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칠 복(攴,攵)자는 손에 몽둥이를 들고 때리는 모양을 한 글자입니다. 아버지 부(父)자와도 흡사합니다. 아버지 부(父)자는 아버지의 권위와 자식 교육을 표시한 글자라고도 합니다. 현대에는 아버지의 권위가 땅에 덜러진 시대입니다. 그래서 패륜아들이 많이 나옵니다. 이에 대하여는 서양의 프로이드라는 정신분석학자도 이미 맑힌 바 있습니다. 부자 관계를 유친(有親)이 두고 살았던 동양에서는 그리 문제되지 않았던 정신 상태였으나, 사회가 서구화(西歐化) 되면서 부자(父子)의 문제는 많은 문제점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攴,攵
거둘 수(收)자는 얽힐 구(丩)자에 칠 복(攴,攵)자를 했습니다. 얽힐 구(丩)자는 덤불을 뜻합니다. 덤불은 몽둥이로 쳐서 가시나 덤불을 잡은 다음에 거두어 드릴 수 있습니다.
收
상고할 고(攷)자는 성부(聲符)로 공교할 교(丂)자에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를 했습니다. 공교로운 것을 잘 살펴 조사해 본다는 듯입니다. 상고할 고(考), 자랑할 과(夸)자는 공교할 교(丂)자가 들어 있어서 ‘고’ 또는 ‘과’로 읽습니다.
攷
바 유(攸)자는 사람 인(人,亻)자에 뚫을 곤(丨)자를 하고 칠 복(攴,攵)자를 했습니다. 사람을 때린다는 표시입니다. 바는 ‘~ 한 바’라는 불완전 명사입니다. 불완전 명사라는 것은 앞에 수식이 와야 뜻이 분명해지는 명사라는 뜻입니다. ‘잘 한 바’라든가, ‘뛰어 간 바’라고 해야 ‘~ 바’의 뜻을 알 수 있습니다. 사람을 때리면 무엇인가 실토를 하여 진실에 가까워진다는 뜻을 표시한 글자 같기도 합니다.
攸
고칠 개(改)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몸 기(己)자를 했습니다. 믿을 개(忋)자도 몸 기(己)자가 들어 있어서 ‘개’로 읽습니다.
改
역귀 쫓을 이(攺)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이미 이(已)자를 했습니다. 이미 이(已)자는 잉태된 태아의 초기 모양을 햇습니다. 이미 잉태 되었다는 뜻이지요. 이미 이(已)자와 몸 기(己)자와 뱀 사(巳)자를 구별해서 사용합니다. 옛 글자를 가지고 구별해 보면 태아를 표시한 이미 이(已)자와 뱀 사(巳)자의 구별이 잘 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뱀은 머리가 몸체에 비하여 굵은 뱀의 상형(象形)이고, 태아를 그린 글자는 다름을 알 수 있습니다. 지금은 이 세 글자를 아주 면밀하게 구분해 사용합니다마는, 과거에는 그렇게 신경 쓰지 않고 글자가 들어간 문장을 보고 뜻을 짐작했었습니다.
+
= 攺
칠 공(攻)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장인 공(工)자를 했습니다. 장인 공(工)자는 나무토막을 잘라서 무엇을 만드는 표시를 한 글자입니다.
攻
구할 간(攼)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방 패 간(干)자를 했습니다. 방 패 간(干)자는 방패의 모양을 상형(象形)한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攼
껄끄러울 굴(㩿)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攴)에 성부(聲符)로 빌 걸(乞)자를 했습니다. 칠 복 자는 몽둥이를 들고 있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점 복(卜)자는 몽둥이를 그린 글자이고, 또 우(又)자는 손을 그린 글자입니다. 빌 걸(乞)자는 ‘𠂉’자 아래에 새 을(乙)자를 해서 몸을 낮추어 납작하게 엎드려 비는 모양을 상형(象形)한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돌 골(矻)자도 빌 걸(乞)자가 들어 있어서 ‘골’로 읽습니다.
+
= 㩿
나아갈 우(㪀)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어조사 우(于)자를 했습니다. 어조사 우(于,亏)자는 방패 간(干)자와 비슷한데, 글자의 끝을 뚫을 곤(丨)자로 하지 않고 갈고리 궐(亅)자로 해서 방패 간(干)자와 구분했습니다. 어조사 우(于,亏)자는 문장 속에서 늘 중요하게 방패처럼 늘 사용하는 중요한 글자입니다. 장소를 나타내거나, 무엇을 지적해서 말할 때에 어조사 우(于,亏)자를 사용합니다. 어조사 우(于)자가 처음 생길 때는 비가 오는 모양을 상형(象形)한 글자라고 합니다.
+
= 㪀
나눌 반(攽)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나눈 분(分)자를 했습니다. 나눌 분(分)자는 칼로 공평하게 나눈 모양을 한 글자입니다. 눈 예쁠 반(盼)자도 나눌 분(分)자가 들어 있어서 ‘반’으로 읽습니다.
攽
놓을 방(放)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모 방(方)자를 했습니다. 모 방(方)자는 모가 난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放
정사 정(政)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바를 정(正)자를 했습니다. 바를 정(正)자는 정지선에 바르게 서 있는 모양입니다. 정사 정(政)자의 옛 글자를 보면 사람의 행동과 말을 몰아가는 표시를 했습니다. 정치라는 것이 사람의 행동과 말을 몰아가는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정치하는 사람은 국민들을 바른길로 몰아가야 나라가 됩니다. 그런데 현실은 정치가가 저 자신을 위한 이기적인 길로 국민을 몰고 갑니다. 그러니 나라꼴이 될 리가 없습니다.
政
가질 금(㪁)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攴)에 성부(聲符)로 이제 금(今)자를 했습니다. 이제 금(今)자는 모을 집(亼)자 아래에 ‘ㄱ’자를 하여 지금까지 시간이 모여 쌓였다는 뜻을 표시했습니다. ‘이제’라는 시점은 과거가 쌓인 시간입니다.
+
= 㪁
온전하지 못할 굴(㪂)자는 칠 복(攴,攴)자에 기운 기(气)자를 했습니다. 기운 기(气)자는 기류의 흐름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기류의 흐름을 몽둥이로 두드리니 흐름이 온전하지 못합니다. 공중에 몽둥이를 휘두르는 글자입니다.
+
= 㪂
핍박할 박(敀)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흰 백(白)자를 했습니다. 흰 백(白)자는 늙어서 머리털이 빠지고 하얗게 된 것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큰 배 박(舶), 닥칠 박(迫), 칠 박(拍), 배 댈 박(泊), 발 박(箔)자들은 흰 백(白)자가 들어 있어서 ‘박’으로 읽습니다.
敀
헤아릴 첨(敁)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차지할 점(占)자를 했습니다. 차지할 점(占)자는 차지한 땅에 깃발을 꽂은 형상을 한 글자입니다. 더할 첨(沾), 엿볼 첨(覘), 솎을 첨(酟)자들은 차지할 점(占)자가 들어 있어서 ‘첨’으로 읽습니다.
+
= 敁
두드릴 구(敂)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글귀 구(句)자를 했습니다. 글귀 구(句)자는 말로하면 없어지는 음성의 단점을 보완하여 만든 의사(意思) 보존의 좋은 방법입니다. 그래서 쌀 포(勹)자에 입 구(口)자를 해서, 팔로 에워 싼 모양을 했습니다.
敂
힘쓸 민(敃)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백성 민(民)자를 했습니다. 백성 민(民)자는 각시 씨(氏)자의 변형입니다. 두 글자가 모두 아이를 밴 여자를 상형(象形)했습니다.
敃
힘쓸 무(敄)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창 모(矛)자를 했습니다. 창 모(矛)자는 창을 상형(象形)한 글자입니다. 일 무(務), 무성할 무(楙), 별 이름 무(婺), 길이 무(袤)자들은 창 모(矛)자가 들어 있어서 ‘무’로 읽습니다.
敄
옛 고(故)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옛 고(古)자를 했습니다. 옛 고(古)자는 입 구(口)자 위에 열 십(十)자를 해서 이미 죽은 사람을 표시했습니다. 옛 고(古)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故
칠 가(㪃)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攴)자에 성부(聲符)로 옳을 가(可)자를 했습니다. 옳을 가(可)자는 입 구(口)자에 ‘ㄱ’자를 해서 옳다고 말하는 것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여기서 ‘ㄱ’자는 옳다고 찬성하는 일종의 기호입니다. 무엇을 기억하려면 ‘ㄱ’자 표시를 해서 다른 항목과 차별합니다.
+
= 㪃
깨뜨릴 불(㪄)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攴)자에 성부(聲符)로 아닐 불(弗)자를 했습니다. 아닐 불(弗)자는 구부러진 화살(丿)을 반듯하게(丨) 하느라고 똑바른 틀에 끈으로 묶어(弓) 두어 구부러진 것을 반듯하게 펴는 도구를 그린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
= 㪄
고칠 경(㪅,更)자는 고치려면 쳐서 고치는 경우가 많으니까, 칠 복(攴,攵)자에 밝은 데서 쳐서 고치니까, 밝을 병(丙)자를 했습니다. 밝을 병(丙)자는 휘장을 걷어 놓은 형상입니다. 빛이 들어와서 밝겠지요. 밝은 데서 쳐서 고친다는 말입니다. 고칠 경(㪅)자를 간략하게 고칠 경(更)자로 많이 사용합니다. 밝음에서는 축복 받은 일을 하게 됩니다. 어두운 데서는 축복 받지 못할 일을 하게 됩니다. 밝은데서 축복 받으며 일이 이루어지면 이는 바르고 좋은 일입니다. 그러나 밝은데를 피하여 어두운데서 이루어지는 일은 죄악이며 잘못일 경우가 많습니다.
㪅,更
숨길 저(㪆)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攴)자에 성부(聲符)로 근본 저(氐)자를 했습니다. 근본 저(氐)자는 각시 씨(氏)자 아래에 한 일(一)자를 한 글자입니다. 각시 씨(氏)자는 아기를 배서 여자의 배가 불룩 나온 것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근본 저(氐)자는 각시 씨(氏)자 아래에 한 일(一)자를 더하여 여자가 아기를 낳는 곳임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
= 㪆
모을 갑(敆)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합할 합(合)자를 했습니다. 합할 합(合)자는 모을 집(亼)자 아래에 입 구(口)자를 해서 사람이 합해진 것을 표시했습니다. 모자 갑(帢)자도 합할 합(合)자가 들어 있어서 ‘갑’으로 읽습니다.
敆
채찍질할 책(敇)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가시 자(朿)자를 했습니다. 가시 자(朿)자는 나무 목(木)자에 가시가 돋은 모양을 한 글자입니다. 채찍 책(策), 풀 가시 책(茦), 붙들 책(拺)자들은 가시 자(朿)자가 들어 있어서 ‘책’으로 읽습니다.
+
= 敇
본받을 효(效)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사귈 교(交)자를 했습니다. 사귈 교(交)자는 서로 교차 되는 표시인 ‘X’자를 상하(上下)로 하여 사귄다는 표시를 했습니다. 본받을 효(効), 단소 효(筊)자는 사귈 교(交)자가 들어 있어서 ‘효’로 읽습니다.
效
어루만질 미(敉)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쌀 미(米)자를 했습니다. 살 미(米)자는 벼의 이삭을 표시해서 쌀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敉
몹시 앓을 축(敊)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콩 숙(尗)자를 했습니다. 콩 숙(尗)자는 콩깍지에 들어 있는 콩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한 편 찔려서 피가 나는 모양이기도 합니다. 삼갈 축(踧)자도 콩 숙(尗)자가 들어 있어서 ‘축’으로 읽습니다.
+
= 敊
칠 격(敋)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각각 각(各)자를 했습니다. 각각 각(各)자는 발과 입을 그려서 사람마다 행동이 다르고 말이 다른 것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바로잡을 격(格), 칠 격(挌), 거머리 격(蛒)자들은 각각 각(各)자가 들어 있어서 ‘격’으로 읽습니다.
+
= 敋
다할 활(敌)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혀 설(舌)자를 했습니다. 혀 설(舌)자는 입 안에 혀를 상형(象形)한 글자입니다. 살 활(活), 어름 활(㓉), 교활할 활(姡), 올챙이 활(蛞)자들은 혀 설(舌)자가 들어 있어서 ‘활’로 읽습니다.
+
= 敌
흩어질 선(㪇)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먼저 선(先)자를 했습니다. 먼저 선(先)자는 어진사람 인(儿)자 위에 발 지(止)자의 변형을 해서 먼저 앞서서 걷는 사람을 표시했습니다. 발 지(止)자의 변형이란 바로 발(足)을 썼다는 말입니다.
+
= 㪇
놓을 계(㪈)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攴)에 성부(聲符)로 홀 규(圭)자를 했습니다. 홀 규(圭)자는 흙 토(土)자를 두 개 하였습니다. 홀은 흙으로 만들었음을 나타냈습니다. 계수나무 계(桂), 화덕 계(烓), 잎이 가늘고 마디가 굵은 대나무 이름 계(筀), 금규 계(銈)자들은 홀 규(圭)자가 들어 있어서 ‘계’로 읽습니다.
+
= 㪈
열 계(啟)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열 계(启)자를 했습니다. 열 계(启)자는 지게문 호(戶)자 아래에 입 구(口)를 해서 문을 열어 놓은 표시를 했습니다.
啟
베풀 서(敍)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나 여(余)자를 했습니다. 나 여(余)자는 창을 그린 글자입니다. 천천히 서(徐), 천천히 걸을 서(俆), 베풀 서(叙), 의심스러울 서(悇), 두꺼비 서(蜍)자들은 나 여(余)자가 들어 있어서 ‘서’로 읽습니다.
敍
가르칠 교(敎)자는 가르치는 데는 매가 반드시 필요한 것이니, 칠 복(攴,攵)자에 가르치는 것을 근본은 효도이니, 효도 효(孝)자를 했습니다. 효도 효(孝)자는 젊은이가 늙은이를 엎고 있는 표시입니다. 효도는 젊은이를 인간답게 하는 가장 근본이 되는 덕목입니다. 지금 세상에서는 효도하는 젊은이를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더구나 정치인들이 표를 얻을 욕심으로 젊은이들에게 아부를 하여 동양의 전통적 윤리가 무너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엣 글자를 보면 'X'표를 상하로 쌓아 놓아 마치 책을 표시한 것처럼 보입니다.
敎
재빠를 민(敏)자는 재빠른 것은 손으로 하는 일이니, 손이 하는 일을 표시하는 칠 복(攴,攵)자에 재빠르려면 반복해서 훈련을 해야 하니, 매양 매(每)자를 했습니다. 매양 매(每)자는 ‘𠂉’ 글자에 어미 모(母)자를 했습니다. 어머니가 집안에서 늘 자녀를 돌보는 일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그런데 옛 글자를 보면 여자가 머리를 매만지는 표시를 했습니다. 여자가 머리를 재빠르게 고친다는 의미인 것도 같습니다. 또 여자는 날마다 머리를 매만져야 한다는 말과도 같습니다.
敏
기뻐하는 모양 진(敐)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별 진(辰)자를 했습니다. 별 진(辰)자는 별이 빛을 발하는 모양을 상형(象形)한 글자입니다.
+
= 敐
건질 구(救)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구할 구(求)자를 했습니다. 구할 구(求)자는 물에 바진 사람을 건져내는 표시를 한 글자입니다.
救
다스릴 신(敒)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펼 신(伸)자를 했습니다. 펼 신(伸)자는 사람 인(人)자에 거듭 신(申)자를 했습니다. 거듭 신(申)자는 등뼈를 두 손으로 주무르는 표시입니다. 등뼈를 거듭 주물러서 시원하게 한다는 뜻입니다.
敒
빼앗을 탈(敓)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빛날 태(兌)자를 했습니다. 빛 날 태(兌)자는 엄마의 몸에서 탄생하는 아기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태어날 때 빛나는 아기를 뜻합니다. 벗을 탈(脫), 추할 탈(侻), 벗을 탈(梲), 가물치 탈(鮵)자들은 빛날 태(兌)자가 들어 있어서 ‘탈’로 읽습니다.
敓
막을 어(敔)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나 오(吾)자를 했습니다. 나 오(吾)자는 의부(義符)로 입 구(口)자에 성부(聲符)로 다섯 오(五)자를 했습니다. 말씀 어(語), 옥 어(圄), 울퉁불퉁할 어(峿), 어긋날 어(鋙)자들은 나 오(吾)자가 들어 있어서 ‘어’로 읽습니다.
敔
조서 칙(敕)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묶을 속(束)자를 했습니다. 묶을 속(束)자는 나무 목(木)자에 입 구(口)자를 해서 나무를 묶은 모양을 했습니다. 조서 칙(勅)자도 묶을 속(束)자가 들어 있어서 ‘칙’으로 읽습니다.
敕
놀 오(敖)자는 방 안에서 나가서 논다는 뜻으로 날 출(出)자 아래에 모 방(方)자를 하고, 막대기를 가지고 놀이를 하면서 논다고 해서 칠 복(攴,攵)자를 했습니다. 흑 토(土)자 아래에 모 방(方)자를 한 것으로 보이지마는 옛 글자를 보면 흙 토(土)자가 나니라 날 출(出)자인 것을 바로 알 수 있습니다.
敖
깨뜨릴 패(敗)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조개 패(貝)자를 했습니다. 조개 패(貝)자는 조개를 상형(象形)한 글자입니다. 돈이나 재물을 표시합니다. 돈을 두드려 패니, 깨뜨린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敗
차례 서(敘)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나 여(余)자를 했습니다. 나 여(余)자는 창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나를 방어하고 지키는 표시를 해서 나를 나타냈습니다. 천천할 서(徐), 천천히 걸을 서(俆), 베풀 서(叙)자들은 나 여(余)자가 들어 있어서 ‘서’로 읽습니다.
敍
빼앗을 탈(敚)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攴)에 성부(聲符)로 빛날 태(兌)자를 했습니다. 빛날 태(兌)자의 속자(俗字)가 기뻐할 태(兑)자입니다. 기뻐할 태(兑)자와 빛날 태(兌)자는 같이 쓰이는 글자입니다. 엄마가 아기를 낳아서 엄마의 배 속에서 아기가 나오는 모양을 한 글자입니다. 자손이 빛나고 큰 기쁨임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해탈할 탈(捝), 벗을 탈(脫), 추할 탈(侻), 빼앗을 탈(敓), 벗을 탈(梲), 으름나무 탈(莌), 강한 모양 탈(䫄), 칠 탈(挩), 작은 가물치 탈(鮵), 갈 탈(㣞)자들은 빛날 태(兌)자가 들어 있어서 ‘탈’로 읽습니다.
敚
거둘 렴(敛liǎn)자는 거둘 렴(斂)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거둘 렴(斂)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攴)에 성부(聲符)로 다 첨(僉)자를 했습니다. 다 첨(僉)자는 합할 집(亼)자 아래에 사람을 둘 나란히 그렸습니다. 누구나 다 먹을 것을 바라고 입을 벌리고 있다는 뜻입니다. 어미 새가 먹이를 물어왔을 때 새끼 새들이 입을 멀리고 다투어 소리를 내는 장면이 떠오릅니다. 먹는 것이야말로 가장 필요한 생명 유지의 수단입니다. 다 첨(佥qiān)자는 다 첨(僉)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거둘 렴(斂), 염할 렴(殮), 물 벌창할 렴(澰), 잠박을 기둥에 매다는 끈 렴(䌞), 덩굴 렴(蔹,蘞), 가위톱 렴(薟)자들은 다 첨(僉)자가 들어 있어서 ‘렴’으로 읽습니다.
斂
친구 범할 군(㪊)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攴)에 성부(聲符)로 임금 군(君)자를 했습니다. 임금 군(君)자는 다스리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다스릴 윤(尹)자 아래에 입 구(口)자를 해서 명령(命令)을 내리는 사람이라는 표시를 했습니다.
+
= 㪊
막을 한(㪋)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攴)에 성부(聲符)로 가물 한(旱)자를 했습니다. 가물 한(旱)자는 해를 뜻하는 날 일(日)자 아래에 방패 간(干)자를 했습니다. 방패 간(干)자는 방패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잠잘 한(哻), 땀 한(汗), 그물 한(罕), 막을 한(扞), 들개 한(豻), 팔찌 한(釬), 이문 한(閈), 정강이 뼈 한(骭), 정강이 뼈 한(骭), 방해할 한(忓), 땅 이름 한(邗), 언덕 한(垾), 업신여길 한(娨)자들은 방패 간(干)자가 들어 있어서 ‘한’으로 읽습니다.
+
= 㪋
두드릴 통(㪌)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攴)에 성부(聲符)로 길 용(甬)자를 했습니다. 길 용(甬)자는 길 양쪽에 담을 쌓은 길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통할 통(通), 아플 통(痛), 통 통(桶), 나아갈 통(捅), 화통 통(㷁), 바다 메기 통(鯒), 대통 통(筩)자들은 길 용(甬)자가 들어 있어서 ‘통’으로 읽습니다.
+
= 㪌
우쩍 일어날 발(㪍)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攴)에 성부(聲符)로 살별 패(孛)자를 했습니다. 살별 패(孛)자는 살별이 떨어지며 하늘에 그리는 궤적(軌跡)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우쩍 일어날 발(勃), 뽑을 발(挬), 산 발(㟑), 도리깨 발(桲), 연기 이는 모양 발(㶿), 유모의 이름 발(㛘)자들은 살별 패(孛)자가 들어 있어서 ‘발’로 읽습니다.
+
= 㪍
손 드는 모양 섬(㪎)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攴)에 성부(聲符)로 낄 협(夾)자를 했습니다. 낄 협(夾)자는 사람(大)이 옆구리 양편에 사람(人)을 하나씩 둘을 옆에 끼고 있는 표시입니다. 낄 협(夾)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고을 이름 섬(陿)자도 낄 협(夾)자가 들어 있어서 ‘섬’으로 읽습니다.
+
= 㪎
막을 녑(敜)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생각 념(念)자를 했습니다. 생각 념(念)자는 이제 금(今)자 아래에 마음 심(心)자를 해서 지금 먹은 마음이 바로 생각이라고 표시했습니다. 막을 녑(敜)자처럼 ‘녑’으로 읽는 예는 없지만 생각 념(念)자 때문에 ‘녑’으로 읽는다고 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敜
念
해질 폐(敝)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해어진 옷 폐(㡀)자를 했습니다. 해어진 옷 폐(㡀)자는 해어져 구멍이 난 옷을 상형(象形)했습니다.
敝
높을 창(敞)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攴)에 성부(聲符)로 오히려 상(尙)자를 했습니다. 오히려 상(尙)자는 작을 소(小)자 아래에 들 경(冋)자를 했습니다. 작을 소(小)자에 비하여 오히려 넓은 들 경(冋)자입니다. 멍할 창(惝), 큰 물결 창(淌)자는 오히려 상(尙)자가 들어 잇어서 ‘창’으로 읽습니다.
敞
떳떳할 전(敟)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법 전(典)자를 했습니다. 법 전(典)자는 굽을 곡(曲)자 아래에 대 기(丌)자를 해서 굽을 곡(曲)자를 받쳐 놓은 것 같지만, 굽을 곡(曲)자가 아니라, 책 책(冊)자의 변형입니다. 법은 법전(法典)이라고 해서 기록해 두고 세월에 관계없이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책을 받쳐 놓은 모양입니다. 받쳐 놓은 것은 존중한다는 뜻입니다.
敟
무게 달 철(敠)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이을 철(叕)자를 했습니다. 이을 철(叕)자는 또 우(又)자를 네 개 연이어 해서, 잇달아 이어 있다는 표시를 했습니다.
+
= 敠
달 철(敪)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攴)에 성부(聲符)로 연할 철(叕)자를 했습니다. 연할 철(叕)자는 손을 뜻하는 또 우(又)자를 네 개 이어놓은 글자입니다. 전서(篆書)를 보면 네 명의 사람이 손을 잡고 있는 모양을 그린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연할 철(叕)자는 또 우(又)자 네 개가 모인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
= 敪
업신여길 이(敡)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쉬울 이(易)자를 했습니다. 쉬울 이(易)자는 바꿀 역(易)자로도 읽습니다. 바꿀 역(易)자는 카멜레온 같은 짐승을 상형(象形)한 글자입니다. 카멜레온 같은 보호색을 띠는 짐승은 색깔을 바꾸는 것이 쉬운 일이라고 해서 쉬울 이(易)자로도 읽습니다.
敡
오를 양(敭)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攴)에 성부(聲符)로 볕 양(昜)자를 했습니다. 볕 양(昜)자는 해를 뜻하는 날 일(日)자 아래에 한 일(一)자를 하고 말 물(勿)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말 물(勿)자는 햇살을 그린 글자입니다. 볕 양(昜)자는 햇살이 비치는 모양을 나타낸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敭
감히 감(敢)자는 지금의 글자를 보면 귀(耳)를 두드리거나 잡아 당기(攵)는 모양이지마는, 옛 글자를 보면 입(口)을 손(手)으로 잡아당기거나 때리는 표시를 했습니다. 참으로 감히 입을 잠아 당기는 무례함을 범한 것이지요. 상대편의 귀나 입에 손을 대어 잡아당기는 정도면 참으로 ‘감히’ 각오를 해야 할 것입니다.
敢
흩을 산(散)자는 다진 고기 조각을 표시한 ‘龷’자에 육달 월(月,肉)자를 하고 다시 흩어지라고 몽둥이로 두드리는 표시인 칠 복(攴,攵)를 했습니다. 고기를 다지느라고 두드릴 때 이리저리 튀는 고기 조각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흩을 산(散)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散
다스릴 과(敤)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실과 과(果)자를 했습니다. 실과 과(果)자는 나무의 열매를 뜻합니다. 나무의 열매는 나무와 태양을 만남에서 이루어진 결과물입니다. 높을 고(杲), 실과 과(果), 동녘 동(東), 어두울 묘(杳)자는 모두 나무와 태양이 만나서 만들어진 글자들입니다.
敤
손으로 흩을 염(敥)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불 탈 염(炎)자를 했습니다. 불 탈 염(炎)자는 불 화(火)자를 상하(上下)로 배열하여 불이 활활 타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
= 敥
도타울 돈(敦)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누릴 향(享)자를 했습니다. 누릴 향(享)자는 신전에서 양을 잡아 제사를 올리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신에게 잘 대접해서 인간의 평화와 번영을 누릴다는 말이지요. 도타울 돈(惇), 귀갑 지지는 불 돈(焞), 활 돈(弴), 설렐 돈(蜳)자들은 향(享)자가 들어 있어서 ‘돈’으로 읽습니다.
敦
기울어질 기(敧)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기이할 기(奇)자를 했습니다. 기이할 기(奇)자는 사람을 표시하는 큰 대(大)자 아래에 옳을 가(可)자를 해서, 사람의 개성을 존중하는 글자입니다. 사람마다 다른 기이한 것이 바로 개성이며, 그것은 옳은 것이라는 글자입니다.
+
= 敧
펼 두(敨)자는 침을 놓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침을 놓을 때 침을 때리게 되니까, 칠 복(攴,攵)자를 했습니다. 침을 시술하는 것은 침을 가지고 하니까, 침 부(咅)자를 했습니다. 침 부(咅)자는 설 립(立)자에 입 구(口)자를 했습니다. 설 립(立)자는 침의 뾰족한 부분을 상형(象形)한 글자이고 입 구(口)자는 침을 놓으려고 손으로 잡는 부분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침을 상형(象形)한 글자입니다.
+
= 敨
흩을 산(㪚)자는 흩을 산(散)자와 같은 글자입니다. 흩을 산(㪚)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攴)에 성부(聲符)로 예 석(昔)자를 했습니다. 예 석(昔)자는 날짜를 뜻하는 날 일(日)자 위에 물결 모양을 해서 날짜가 오래 흘러갔음을 나타냈습니다. 여기서 흩을 산(散)자는 ‘예 석(昔)자 위에 있는’ 글자에 육 달 월(月,肉)자를 했습니다. 예 석(昔)자는 날 일(日)자 위에 물결 모양을 그려서 세월이 많이 흘러갔음을 나타냈지마는, ‘예 석(昔)자 위에 있는’ 글자에 육 달 월(月,肉)자를 한 글자는 고기를 잘게 다져놓은 모양을 나타내는 글자가 되었습니다. 고기 조각을 나타내는 글자를 써서 몽둥이로 고기를 때려서 고기 조각이 흩어짐을 나타냈습니다.
散
가르쳐 이끌 교(敩xiào)자는 훈육(訓育)을 뜻하는 칠 복(攴,攴)에 배우고 가르치는 곳에서의 훈육(訓育)이라는 뜻으로 배울 학(学)자를 했습니다. 배울 학(学xué)자는 배울 학(學)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배울 학(學)자는 손으로 책을 잡고 책상 위에서 공부하는 아들 자(子)의 모습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배울 학(學)자는 공부하는 자세를 나타낸 글자입니다. 배울 학(學)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
= 敩
치는 소리 비(㪏)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攴)에 성부(聲符)로 낮을 비(卑)자를 했습니다. 낮을 비(卑)자는 갑옷 갑(甲)자 아래에 열 십(十)자 비슷하게 해서 손을 나타냈습니다. 두 손으로 갑옷을 받쳐 들고 장군이 옷 입는 것을 시중드는 신분이 낮은 사람을 나타냈습니다.
㪏
껄끄러울 률(㪐)자는 때린다는 뜻이 있는 칠 복(攴,攴)에 서로 껄그러운 사이라는 뜻을 가진 어그러질 려(戾)자를 했습니다. 문 앞에서 개는 집을 지키는 역할을 하고 있고, 다른 사람이 몽둥이를 들고 집 앞에 있는 개에게 덤벼 듭니다. 어그러질 려(戾)자는 성부(聲符)로 지게문 호(戶)자 아래에 의부(義符)(義符)로 개 견(犬)자를 했습니다. 개는 집을 지키는 본분이 있습니다. 지게문 호(戶)자와 함께 개 견(犬)자가 있을 때에는 어그러지지 않습니다. 그러나 개 견(犬)자가 없어지면 어그러지게 됩니다. 어그러질 려(戾)자는 문을 지키는 개의 본분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당나귀 려(馿)자도 지게문 호(戶)자가 들어 있어서 ‘려’로 읽습니다.
+
= 㪐
마칠 업(㪑)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攴)에 성부(聲符)로 가릴 엄(奄)자를 했습니다. 가릴 엄(奄)자는 큰 대(大)자 아래에 번개 전(电)자를 했습니다. 그러나 번개 전(电)자는 번개의 뜻이 아니라, 두 손으로 공교할 교(丂)자를 가리고 있는 모양입니다. 두 손으로 가리는 자리는 바로 큰 대(大)자의 사타구니입니다. 부끄러운 부분을 가리고 있는 모양입니다. 앓을 업(殗), 절인 고기 업(腌)자는 가릴 엄(奄)자가 들어 있어서 ‘업’으로 읽습니다.
+
= 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