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季布一諾(계포일락)
[字解]
季 계절 계 布 베 포/펼 포 一 한 일 諾 대답할 락(낙)
[意義] 계포가 한번 한 약속이라는 뜻으로, 약속을 반드시 지킴을 이르는 말이다.
[出典] 사기(史記) 계포전(季布傳)
[解義] 초(楚)나라 사람 계포(季布)는 젊었을 때부터 의협심(義俠心)이 강해 한번 '좋다!'라고 약속한 이상에는 그 약속을 끝까지 지켰다. 이런 계포가 한(漢)나라 유방과 초(楚)나라 항우(項羽)가 천하를 걸고 싸울 때 항우의 장수로서 출전해 몇 차례 유방을 괴롭혔는데, 항우가 패망하고 유방이 천하를 통일하게 되자 계포의 목에 천금의 현상금이 걸려 쫓기는 몸이 되었다.
그러나 그를 아는 사람들은 누구 하나 고발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그를 고조(高祖) 유방에 천거하기까지 했다. 덕분에 그는 사면과 동시에 낭중(郎中)이라는 벼슬을 얻었고 다음의 혜제(惠帝) 때에는 중랑장(中郎將)에 올랐다. 그는 권모술수가 난무하는 정치판에서도 의로운 일에 힘썼으므로 모든 사람들에게 신임과 존경을 받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던 어느날 흉노(匈奴)의 선우(單于)가 당시 최고권력자인 여태후(呂太后)에게 깔보는 투의 편지를 조정에 보내온 일이 있었다. 이에 진노한 여태후는 흉노 징벌을 위한 어전회의(御前會議)를 소집했다. 먼저 상장(上將) 번쾌가 나서며, "저에게 10만 병력을 주십시오. 소신이 오랑캐들을 깨끗하게 쓸어 버리겠습니다"라고 큰소리쳤다. 당시는 무슨 일이나 여씨(呂氏) 일문이 아니고는 꿈쩍도 못하던 때이다. 신하들은 여씨 일문의 딸을 맞아서 여태후의 총애를 한몸에 받고 있는 번쾌에게 잘 보이려고 이구동성으로 맞장구를 쳤다.
그때였다. "번쾌의 목을 자르십시오" 하며 감히 나서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게 바로 계포였다. 계포는 "한고조(漢高祖)께서도 40만 군대를 거느리고 정벌에 나섰다가 평성(平城)에서 그들에게 포위당하신 적이 있지 않습니까.
그런데 10만으로 흉노를 응징하겠다는 것은 망발(妄發)입니다. 진(秦)나라가 망한 것은 오랑캐와 시비를 벌이고 있을 때 진승(陳誠) 등이 그 허점을 노리고 일어났기 때문이 아닙니까. 그들에게서 입은 상처는 오늘까지도 아물지 않았거늘 번쾌는 이것도 모르고 위에 아첨하기 위해 천하의 동란을 불러일으키려고 하고 있는 것입니다."
계포의 강한 신념에 찬 목소리에 좌우신하들의 얼굴은 새파랗게 질렸다. 계포의 목숨도 이제는 끝장났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태후는 즉시 폐회를 명하였고 그후 다시는 흉노 징벌을 입에 담지 않았다. 여태후는 계포의 신의를 믿고 이 사건을 덮어두었던 것이다.
초나라의 조구(曹丘)는 변설가(辯舌家)이며 권세와 금전욕이 강한 사람으로 경제(景帝)의 외숙뻘 되는 두장군(竇長君)의 식객(食客)으로 있었다. 계포는 두장군에게 "조구는 교언영색(巧言令色)하는 사람이라고 듣고 있으니 가까이 하지 않는 것이 좋겠소"라는 편지를 보냈다.
그때 여행에서 돌아온 조구가 두장군에게 계포에게 보낼 소개장을 써달라고 부탁하러 왔다. 두장군은 계포가 보낸 편지를 보이며, "계포는 자네를 싫어하니 가지 말게" 하고 말했다. 그러나 조구는 억지로 소개장을 써 달라서 계포를 찾아가, "초나라 사람들은 황금 백 냥을 얻는 것은 계포의 한마디 승낙을 받는 것보다 못하다[得黃金百斤 不如得季布一諾]고 말하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지요?” 하며 계포를 칭찬했다 한다. 그후부터 사람들은 '계포일락'을 간단하게 줄여 '계락'이라고도 했으며 또는 '금낙(金諾)'이라고도 하여 '틀림없이 알았다'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또 당대(唐代) 위징(魏徵)의 술회시(述懷詩)에, "계포는 한 약속을 거듭 하는 일이 없고, 후영은 약속한 한 마디의 말을 중히 여긴다[季布無二諾 候瀛重一言]"고 하였는데, 오늘날의 남아일언중천금[男兒一言重千金]에 해당할 것이다.
[同意語]
일락천금(一諾千金)
[English]
-A promise is worth a thousand ounces of gold.[일락천금(一諾千金)]
-Words as good as gold. [금과 같은 말]
-The promise of a man of faith. [신용 있는 사람의 약속]
-A man of his word. [약속을 잘 지키는 사람]
-To be as good as one's word. [약속에 충실(充實)하다]
[參考] '한 번 약속은 영원한 약속'을 실현한 계포(季布)
계포는 계심, 정공이라는 두 동생이 있었다. 계포는 계심보다 담력이나 용기가 부족했고 지략 면에서는 정공보다 못했지만 초나라 항우의 부장으로 대군을 거느리고 자주 전공을 세웠다. 계포는 두 아우의 재능에 비해 자기의 재능이 뒤떨어지고 있다는 사실 때문에 소년시절에 열등의식을 지니고 있었다. 계포는 동생들에 대하여 자기도 못지 않은 무엇을 지녀야 한다고 생각하고 '약속을 지킨다' 라는 극히 평범한 것을 생각하게 되었다.
계포가 12살 때 이웃 친구들과 근지라는 연못을 헤엄쳐 건너기로 약속했다. 계포는 헤엄을 잘 쳤지만 근지 연못은 제법 넓어 어른들도 쉬운 일이 아니었다. 약속한 날, 무서운 폭우가 쏟아져 외출을 하기도 어려운 지경이다. '어쨌든 약속은 지켜야 한다.'라는 생각으로 기어가듯이 근지 가까이로 갔다.
연못 주변의 돌로 된 제방 위에 앉아 주위를 둘러보았지만 약속한 친구들은 아무도 나와있지 않았다. '나 혼자라도 약속은 지킨다' 라고 생각하고 있는데 갑자기 쌓아둔 돌 제방이 무너지면서 계포는 연못 속으로 떨어졌다. 하마터면 익사할 뻔했는데 이 불행이 계포를 약속의 사나이로 만들었다.
연못 제방이 폭우로 위험할 것이라고 생각한 동네 장정들이 연못을 둘러보러 나왔다가 계포가 필사적으로(살아 남기 위하여) 헤엄을 치고 있는 모습을 본 것이다. 이 소문은 계포가 친구들이 오지 않았는데도 약속을 지켰다는 것으로 온 동네에 퍼졌다.
계포가 20세 때 어느 도적이 계포의 마을 가까운 야산으로 도망쳐 왔다. 계포는 동생 계심과 그 흉악한 도적을 잡을 것을 약속했다. 계심은 산의 정면에서, 계포는 그 뒤편에서 도적을 찾아 산을 올라갔다. 결국 도적을 계포의 손에 걸려 죽었다. 소문은 삽시간에 퍼졌다. 하지만 실상은 진퇴양난이 된 도적이 스스로 칼로 목을 베어 자살한 것이다. 평소 계포의 약속 이행에 대한 생각으로 사람들은 약속한 대로 계포가 도적을 죽인 것으로 소문을 낸 것이다.
이렇게 계포에게는 우연(행운)과 집념으로 점점 약속의 사나이로 굳어져 갔다. 무슨 일이든지 계포에게 약속만 받으면 그 일은 해결되었고 계포는 자신의 어릴 적 자신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철저하게 해결하여 주었다.
계포는 행운아였다고 볼 수 있다. 시황제가 중국을 통일한 후 황제가 죽고 난 뒤 진나라는 궁중에서의 내분으로 10년 좀 넘게 유지된 후 전국적인 혼란 상태가 도래되어 초의 항우와 한의 유방의 싸움이 있었다.(초한지의 줄거리) 전쟁 당시에는 초 항우의 부장이었지만 유방이 항우를 이겨 한(漢)의 고조가 되고 여러 숙청 작업이 시작되었을 때도 계포에게 따르는 행운으로 여러 사람의 도움을 받아 결국 한나라로부터 용서를 받고 더 나아가 한나라의 공직까지 얻게 된다.
계포일락(季布一諾)이란 말이 우리나라 국어사전에 있다. 무슨 뜻인지는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여러 행운과 우직스러운 집념으로 얻어낸 명성이다.
출처:NAVER백과사전.풀어쓴 중국고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