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엘리후 베더 - 포르투나

귀스타브 도레 - 우물가의 아이를 구하는 포르투나

La Farge John - The Wheel of Fortune

번 존스 - 운명
포르투나 (Fortuna)
로마의 운명의 여신으로 그리스의 튀케와 동일시되었다. 원래 이탈리아의 포르투나는 아마 번영과 번식을 가져다주는 존재로 생각되었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는 풍요의 신을 닮았고 그래서 땅의 풍작이나 여자들의 다산과도 관련되었다. 포르투나는 이탈리아에서 널리 숭배되었는데, 포르투나는 신탁의 여신으로서 여러 가지 방식으로 미래에 관한 사람들의 질문에 답한다. 프라이네스테와 안티움에 있는 포르투나의 신전들은 잘 알려진 신탁소이다. 포르투나는 흔히 풍족함을 주는 존재로서 풍요의 뿔을 가진 모습으로, 운명의 지배자로서 배의 키를 가진 모습으로, 또는 운명의 불확실함을 나타내기 위해 공 위에 서 있는 모습으로 표현된다.
또한 '운명의 수레바퀴'는 언제나 그녀의 가장 잘 알려진 상징이었다. 실제로 처음으로 'fortune(운명)'이라는 말이 영어에 등장한 것은 약 13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 가는데, '운명의 수레바퀴'도 마찬가지다. 신들의 계보를 처음으로 체계적으로 서술한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따르면, 그리스의 여신 튀케는 티탄 신족인 오케아노스와 테티스 사이에서 태어난 딸로서 오케아니데스의 하나라고 하는데, 제우스의 딸이라는 설도 있다. 튀케는 제우스와 티탄 신들과의 권력 투쟁 속에서 상처받지 않고 살아남은 여신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그리스에서 튀케는 운명과 행운을 담당하는 여신으로서 사람들의 존경을 받았다. 어떤 일의 성사에 대한 자신이 없을 때 튀케의 이름이 곧잘 불려졌고, 튀케는 기분 좋을 때면 인간의 소원을 들어주었다
마이아 (Maia)

SPRANGER, Bartholomaeus - Vulcan and Maia

Vedder Elihu - The Pleiades (마이아의 7 자매)
마이아
그리스신화에서 올림포스 십이신의 하나인 헤르메스의 어머니이다. 티탄인 아틀라스와 플레이오네 사이에서 태어난 플레이아데스 일곱 자매 가운데 맏언니이다. 이름은 ‘어머니’ 또는 ‘유모’라는 뜻이다. 아르카디아 지방에 있는 키레네산의 동굴에서 살았는데, 제우스가 헤라의 눈을 피해 이곳에 와서 사랑을 나누어 헤르메스가 태어났다. 제우스의 여인들에 대한 헤라의 질투는 유명하지만, 마이아와 헤르메스는 헤라의 질투로 인한 피해를 입지 않은 거의 유일한 모자로 알려져 있다. 또 마이아는 제우스가 님프 칼리스토에게서 낳은 아들 아르카스를 맡아 키워 주었다. 마이아를 비롯한 플레이아데스 일곱 자매는 모두 별자리가 되었는데, 이를 플레이아데스성단이라고 한다. 이들이 별이 된 것은 미남 사냥꾼 오리온이 일곱 자매와 어머니 플레이오네를 집요하게 쫓아다녔기 때문에 제우스가 보호하기 위해서였다고도 하고, 이복 자매인 히아데스의 죽음을 슬퍼하여 모두 따라 죽었기 때문에 제우스가 이들을 가엾게 여겨 별자리로 만들었다고도 한다. 또 하늘을 떠받치는 벌을 받은 아버지 아틀라스의 처지를 슬퍼하다 별이 되었다고도 한다. 한편 로마신화에서 마이아는 봄의 여신을 가리킨다. 영어에서 5월을 뜻하는 May는 ‘마이아의 달’을 뜻하는 라틴어 마이움(Maium)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한다
이리스( Iris)

Head Guy - Iris (출처 : 미술관 옆 도서관 )


신의 정령 이리스, 로댕, 1890-1, 파리 로댕박물관
Iris (무지개의 여신)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무지개의 화신이자 신들의 사자(使者). 신들의 메시지를 전하는 전령신으로 '무지개의 여신' 으로 불린다. 무지개처럼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가교의 역할이 그녀의 임무이며, 헤라의 옥좌에서 언제나 달려 나갈 수 있도록 신을 신은 채 잠자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그리스의 시인 헤시오도스에 따르면 타우마스와 바다의 요정 엘렉트라의 딸이라고 전한다. 헤시오도스의 작품에서 그녀는 신들이 신탁을 내릴 때마다 스틱스 강에서 물을 긷는 의무를 지녔다고 한다. 그 물은 어떤 신이라도 위증했을 때에는 1년 동안 의식을 잃게 할 수 있었다. 예술 작품에서 이리스는 보통 날개가 달렸고 사자의 지팡이나 항아리를 가진 것으로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