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포츠마케터, 국제감각을 위한 통찰력 중요
취업·인사포털 인크루트(060300) (Incruit Corporation, (www.incruit.com) 대표 이광석)와 함께 스포츠마케터 14명으로부터 그들이 말하는 취업 노하우를 엿들어봤다.
- 스포츠, 마케팅 등 관련 전공이 유리
서류전형에서 유리한 객관적인 조건
▶‘스포츠, 마케팅 등 관련 전공’(33.77%)이 첫번째로, 전문적인 분야인만큼 스포츠 분야에 대한 이해와 지식이 없이는 스포츠마케터를 시작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다음으로는 ▶‘석박사 이상, 유학 등의 학력’(23.08%) ▶ ‘스포츠에 대한 관심, 열정’(23.08%) ▶‘관련 현장 경험’(15.38%) ▶‘관련 교육 과정 이수(7.69%) 라고 답했다.
면접 평가요소
▶‘성실성, 신뢰성 등의 인성’(28.57%)을 꼽았다. 뒤를 이어 ▶‘지원한 분야에 대한 전문지식’(21.43%) ▶ ‘커뮤니케이션 능력(사교성, 협상술 등)’(21.43%) ▶‘외국어능력’ (21.43%) ▶‘인턴, 아르바이트 등 현장 경험’(7.14%) 등으로 나타났다.
- ‘열정’과 ‘자신감’이 성공좌우
취업에 성공한 가장 큰 비결
42.84%가 ‘열정’과 ‘자신감’이라고 답했다. 이밖에 ▶‘전문지식과 경험’ (28.58%) ▶‘기획서작성과 시간관리’ (14.29%) ▶‘외국어 능력 (14.29%)이라고 답해 열정과 자신감뿐 아니라 마케팅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은 물론이고 인터넷 활용능력과 컴퓨터를 활용한 문서작성능력, 외국어 능력에 대한 준비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현업으로 진출하기 전에 준비해야 할 것은 무엇일까?
아무래도 국내에 전문 과정이 없다 보니 ▶‘선진 스포츠 마케팅 교육(유학)’(28.57%)과 ▶‘현장 경험과 시장성 파악’(28.57%) 이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또한 ▶‘외국어 능력’(28.57%) ▶‘기획서, 행사 운영 능력’(14.29%) 등도 미리 배우고 오면 좋다고 조언했다.
- 성취감과 박진감이 매력
단점
▶‘높은 업무강도’(33.33%) ▶‘산업 시스템 낙후’ (33.33%) ▶‘신규분야 지식습득’(16.67%) ▶‘조직관리’(16.67%) 등에 어려움을 겪는다고 토로했다.
장점
▶박진감과 현장 분위기의 매력 ▶다변화하는 세상에 능동적으로 대처가 가능 ▶성장 가능성과 비전 ▶성취감 ▶전문성 등으로 응답해 현장에서의 환경은 아직 시작단계이지만 앞으로의 무한한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도전해나가는 스포츠마케터들의 삶을 엿볼 수 있었다.
# 스포츠마케터 연봉수준
한국고용정보원의 2007년도 자료에 따르면 스포츠마케터의 평균임금은 3,346만원 정도로 향후 일자리 전망에 대해서도 증가 66%, 현상유지 18%, 감소 17%라는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 취업전략
현재 스포츠마케터가 되기 위해 특별한 자격 및 학력, 경력에 대한 제한은 없다. 단지 4년제 대학의 스포츠경영학과, 스포츠 산업대학원, 체육대학원의 관련 전공자이면 유리하다. 아직까지 국내에 별도의 직업훈련과정은 없지만 외국어와 스포츠, 국제법 등의 폭넓은 지식이 필요하다.
관련 공인자격증으로는 스포츠경영관리사 자격증이 있다. 자격 시험은 필기와 실기로 구성되어있다. 필기는 스포츠산업론, 스포츠경영론, 스포츠마케팅론, 스포츠시설 등에 대해 과목당 25문제의 객관식 시험을 치르고, 실기는 스포츠마케팅 및 스포츠 시설 경영 실무 등에 대해 주관식 필답형으로 평가한다. 합격 기준은 필기의 경우 과목당 100점 만점에 매 과목 40점 이상, 전 과목 60점 이상이고 실기는 60점 이상이다.
또 마케팅의 여러 분야 중 스포츠에 초점이 맞춰진 직업이다 보니 스포츠에 관한 전문 지식은 반드시 숙지해야 할 요소다. 국내외 스포츠 산업 동향에 대해서 늘 안테나를 세우고 있어야 하고, 특히 스포츠마케팅이 경기장 밖에서 더 활발하게 진행되기 때문에 스포츠 경기 운영과 선수와 구단, 협회 등의 특성에 대해 파악해 두는 것이 좋다.
이와 함께 스포츠마케터에게는 열정과 도전정신, 자신감 등이 전문지식 못지 않게 중요하다. 때문에 스포츠 매니아들이 우대받는 것은 당연할 터. 아르바이트나 인턴 등 스포츠 마케팅에 관한 실무 경험을 쌓아두는 것도 좋다. 아울러 기업과 스포츠선수를 중재하는 업무이기 때문에 설득력 있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배양하는 것 또한 필요하다.
※어떻게 조사했나 (이메일을 통한 질의응답)
조사기간 : 2008년 5월 30일~6월 9일
조사대상: 현직 스포츠마케터 14명
(http://job.incruit.com/jobdb_list/searchjob.asp?ct=1&ty=3&cd=11940&pco=283)
|
첫댓글 스포츠마케팅 관련 좋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곳입니다. 앞선 스포츠 업계 선배들과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곳!
http://www.facebook.com/socialnsports
URL주소가 잘못된거 같아요~
국내에스포츠마케팅회사들이있는지요~있다면어떤것들이잇는지요~채용시기등알고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