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6.20이후 적용 자세한사항은 공지확인하시라예
출처: 여성시대 sophy_
예전부터 정리는 주기적으로 해보고 있었는데
오늘부로 더 지니어스가 급 막방이더라고
그래서 나의 정리도 완결냄 ㅇㅅㅇ
음악부터 포맷, 연출, 게임형식까지
솔까 언제 소송 걸려도 이상하지 않다고 생각함
제작진 멘탈 스바라시데스요
일단 프로그램 설명
더 지니어스
《더 지니어스: 게임의 법칙》은 2013년 4월 26일부터
2013년 7월 12일까지 방송된 tvN의 오락 프로그램 이다. (시즌1)
《더 지니어스: 룰 브레이커》는 2013년 12월 7일부터 방송 -
더 지니어스: 게임의 법칙의 후속편이며, 공식 제목은 1차 티저를 통해
《더 지니어스: 룰 브레이커》로 확정 되었다. (시즌2, 현재 방영중)
라이어 게임
《라이어 게임》 (Liar Game)은 일본의 만화가 카이타니 시노부의 만화,
또는 이를 원작으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 영화 이다.
《주간 영 점프》 2005년 12호부터 부정기로 연재 중이다.
드라마 시즌1은 2007, 시즌2는 2009 방영
출처 : 위키백과
이제 본격비교
나는 일단 라이어 게임을 드라마 밖에 안봐서
드라마 위주로 비교 할 거얌
<OST>
뭔가 좀 흥미진진해 질 때 나오는 BGM
한 30초가량만 들어봐도 된다능
더 지니어스
VIDEO
라이어 게임
VIDEO
비트, 진행 ,도입부부터 곡 전체 분위기까지 비슷한 음악 다수
<초대장 전달>
게임의 시작을 알리는 초대장 전달 장면
더 지니어스
박스 안에 담겨져서 전달 됨 안에는 가넷(돈 ) + 초대장 이 있음
라이어 게임
박스 안에 담겨져서 전달됨+ 돈(가넷 ) + 초대장 이 있음
더 지니어스
초대장 모양 및 연출 유사
라이어 게임
내가 지니어스->라이어 게임 순으로 봐서 그런지
지니어스 볼 당시 초대장 부분도 좀 인상 깊게 봤거든
그냥 막연하게 게임을 진행하기 보단
뭔가 출연자를 진짜 게임속으로 초대한다는
느낌이 들어서 참 좋았었는데..ㅋ
<게임 내 화폐>
더 지니어스
제작진 측에서 주는 가넷 1개 를 가지고 게임을 시작
가넷 1개 = 100만원 의 가치를 지님
게임이 끝나면 최후의 우승자 1인에게
가넷 수만큼 돈으로 환전해 줌
라이어 게임
게임 주최측에서 주는 핑크 다이어몬드 1개를 가지고 게임을 시작
핑크 다이아 1개 = 1억엔 의 가치를 지님
게임이 끝나면 최후의 우승자 1인에게
핑크 다이아 수만큼 돈으로 환전해 줌
<이름표>
더 지니어스
각 플레이어는 모두 이름이 새겨진 명찰을 지니고 달고 있음
명찰 옆에 가넷 갯수가 나타남
라이어 게임
각플레이어는 모두 이름이 새겨진 명찰을 지니고 달고있음
명찰 옆에 핑크다이아몬드 박혀있음
<미지의 ㅇㅇ남>
매 게임마다 등장해 전체 게임룰을
설명하는 주최측 가면/붕대 남자가 존재함
더 지니어스
붕대 로 얼굴을 가림
플레이어는 스크린을 통해서 만 그를 볼 수 있음
변조된 기계음 같은 목소리 동일
라이어 게임
가면으 로 얼굴을 가림
플레이어는 스크린을 통해서 만 그를 볼 수 있음
변조된 기계음 같은 목소리 동일
글쓰다가 보니 스크린 내부 모습도 되게 비슷한 것 같다ㅋ 분위기나 조명 등등
<게임 도우미>
더 지니어스
메인 딜러를 중심으로 2~3인 구성으로
게임 진행을 돕거나 질문에 대답 해 주는 역할
라이어 게임
동일
<세트장>
더 지니어스
게임 설명을 듣고 진행하는 메인홀
가운데 메인 스크린 을 중심으로 그 앞에 테이블 이 놓여져있음
+ 주변에 서브 스크린 다수 놓여져 있음 동일
라이어 게임
동일
더 지니어스
반대쪽에는 플레이어들이 들어왔던 출입문 이 있음
즉 출입구-홀-테이블-스크린으로 이어지는 세트장 구성
라이어 게임
동일
어두워서 잘 안보이는데 중앙에 네모난 부분이 출입문
더 지니어스
가운데 테이블에 음식이 제공 되고
그것을 먹으며 자유롭게 게임하는 분위기
라이어 게임
동일
그 외에도 게임장 내 각 방들의 모습이
생활하는 집이라는 공간 자체를 모티브 로 잡은것을 알수있음
그 한 예로 침실 세트장 의 모습
더 지니어스
라이어 게임
라이어게임도ㅇㅇ
<연출>
더 지니어스
문 열고 들어오는 장면 첫 장면의 연출이
손잡이로 문여는 모습-> 여주 뒷모습-> 문열고 장내로 들어오는 모습->
안에 와있던 출연자들 전체모습 -> 각각의 출연자 확대씬 으로 끝나는 플로우까지 똑같음
라이어 게임
그리고 이건 캡쳐로 표현이 안되서 안넣었는데
각 출연자 얼굴 줌땡기면서 휙휙 빠르게 컷으로 나타내는 편집
되게 많이쓰는데 그것도 라이어게임에도 굉장히 자주나오기도 함
뭐 이부분은 추리게임 특성상 비슷해졌다고 칠수도 있겠다..
<게임>
룰에 따라 게임 시간이 정해져 있음
해당 시간은 각 스크린에 크게 표시 됨
더 지니어스
라이어 게임
여태 진행됐던 게임들 중 유사한 게임들
출처:
http://mirror.enha.kr/wiki/%EB%8D%94%20%EC%A7%80%EB%8B%88%EC%96%B4%EC%8A%A4/%ED%91%9C%EC%A0%88%20%EB%85%BC%EB%9E%80
더 지니어스 시즌 1 1회전 - 1.2.3 게임
: 도박묵시록 카이지 - 한정 가위바위보
더 지니어스 시즌 1 2회전 - 대선 게임
: 라이어 게임 - 의자뺏기 게임
더 지니어스 시즌 1 4회전 - 좀비 게임
: 라이어 게임 - 천사와악마 감염 게임
더 지니어스 시즌 2 4화 메인매치, 6화 데스매치 - 암전 게임
: 라이어 게임 - 밀수 게임
시즌 1 게임의 법칙의 4회전 이후 게임 부터는 더 이상 라이어 게임과 비슷한 게임은 없으나 대신 보드 게임 같은 기존에 이미 알려진 것을 재탕하는 식의 게임이 많아졌다 . 8회전 데스매치 '이미지 게임'은 '딕싯' 과 비슷하고 11회전 데스매치 '같은그림찾기'는 룰은'치킨 차차차', 그림은 정글스피드와 비슷하다. 12회전 2경기 '결! 합!' 은 보드게임 'SET'와 비슷하며, 인디언 포커는 알려진 게임을 그대로 사용한 경우.
이로 인해 '참신하다고 생각되는 게임은 타 작품의 룰을 베꼈고, 표절이 아니라고 생각되는 게임은 보드 게임을 재탕 하였으니 사실상 제작진이 스스로 생각한 참신한 게임은 없지 않은가?' 라는 비판이 있다. 아예 지니어스에 나온 보드게임을 할인판매한다.
시즌 2 룰 브레이커에서는 아예 코리아보드게임즈[13]를 게임자문으로 붙여놨다.
바로위 " 여태 진행됐던 게임들 중 유사한 게임들" 부분만 퍼왔는데
전문을 다 퍼오기는 좀 그렇기도 하고 너무 길어질것같아서
출처 들어가면 더 자세히 볼수있어 영상 같은것도
최근 더지니어스 PD 인터뷰 중 (14.01.11)
Q. ‘지니어스’는 표절 논란으로 몸살을 앓은 적도 있다. 유사한 프로그램들과 차별화하기 위한 고민도 깊었겠다.
정종연PD: 물론 이미 잘 알려진 몇몇 프로그램들을 참고한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장르적 유사성은 방송에 필수불가결한 요소이고, 프로그램에 담긴 내러티브는 모두 제각각이다.
결국, 방송을 만든다는 것은 컨버전, 포맷 등과 관계가 깊다.
즉 제작 노하우를 얼마나 치밀하게 담아낼 수 있는가가 중요하다는 이야기다.
그 부분에서 제작자의 역량이 드러난다.
제작진은 라이어게임 참고는 했지만 표절은 아니라고 하니
(판권 구매 안했음)
이게 진정 참고 수준인지는 이글을 보는 사람들이 직접 판단하겠지..
나도 표절건 모를때는 참신하게 예능 잘뺐다고 생각했는데 ㅋㅋㅋ
이젠 표절이 아니라 스스로 창조해낸 부분이 있기는 한가 묻고 싶을 정도
정리 고자라 잘 알아볼런지 모르겠다 흡..
출처 밝히고 퍼가도 됨 스크랩도 됨 다 됨
안문제시 2월내로 취업함
문제시 조용히 알랴줘
ㅋ.....ㅗ
라이어게임잼께본사람으로써 존똑임
난 라이어게임 만화책으로 엄청 열심히 챙겨보던 편이라서 더지니어스 본적 한번도없어....그냥 뭔가 팬으로써 찝찝한 기분???근데 사람들은 지니어스 참신하다고 열광하니까 속상하기도하고ㅠㅠㅠ라이어게임이 진짜 개쩌는뎅....봐도봐도안질려
진짜 피디 천재아니냐고 생각했었는데.. 쩝
보는동안 카이지 생각났는뎈ㅋㅋㅋㅋ 진짜였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