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윤.소윤과 을사사화(乙巳士禍,1545)
조선의 왕비 중에는 특히 윤씨(尹氏)가 많았는데 중종의 두 왕비도 모두 윤씨였다.
그 중 장경왕후(章敬王后)의 집안이 대윤, 계비 문정왕후(文定王后)의 집안을 소윤(小尹)이라 불렀다.
장경왕후는 다음 왕인 인종을 낳았고, 문정왕후는 자기 아들인 경원대군을 왕으로 만들기 위해 자신의 두 동생인 윤원로와 윤원형을 동원했다.
인종의 죽음에 소윤(小尹)이 책임이 있다고 믿은 대간들이 윤원로를 탄핵하자, 문정왕후는 할 수 없이 윤원로를 실각시키고 대신 윤원형(尹元衡)을 내세웠다.
문정왕후(文定王后)는 윤원로를 실각시킨 배후에 장경왕후의 오빠인 형조판서 윤임(尹任)이 있다고 믿어, 몰래 윤원형을 시켜 윤임을 치죄하도록 했다.
문정왕후의 밀지와 윤원형 일당의 모함으로 윤임을 비롯한 대윤(大尹)들은 죄도 없이 모조리 지방으로 유배되고, 윤원형 일파가 권세를 잡게 되었다.
유배를 당한 윤임, 유관, 유인숙이 유배지에 도착하기도 전에 이들을 사사하라는 명종의 명이 도착해 있었다.
대윤(大尹)일파가 사그리 죽자 윤원형, 정순봉, 이기, 임백령, 허자 등이 공신으로 책봉되었다.
문정왕후(文定王后)와 간신들이 짜고 쳐서 반대파를 숙청한 다음 그것도 공이라고 저희끼리 나눠 먹은 것이다.
사화(士禍)는 이것으로 끝나지 않았다.
윤임(尹任)을 사사한 직후 경기도 관찰사 김명윤이 역모를 고변했다.
윤임 일파가 윤임의 조카인 계림군 이유(李瑠)를 왕으로 옹립하려는 모의를 했다는 모함이었다.
계림군 이유(李瑠)는 행실이 바르고 호학이라 왕족 중에서도 명성이 자자 했으나, 서자(庶子)였으므로 왕위에 오를 희망은 전혀 없었다.
그러나 사림(士林)을 제거할 좋은 기회로 본 소윤파는 이를 역모 사건으로 확대 조작했다.
즉시 계림군 체포령이 떨어지자 겁먹은 계림군이 도망쳐 역모는 사실이 되어 버렸고, 계림군과 함께 교유했던 인물들, 윤임(尹任)을 모함할 때 반대했던 신하들이 줄줄이 엮여 잡혀와 모조리 참형에 처해졌다.
하여간 모함으로 죽은 쓸 만한 인재(人材)가 조선조에 수백 명은 될 것이니, 이런 인재들이 나라를 이끌어갔으면 조선은 아마 신라보다도 더 긴 왕조가 되었을 것이다.
🌹 간신배의 아이콘 윤원형(尹元衡)
문정왕후의 동생이자 대표적인 간신인 윤원형은 본부인을 내쫓고 기생 출신인 첩 정난정(鄭蘭貞)을 정경부인으로 봉했다.
그는 난정(蘭貞)이 낳은 서자들을 적자로 만들었으며, 서자들도 벼슬에 나갈 수 있도록 법을 바꾸는 등 무소불위(無所不爲)의 권력을 누렸다.
그는 10여 채가 넘는 대저택을 지어놓고 비단 휘장을 치고 금은 그릇으로 밥을 먹었으며, 궁궐에서 처럼 팔진미(八珍味)를 넣어 끼니마다 1만 전을 썼다고 한다.더구나 형인 윤원로(尹元老)가 대우에 불만을 표하자 형마저 죽여버렸다.
이러한 부패와 패륜에 조정신료들과 온 백성들이 모두 치를 떨었고, 사관들도 윤원형을 '개만도 못하다' '벌레나 다름없다' 등으로 악평을 서슴지 않았다.
이렇게 잘 나가던 윤원형(尹元衡)도 명종20년 문정왕후가 죽자 낙동강 오리알이 되었으며, 3사에서는 그를 탄핵하는 상소가 빗발쳤다.
평소에 외삼촌 윤원형(尹元衡)의 행실을 떫게 보았던 명종(明宗)은 윤원형을 파직하고 낙향시켰다.
윤원형이 힘을 잃고 낙향하자 윤원형의 처소에 돌이 날아들고 화살이 꽂혔다.겁이 난 윤원형은 정난정(鄭蘭貞)과 노비 몇만 데리고 산으로 숨어들었다.
언제 자신들을 잡으러 금부도사(禁府都事)가 내려올지 전전긍긍하고 살던 어느날, 옆동네에 다른 죄인을 압송하기 위해 금부도사가 내려왔다. 그러자 자신들을 잡으러 온 것으로 안 정난정(鄭蘭貞)은 독을 마시고 자살했고, 윤원형은 죽은 아내의 시신을 안고 통곡하다가 자신도 뒤를 따랐다.
윤원형(尹元衡)을 내친 명종은 내내 병을 앓다가 2년 만에 죽었다.어머니 문정왕후의 등쌀과 외숙부 윤원형(尹元衡)의 전횡으로 재위 내내 아무것도 못 해본 채 허무하게 죽은 것이다.
참으로 어리석은 인간들이여!
윤원형(尹元衡)의 종말을 보고 생의 의미를 다시 새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