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절과 성공
오원우
1.서론
필리핀에서 돌아온지 3~4주 된것만 같은데 벌써 2학년 2학기 기말이다 이번학기는 학교에서의 생활이 잘 기억 나지 않는다 몇가지 기억 나는 것은 성심원과 별아띠 천문대, 3학년의 논문 발표 정도… 어찌 보면 이 학교에서 벌써 살아간 시간이 2년이 다 되어가니 이런 활동 혹은 삶이 우리 몸에 익숙해진 듯 했다. 하지만 그중 지금 생각 해봐도 뚜렸하게 기억나는 배움을 주었던 일이 있다면 아마 내가 준비했던 간디학교의 학생화장단 준비가 아닐까 싶다.
2.초등학교
어렸을 때는 리더라고 할 수 있는 학급회장, 부회장 등에는 관심도 없었다. 하지만 친구들과 선배들에게 인기가 많다는 소리를 선생님께 들었었다. 그러다 초등학교 3학년 때 처음으로 학급회장을 했었다 반장을 하면서는 친구들의 우유 급식을 가져오거나 시험을 보고 시험지를 걷고 가정 통신문을 친구들에게 나누어주는 일을 했었다. 대부분의 일들이 귀찮은 일이었지만 그래도 책임감이 있어야 한다 생각 하며 했다. 처음으로 선거에 나가보고 싶다 생각했던건 전학을 갔던 5학년 때였다 5학년 11월 즈음에 학교에서 내년 6학년 부회장을 뽑는다고 해서 친구들이 적극적으로 추천을 해줬다. 하지만 회장은 너무 부담스러울듯 싶어 결국 부회장으로 나가게 되었다. 그 당시엔 처음 나가보는 것이고 어떤 공약을 내야할지 감도 잡히지 않았다. 상대 후보자는 이미 준비를 거의 끝내가는데 나만 뒤쳐지는 것 같아 불안했고 결국 후보자 등록만 한 후 포기하게 되었다. 준비성이 부족했었다는 것을 느꼈었고 “내가 진짜 하고 싶었던게 맞았을까?” 라는 의문이 남게 되었다.
3.간디학교
간디학교에 처음 왔을때는 6학년 가을 예비학교 때였다. 도착하자마자 느꼈던 것은 분위기가 자유로워 보였다 그래서 간디학교에 와서는 내가 생각했던 것들을 이뤄보고 싶다는 목표가 생기게 되었다. 예비학교 에서는 여러가지 목표가 있었지만 막상 입학하고 난 후에는 바쁜 일상에 적응하다 보니 내 기억 속에서는 사라져 갔다. 그러던 중 필리핀에 가있던 15기가 돌아오게 되었다, 선생님께 얘기를 들어보니 학생회에 관심이 있는 사람은 15기와 함께 나가보는 것도 좋은 경험이 될것이라 말하셨다. 그 말을 들은 후 나는 무언가 까먹고 있던 것을 챙기듯 15기에게 갔다 다행히 앤 누나가 먼저 제안을 해줘서 앤 누나와 함께 기호 2번으로 출마하기로 결정했다. 공약의 주된 내용은 부서 활성화와 개편이였다 공약을 알려주고 난 후 우리는 포스터를 만들기 시작했다. 상대 후보자는 이미 포스터를 만들어 붙인 상태였고 우리는 아직 작업중이였다 하지만 여기저기서 “기호 1번은 이미 포스터를 제작해서 붙였는데 기호 2번은 왜 이렇게 느리냐” 라는 의미의 말들이 조금씩 들려왔다 조금 상실감이 들기도 했지만 결국 완성했다. 포스터를 완성한 다음날 공청회를 진행하게 되었다 하지만 공청회 자리에서 우리 팀이 준비한 공약의 문제점들을 제기하며 수많은 질문이 들어오기도 했다 하지만 그 질문들을 대답하던 앤 누나와는 다르게 난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당황했고 결국 만족스러운 대답을 하지 못한듯 했다. 공청회 자리가 끝나고 투표를 진행하기 전까지만 해도 난 어떤 결과가 나올지 예상하지 못했다. 그리고 꽤나 압도적인 투표수의 차이를 보며 공허함이 들기도 했고 자만했던 나 자신이 밉기도 했다. 기숙사에 돌아와 복잡한 마음을 정리하며 생각을 해보니 그제서야 우리의 문제점이 보였다 우리의 공약은 남들이 듣기에 강제적인 부분이 있었고 답변을 진행할때도 좀도 강한 어감의 말을 사용해 불쾌함을 초례하기도 했다. 이 때 내가 느꼈던 것은 나의 언어로 말하고 나와 다른 의견도 충분히 수용 할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