지요? ... 성철스님께서도 "자신을 굳게믿고 선지식의 가르침을 쫒아서 용맹정진 하라"셨으며 근래에 입적하신 법정스님께서도 부처님 말씀을 바탕으로해서 번역하시고 설명으로 말씀 하신 글 중에서 "자기자신을 믿고 법에 의지하라"고 하신 말씀들이 전부 거짓인지요?더 보기
서림그래서 경전은 보아야 합니다.....경전을 통해서 불교가 다른 종교와 다른 점을 이해하시고 불교의 탁월함을 이해하시면 그런 이해를 바탕으로 물러나지 않은 믿음(확신,자신감,기쁨)이 생깁니다. 그런 상태를 감성적으로는 믿음이라 표현하고 이성적으로는 정견이라고 표현합니다만....실은 같습니다.
閑主굳이 경전에만 국한 하시려 드는 모습도 이상 하네요. 법문도 있고 어록도 있고 삼라만상이 모두 부처돼는 가르침 이거늘 어찌보면 스님께서 그렇게 어떤 관념을 스님 안에다 가둬놓고 바라보며 판단하는 그 좁은 마음이 문제인것 같읍니다. 부처님이 말씀하지도 않은 이론을 소납이 지껄인적은 없읍니다. 스님 혼자서 그런쪽으로 판단 하신거죠.
서림문제는 간단 합니다. 저의 시비는 스님의 말씀이 '경전'에 없는 말이라는 것이고 .....스님은 모든게(삼라만상) 부처님 가르침이라는 것입니다. 자.....이제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시겠지요. 이런 차이 때문에 우리가 다른 견해를 갖게 됩니다. 저는 스님이라면 부처님 제자라면 경전을 읽어서 경전에 없는 말은 하시지 말라는게 저의 입장입니다. 여기에 "승복을 입은게 그리도 스님 맘에 걸리십니까?"라는 식으로 반응 하실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서림이제 정리 할까요? 경전을 안보신다는 분이 [팔만대장경 전체가 "참 나인 주인을 무조건 믿는 것만이 나를 해방시켜 준다."것은 분명한 부처님 가르침 이란 겁니다.]라고 말하는 것에서 더이상 대화를 이어나가기 어렵겠습니다. 저와 옛날에 선방에서 같이 지내본적이 있다고 하셨는데 저는 아직 스님의 법명도 모릅니다. 아무튼 간은 조계종스님이지만 확실한 견해 차이를 느끼고 갑니다. 이것이 스님과 저의 차이 이면서도 한편으로는 2600년 불교역사를 받아안고 있는 '한국불교의 자화상'이기도 할 것입니다. 아무튼 오랜 시간 수고 하셨습니다.....()
閑主선인들이 말씀하시길, 조계가풍은 살부살조라 해서 정법을 흐리는 것을 보고도 지나침을 진정한 제자가 이니라 하셨고 시줏밥먹을 자격이 없으며 먹물옷 입을자격이 없다 하신 말씀을 쫒아서 결론일 깨끗하게 내 보십시다. 이 글들을 보시는 여러분들의 의구심도 해소해 드릴겸.....
첫댓글 말과 글로참뜻을 표현 할수있나요 살다보면알것이요 그저부처님따라 살아보는것이오 죽음이있건없건
붓다의 가르침은 초월적 깨달음(피안)이라기 보다 파사현정(破邪顯正)이라 보는데
이 사견(邪見)이 정리가 안되니 혼란스럽습니다.
이 참에 사견에 대한 정의를 한번 짚어보고 싶습니다.
_()()()_
귀한 글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