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 고치기 연습 문제 모음 204 풀이 / 이훈
1) 참고로, 우리나라는 국가 차원에서 연구를 시작한 역사가 일본이나 기타 선진국들에 비해서 매우 짧은데 그로 인해 연구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문화가 다소 익숙하지 않은 것 같다.
이승섭, <<교육이 없는 나라>>, 세종서적, 2023.
1) 참고로, 우리나라는 국가 차원에서 연구를 시작한 역사가 일본이나 기타 선진국들에 비해서 매우 짧아서 사회적 인식도가 낮고 그런 문화에 익숙하지 않은 것 같다.
2) 중고등학교 시절 방황했던 혹은 수포자(?)에서 오늘날 필즈상 수상자로 탈바꿈한 허준이 교수를 바라보면서, 우리 사회의 잘못된 교육 제도로 인해 많은 또 다른 허준이 학생들이 중고등학교 시절 공부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잃고 자신의 숨겨진 재능을 제대로 펼쳐보지도 못한 채 사회에서 기죽어 살아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 안타까운 마음과 함께 국가 경쟁력의 크나큰 손실을 걱정한다.
이승섭, <<교육이 없는 나라>>, 세종서적, 2023.
2) 중고등학교 시절 방황하거나 수포자(?)가 되었다가 오늘날 필즈상 수상자로 탈바꿈한 허준이 교수를 바라보면서, 우리 사회의 잘못된 교육 제도로 많은 또 다른 허준이 학생들이 중고등학교 시절 공부에 흥미와 자신감을 잃고 자신의 숨겨진 재능을 제대로 펼쳐 보지도 못한 채 사회에서 기죽어 살아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 안타까우면서도 국가 경쟁력의 크나큰 손실이 걱정스럽다.
3) 스마트폰 허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영향 등을 조사하고,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교육과정 개발 및 시행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이루어야 한다.
https://www.hani.co.kr/arti/opinion/column/1143641.html
3) 스마트폰을 허용해서 생기는 영향 등을 조사하고, 문제점을 해결하는 교육과정 개발 및 시행에 사회적 합의를 이루어야 한다.
4) 액트지오 대표의 지인과 검증 계약을 한 것이고, 자문단 선정 기준과 평가의 객관성에 의문이 제기될 수밖에 없다.
https://www.khan.co.kr/opinion/editorial/article/202406101953001
4) 액트지오 대표의 지인과 검증 계약을 한 것이어서, 자문단 선정 기준과 평가의 객관성에 의문이 제기될 수밖에 없다.
5) 우리가 중국 철학사를 춘추전국 시대, 한대, 위진 남북조 등으로 나누는데, 그렇게 나누는 근거도 일정한 기간을 가지고 나누는 것이 아니라 그 시대인들이 공유했던 문제 의식의 차이로 구분하는 것이다.
최진석, <<노자의 목소리로 듣는 도덕경>>, 소나무, 2001, 6쪽.
5) 우리가 중국 철학사를 춘추전국 시대, 한대, 위진 남북조 등으로 나누는데, 그 근거도 일정한 기간이 아니라 그 시대인들이 공유했던 문제 의식의 차이다.
6) 다른 교원들도 한국어의 정확한 구사를 위한 한자 교육의 중요성을 역설하며 입을 모았다.
https://www.khan.co.kr/opinion/column/article/202406252048005
6) 다른 교원들도 한국어를 정확하게 구사하려면 한자 교육이 중요하다고 입을 모아 역설했다.
7) 바로 이러한 ‘안다’는 것이 많은 경우 도움이 되기보다 새로운 배움을 방해하는 장애로 기능하는 경우가 많다.
강남순, <<철학자 예수>>, 행성B, 2024, 36쪽.
7) 바로 이러한 ‘안다’는 것이 대개 도움이 되기보다 새로운 배움을 방해하는 일이 많다.
8) 어떤 사건 혹은 사고를 통해 억울하게 세상을 떠난 이들을 보며 우리는 안타까움을 표하곤 한다.
https://www.khan.co.kr/opinion/column/article/202407112053025
8) 사건이나 사고로 억울하게 세상을 떠난 이들을 보며 우리는 안타까워하곤 한다.
9) 국가인권위원회는 무엇보다 국가권력의 남용에 의한 인권 침해를 감시해야 하고, 다양하게 벌어지는 차별을 시정해야 하는 임무를 갖고 있는 기구다.
https://www.khan.co.kr/opinion/column/article/202407152044015
9) 국가인권위원회는 무엇보다 국가 권력의 남용으로 생긴 인권 침해를 감시하고, 다양하게 벌어지는 차별을 시정하는 임무를 맡은 기구다.
10) 우리나라 헌법만이 아니라 국제인권규범에 비추어 인권의 기준을 세워나가야 하고, 국가가 국제인권기구들의 권고가 이행되도록 국가기구들을 견인해야 한다.
https://www.khan.co.kr/opinion/column/article/202407152044015
10) 우리나라 헌법만이 아니라 국제 인권 규범에 비추어 인권의 기준을 세워 나가고, 국가가 국제 인권 기구들의 권고를 이행하도록 국가 기구들을 견인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