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意義]
강이나 바다를 등지고 치는 진이라는 뜻으로,어떤 일을 성취하기 위하여 더이상 물러설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줄여서 보통 배수진(背水陣)이라 한다.
[同意語]
背水爲陣(배수위진)
背水一戰(배수일전)
[類似語]
棄糧沈船(기량침선)
捨量沈舟(사량침주)
濟河焚舟(제하분주)
破釜沈舟(파부침주)
背城借一(배성차일)
[出典]
사기(史記) 회음후열전(淮陰侯列傳).
[解義]
한(漢)나라 유방(劉邦)이 제위에 오르기 2년 전인 204년, 명장 한신(韓信)은 유방의 명령에 따라 장이(張耳)와 함께 위(魏)나라를 격파한 여세를 몰아 병사 수만 명을 이끌고 조(趙)나라를 공격하였다.
조나라는 군사 20만 명을 동원하여 한나라가 쳐들어올 길목에 방어선을 구축하였다
조나라의 군사전략가 이좌거(李左車)가 재상 진여(陳餘)에게 길목에서 기다리고 있다가 지나가는 한나라 군사를 공격하자고 건의하였으나 기습을 별로 좋아하지 않은 진여에 의해 묵살되었다.
이 정보를 입수한 한신은 기병 2,000명을 조나라가 쌓은 성채 바로 뒤편에 매복시켰다. 그러면서 한신은 "우리가 달아나는 것을 보면 조나라 군사는 우리를 좇아올 것이다.이때 조나라 누벽에 들어가 한나라의 붉은 깃발을 꽂아라."
또한 병사 1만 명으로 하여금 먼저 가게 하고 정경의 입구에서 나와 강을 등지고 진을 치게 하였다. 조나라 군사는 이를 바라보며 크게 웃었다[信乃使萬人先行 出背水陣 趙軍望見而大笑].
조나라 군사가 성에서 나와 공격하자 한신은 거짓으로 배수진까지 후퇴하였다.
여러 차례 접전을 치르면서 한나라 군사는 배수진에서 우군과 합류하였다.
기세를 제압하였다고 판단한 조나라 군사는 한신을 맹렬히 추격하였다.
이때를 노려 한신은 매복시켜 둔 군사에게 조나라의 성채를 점령하도록 하였고,나머지 군사는 배수진을 친 곳에서 필사적으로 싸웠다.
결사적인 항전에 지친 조나라 군사는 견디지 못하고 성채로 돌아와 보니 이미 한나라 깃발이 꽂혀 있었다.한신의 승리로 돌아간 것이다.
배수진은 오랜 원정을 거듭해 조나라보다도 전력이 떨어진 한신의 전술에서 유래한 말이다.
이는 막다른 골목에 몰린 것처럼 사생결단하는 정신 상태로 싸움에 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등 뒤에 강물이 흐르니 싸움에 져서 죽든지 강물에 빠져 죽든지 죽는 것은 마찬가지이므로 죽기 아니면 살기로 싸움에 임한 것이다.
십팔사략(十八史略) 한태조고황제(漢太祖高皇帝)에도 배수진이라는 고사성어가 나온다.
[English]
-To deploy the troops with backs to a river .[배수지진(背水之陣)]
-To fight with one's back to a river. [강을 등지고 전투(戰鬪)를 하다]
-To put up a desperate fight. [필사(必死)적인 전투를 하다]
-To burn one's boats. [배를 불태워 돌아갈 수단을 없애다; 배수진을 치다]
=To burn one's bridges. [다리를 태워버리다]
출처:NAVER백과사전.www.cybergosa.net .풀어쓴 중국고전.
|
첫댓글 우천님 읽을거리 많이 제공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날 되시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