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kyilbo.com/sub_read.html?uid=340934§ion=sc30§ion2=
우리 속담에 `배워서 남 주나`라는 말이 있다. 무엇이든 배우고 나면 다 자기에게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으니 열심히 배워두라는 말이다. 물론 이 말은 이것저것 닥치는대로 아무것이나 배우지 말고 유익하게 쓰일 것을 배우라는 의미일 것이다.
심폐소생술이야 말로 이에 딱 맞는 말이다. 요즘 심폐소생술로 길 가다 쓰러진 어르신이나 버스, 비행기 안에서 갑자기 호흡이 멈춘 젊은이들을 이 `신묘한` 임기 응변술로 구해 냈다는 뉴스들이 종종 들린다. 하지만 막상 이 신비의 묘약을 제대로 아는 사람들은 그리 많지 않다.
심정지 환자의 58%가 가정에서 발생한다. 심폐소생술만 제대로 알면 위급한 순간 가족들의 소중한 생명을 구할 수 있다. 하지만 늘 배워야지 배워야지 하다가 위급을 순간을 맞아 이를 활용하지 못하는 게 사실이다.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08년 뇌심혈관질환 조사감시 결과에 따르면 심정지 환자는 인구10만명 당 40-42명이 발생한다. 또 공공장소(26.6%)보다 가정(58.0%)에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정지란 심장발작, 외상 등으로 인해 심장이 정지된 상태를 말한다.
내 눈 앞에서 누군가 심정지로 쓰러진다면 많이 당황스러울 수밖에 없다. 하지만 심폐소생술을 배워두면 위급한 상황에서도 침착함을 유지하고 귀한 생명을 살릴 수 있을 것이다.
환자가 쓰러지면 가장 먼저 환자의 반응을 확인해야 하며, 반응이 없다면 즉시 119에 신고를 해야 한다.
그리고 주변에 자동심장충격기가 있다면 바로 가져오도록 도움을 청해야 한다. 그 다음 호흡이 있는지를 10초 이내로 확인한 후 호흡이 없다면 바로 가슴 압박을 실시하여 뇌와 장기의 손상을 막고 심장의 리듬이 돌아오도록 노력해야 한다.
심폐소생술의 중요성은 이미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다. 하지만 아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행동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심폐소생술은 머리로 생각만 하는 것이 아닌 몸으로 실천을 해야 그 효과를 볼 수 있다.
심폐소생술 방법은 `환자를 평평하고 단단한 바닥에 반듯이 눕히고 환자 가슴 옆 가까이 무릎 꿇고 앉아 양손을 겹쳐 깍지를 낀 다음, 팔꿈치가 구부러지지 않도록 환자의 몸과 수직으로 가슴 뼈 중앙 아래 2분의1 지점을 깊고 빠르게 5cm 깊이 분 당 100~120회 속도로 압박과 이완, 환자가 반응을 보이거나 119가 도착할 때까지 계속 반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아런 응급처치 방법을 정확히 숙지하고 실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목격자에 의한 심폐소생술 시행률을 높인다면 지금보다 자발 순환 회복률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심폐소생술 및 자동 심장충격기 사용법 교육은 선택사항이 아니라 국민의 대다수가 받아야 할 필수교육 사항이어야 한다. 또 국민들에게 응급처치 요령을 지속적으로 교육해 국민 개개인의 의료역량을 강화하고 국민 스스로가 자신과 이웃의 안전을 지키고 보건안전 수준을 향상해야 할 것이다.
배워두면 위급한 상황에서 내 가족을 살릴 수도 있으니 이런 심폐 소생술이야 말로 `배워서 남주나`라는 옛날 우리 속담에 딱 어울리는 응급처치법이다. 이제부터 우리 모두 심폐소생술을 배워 `배워서 남 주는 일`을 해야 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