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국법에는 억지 이론과 무리한 논리가 많습니다.
무리한 논리의 예를 하나 들어봅니다.
"성중유패란 무엇인가?"
“가령 정관이 재를 만났는데, 또 상관을 만난 것이다(如正官逢財而又逢傷).”
원문에서 정관격이 재를 만났는데 또 상관을 만난 경우를 패(敗)로 논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부분은 무리가 있어 보입니다. 상관의 기운을 재성으로 돌리기에 패가 될 수 없다고 봐야 옳을 것입니다. 그 예를 보죠.
辛 甲 己 丁
未 申 酉 未
이 사주는 정관격이 재를 만났는데, 또 상관을 만난 사주입니다. 이건 패(敗)로 볼 수 없습니다. 재성이 상관의 기운을 화(化)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논할 수 있는 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책에 다음과 같은 논리가 있기 때문입니다.
"무엇을 구응이라 하는가?"
“재가 겁재를 만났는데 식신이 투출하여 겁재를 화(化)하는 것이다(財逢劫而透食以化之).”
즉
패의 원인이 되는 기신이 있을 때, 그것을 화(化)하는 방법을 구응법으로 인정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왕학사 사주가 그 증거입니다.
壬 辛 辛 甲
辰 酉 未 子 왕학사
격국법은
정관격이 상관을 만났을 때, 인수의 극(剋)으로만 구응이 가능하다는 논리를 폈는데, 이건 오류입니다.
정관격이 상관을 만났을 때, 재성의 화(化)로도 구응이 가능하다고 논했어야 옳은 것입니다.
격국법에는 이처럼 무리한 논리가 있습니다. 그것도 군데군데 많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