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역학동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명리마당 병화일간의 午대운의 길흉의 이유는 무엇일까요?
西巖 추천 0 조회 1,285 18.10.06 13:58 댓글 14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8.10.06 14:46

    첫댓글 1.3.4는 계수를 길신으로 쓰는게 맞고 2번은 다른경우입니다
    3번을 보면 매부밑에서 걍 뼈를 묻을 것이지 지가 잘나서 부사장에 오른줄알고 내가 사장한번 해 보아야 겠다는 오만이 화를 부른것이다 세개사주는 공히 계수의 동태를 살피라

  • 작성자 18.10.06 22:37

    1번 명조에서 계수를 길신이라 보셨다면 왜 계수가 힘을 잃는 갑오대운에 길했을 까요?
    2번 명조도 병오대운에 길했다한다면 1번 명과 유사해보이는데 어떤 차이가 있다고 보시는지요?

  • 18.10.06 15:08

    3번 명조는 丑월의 병화가 실령한데다가 시지 巳화는 巳申합하여 겨울이니 水로 기반 하였고, 년간 丙화도 丙申합 하여 水로 기반 하였으니 이사주는 겨울의 水기운에 종해야 하는 외격 사주로 보이네요..따라서 木火 기신이지요..乙巳대운 乙목은 지지 巳화에 절각된 데다가 乙辛충 하니 힘을 못쓸 것이고 巳화 역시고 巳丑합하여 金으로 화하니 이 시기는 그럭저럭 넘어 갈수도 있는 운인데 다행인것은 이 운과 丙 대운에는 내운으로 사업을 한것이 아니라 사장의 운으로 고정수입이 보장된 직장생활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부도가 발생할 일은 없었죠...그러다가 이제 午대운에 들어가서 내운을 타며 사업을 벌이니 당연이 부도이지요.

  • 18.10.06 15:28

    4번 명조도 3번과 비슷한 명조인데 午대운은 12신살로 災殺 대운이면서 양인운이면서 동시에 午화 양인이 직업궁이자 인격 명예에 해당하며 財庫인 월지 丑토를 午丑穿 하였고 귀문에도 해당되네요...말그대로 귀신이 곡할일이 발생하지요..
    1,2 번 명조는 午화를 억부로 쓸수 있겠으나 3. 4 번은 외격으로 보아야 할것 같네요..
    격국용신의 중요성을 알려준 좋은 사례라 하겠습니다. 잘 보았습니다.

  • 작성자 18.10.06 22:25

    의견 감사합니다. 그런데, 3번 명조는 년간지 병술로 술토 는 화의 고장지이고, 시지 사화가 있음에도 종할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 18.10.06 23:27

    1,2번 신약해도 종은 안돼니 印,比가 길하지만

    3,4번 기명종재격이니 식재운은 길하지민 목화운은 大凶합니다.
    사화는 사유축금국이 되므로 財로 변합니다.

  • 18.10.07 00:33

    인수를 남편으로 본 임철초이니ㅡ육친법이 정통법이.아니에요
    잘 안맞아요

  • 작성자 18.10.07 00:46

    적천수에서 임선생님은 관살 을 남편으로 보는 경우와 관살 이 있음에도 인수를 남편으로 보는 경우를 나누고 있는데 그 기준을 아시나요?

  • 18.10.07 14:37

    @西巖 그게 임철초 개인 관법이니
    제가 알도리가 있나요
    다만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신약.신강으로는
    명리를 보지 않습니다

  • 18.10.07 11:55

    명조 3번
    병오대운...
    을해년 사업시작....정임암합의 작용
    병자년 사업부도....자오충의 결과 부도

  • 18.10.07 14:28

    癸丙辛辛
    巳子卯丑
     
    己戊丁丙乙甲癸壬
    亥戌酉申未午巳辰
    ㅡㅡ
    배우자궁에 자수 정관이 놓이고 계수정관투출이니
    남편덕은 있다고 보는데ㅡ
    문제는 자묘형과 자사암합의 관계이죠
    비겁인 사중 무토 식신이 무계합으로 자사암합이니 다른 첩의 자식을 두고 있다고 봅니다. 자묘형이니 여자를 밝히는 남편인데 아마도 자오충으로 자사암합을 풀어줘야 길할 듯 ㅡ따라서 자오충은 호충으로 보입니다.
    정관자수가 자묘형이나 암합이 되면 안 좋거던요
    정관이 자유로와야 남편길운이 열리는 것으로 보면 돨 것 같습니다.

    따라서

    신약으로 오대운 길흉을 판단하는 것은 명리발전에 저해 요소라 생각합니다

  • 18.10.07 14:35

    丙丙癸丁
    申辰卯酉

    辛庚己戊丁丙乙甲
    亥戌酉申未午巳辰
    ㅡㅡ

    인수가 묘유충으로 파격이네요
    그러나 패중유성이니
    유금을 극하는 운에 성격이 되면 발복합니다
    미토대운은 묘미합으로 국이 더 단단해지는 상이고
    무토대운에는 무계합거로 정관계수를 제거합니다
    남편부재이니 남편에게 불상사가 보이죠.
    인수용관에서 상신인 정관의 손상은 용신을 해롭게 하는 데 곧 상신이 상하면 용신이 상한다 ㅡ
    라는 글귀가 떠 올릅니다

    이러한 명조는
    운이 쉽게 바뀌죠
    다시 무신운에 패격이 되면
    본래 되로 돌아갑니다


  • 18.10.07 15:06

    癸丙辛丙
    巳申丑戌 

    이ㅡ명조는 재성이 모두 병신합거및 사신형합이ㅡ된 것이므로 비겁이 재물겁탈의 위험이 내재된 사주이죠.
    또 축술형이니 재물입고현상도 나타날 겁니다
    오대운 오술반합인데 병화가 바로 있으므로 화국이 됩니다. 그러면 겁재출현으로 보이는데 재성을 극하여 재물을 겁탈하겠죠. 그러면 축토에 재성입고가 시작됩니다
    실제로 오대운 사업하다가 부도났다면 겁탈현상인데ㅡ
    오술합국이 발생했다고 보아야 이해가 될 겁니다


    모두가 재왕하고 약간 신약하니 오대운에 크게 성공하겠소 하는 감정을 받았다 한다.
    ㅡㅡ
    형충회합을 읽을 줄 모르면
    사람 잡는 감정을 하게 됩니다

  • 18.10.07 14:41

    癸 丙 辛 丙
    巳 申 丑 申

    63 53 43 33 23 13 3

    戊 丁 丙 乙 甲 癸 壬
    申 未 午 巳 辰 卯 寅

    이 명조도 병신합거와 사신형합이죠
    다만 년지 신금재성이 살아서 돈운은 좋습니다
    오대운에 화극금으로 년지 재성을 겁탈하겠죠.
    측토는 금고장지이니
    이런 명조는 재물이 한꺼번에 입고되는 현상이 자주 나타나서 ㅡ 사기꾼 소리 들을 수도 있을 겁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