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쾌하고 정열적인 강의 들으며
열심히 배우고 있습니다.
3상3선식에도 접지를 할 수 있다는 것은
책에서 보고 강의를 들어
알긴 알겠는데,,
이해는 안 되서요..
300V 이하에만 적용한다고는 하지만 .
3상3선식의 한 단자를 땅에 묻어 접지 한다는 것이
그냥 한 단자를 지락시키는 것 또는 누전과
어떻게 다른가요?
높은 수준 말고 그냥 이해만 가게요..
첫댓글 회로구성이 안되서 지락사고와는 다른거 아닐까요3상 4선식은 중성점 접지가 되어 있으니까 임의의 한단자를접지시키면 회로구성이 되서 지락사고가 되지만 3상3선식 300v 이하에서는 회로구성이 안될거 같은데요...송전선로는 특고압이고,장거리선로니까 정전용량에 의해 회로구성이 되서 지락사고가 되는거고300v 이하의 저압측 임의의 한단자를 접지한다는 거를보통 수용장소에서의 변압기 2차측이라고 생각한다면...정리가 안되네요 ^^: 원장님의 설명이 필요할듯 ...
3상4선 이나 단상3선은 벡터합이 0인 곳을 접지하면 괜찮을 것 같은데..3상3선은.. 머리가 안돌아 갑니다.
지락사고라는게 지락전류가 계통으로 흘러서 악영향을 주는건데3상3선식에서 한단자를 접지하면 전류가 대지로만 흐르지중성점이 접지가 안되어 있으니 계통으로 흐르지 못할거 같아요다만 송전선로에서는 정전용량에 의해서 계통으로 흐를 수 있으니한선을 접지하면 안될듯...그래서 조건을 2차전압 300v 이하로 둔듯?
나름 생각을 해보니 접지 방식이 무조건 접지극을 그냥 묻는 것만 있는 것도 아니고, 저항접지 등 여러 방식이 있으니까 현장상황에 맞는 적절한 접지방식과 감도조정을 하면누전을 최소화 하면서도 안전을 확보하는 절충점이 있겠네요.그건 뭐 기사시험 범위가 아닌 것 같으니.. 열심히 쓰기 연습 해야 겠어요~~~
첫댓글 회로구성이 안되서 지락사고와는 다른거 아닐까요
3상 4선식은 중성점 접지가 되어 있으니까 임의의 한단자를
접지시키면 회로구성이 되서 지락사고가 되지만
3상3선식 300v 이하에서는 회로구성이 안될거 같은데요...
송전선로는 특고압이고,장거리선로니까 정전용량에 의해
회로구성이 되서 지락사고가 되는거고
300v 이하의 저압측 임의의 한단자를 접지한다는 거를
보통 수용장소에서의 변압기 2차측이라고 생각한다면...
정리가 안되네요 ^^: 원장님의 설명이 필요할듯 ...
3상4선 이나 단상3선은
벡터합이 0인 곳을 접지하면 괜찮을 것 같은데..
3상3선은..
머리가 안돌아 갑니다.
지락사고라는게 지락전류가 계통으로 흘러서 악영향을 주는건데
3상3선식에서 한단자를 접지하면 전류가 대지로만 흐르지
중성점이 접지가 안되어 있으니 계통으로 흐르지 못할거 같아요
다만 송전선로에서는 정전용량에 의해서 계통으로 흐를 수 있으니
한선을 접지하면 안될듯...그래서 조건을 2차전압 300v 이하로 둔듯?
나름 생각을 해보니
접지 방식이 무조건 접지극을 그냥 묻는 것만 있는 것도 아니고,
저항접지 등 여러 방식이 있으니까
현장상황에 맞는 적절한 접지방식과 감도조정을 하면
누전을 최소화 하면서도 안전을 확보하는 절충점이 있겠네요.
그건 뭐 기사시험 범위가 아닌 것 같으니.. 열심히 쓰기 연습 해야 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