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시·도교육감들이 전국체전에서 고등부를 제외해 달라고 정부에 요청했다. 만약 실현될 경우 선수 육성에 어떤 영향이 미칠지 주목되지만, 수년전 제기됐다 다시 수면 아래로 가라 앉은 문제여서 현실화는 아직 불투명하다.
교육감들은 지난 20일 충남 보령서 가진 협의회에서 “과도한 경쟁과 수업결손 등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며 “전국체전서 고등부를 제외시키고 대신 학생 모두가 참여하는 ‘학생체육대회’를 신설해 달라”고 교육부와 문화체육관광부에 건의했다.
교육감들이 학생부 분리를 주장하는 것은 학생보호를 위해서다. 과도한 경쟁으로 인한 수업결손, 부상, 선수 폭력, 순위 경쟁 등이 바로 그것이다.
시·도간 종합 순위 경쟁으로 학생 선수는 경기 실적을 올리기 위해 운동장에 머무는 시간이 많아진다. 교육부와 전북도교육청은 수업결손으로 인한 학습권을 보장하기 위해 정규 교과과정을 모두 이수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야구·축구 등 단체종목과 여러 종목에서 이를 제대로 지키기란 쉽지 않다. 학교장 책임하에 뒀지만 실제로 이행되는지를 감독관청이 확인하지는 않는다.
경쟁에 내몰리면서 부상도 끊이지 않는다. 운동선수라면 가벼운 부상이야 있지만 어린 선수들이 과도한 운동으로 선수생명까지 위태롭게 하는 구조는 잘못이란 점에서 고교부 분리 근거를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빈번한 선수 폭력도 교육청으로서는 불만이다. 인성교육을 하기 위해 체육활동을 장려하고 있는데 정작 운동부에서 발생하는 선수폭력을 더이상 두고 볼 수는 없기 때문이다. 전북도교육청은 그러나 선수 부상과 선수단 폭력, 선수들의 학교과정 이수 등 통계는 갖고 있지 않다.
정부는 학생선수 학습권 보호 강화를 위해 선수출전 자격에 최저학력 기준을 둘 계획이다. 예를 들어 초등학교 선수의 경우 선수 교과 성적이 반평균의 50%(중학교 40%, 고교 30%)를 넘지 않을 경우 출전하지 못하게 하겠다는 것이다. 교실에 머무는 시간을 연장하면 학력을 끌어 올릴 수 있다는 계산에서다. 학습권 보호를 위해 전북은 초·중·고 합숙을 폐지했고 교육부는 내년 2월 전국적으로 시행토록 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교육부는 최근 운동부 선진화 협의회를 열고 이같은 방안을 검토한 뒤 내년 2월 중 법제화 방침을 발표할 예정이다.
문제는 교육감들의 요구가 받아들여지겠느냐는 점이다. 전국체전에서 차지하는 학생선수 비중이 너무 높기 때문이다. 올 전국대회에 출전한 전북 선수 1천146명 가운데 고교생은 487명으로 학생비중이 42.5%(전국 평균 44%)에 이른다. 또 고교 선수와 성인선수가 겨뤄 국가대표를 발굴하는 장으로 전국체전이 활용되고 있다는 점도 이유가 된다. 도내에서는 782개 초·중·고교 가운데 242개 학교가 366개팀을 운영하며 35개 종목을 육성하고 있다.
이같은 시도교육감들의 주장에 도체육회는 분리해도 문제가 없을 것이란 반응을 보였다. 한 책임자는 “전국체전서 고교부를 분리할 경우 교육부가 오히려 예산을 증액할 수 있기 때문에 긍정적으로 본다”면서 “(뜻대로 이뤄진다면)학교스포츠활성화도 우려할 부분은 아니다”고 밝혔다. 초·중·고로 나눠 개최하고 특히 고교생의 경우 체전을 통해 진학이나 실업팀 진출을 결정하게 된다는 논리다.
하지만 3년 전 정부 차원과 일부 교육청이 초·중·고를 학생체전으로 개최하고 대학·일반·동호인은 전국체전으로 여는 방법을 논의했으나 더 이상 진전이 없었던 점에 비춰 볼 때 실현될지는 미지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