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 방(方)자는 네모진 모서리를 표시한 지사(指事) 글자입니다.
方
깃발이 나부끼는 모양 언(㫃)자는 깃발이 나부기는 모양을 표시한 모 방(方)자에 사람이 들고 있는 깃발이라는 뜻으로 사람 인(人)자를 했습니다.
㫃
맺을 계(斺)자는 모서리를 표시한 모 방(方)자에 끼일 개(介)자를 했습니다. 맺는다는 것이 이쪽 귀퉁이와 저쪽 귀퉁이를 붙잡아 매는 것이겠지요. 보자기에 물건을 쌀 때 잡아매는 것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맺는다는 것은 양쪽을 서로 잡아매는 것입니다.
+ = 斺
떼배 항(斻)자는 의부(義符)로 모 방(方)자에 성부(聲符)로 목 항(亢)자를 했습니다. 목 항(亢)자는 사람의 목 부위를 나타낸 글자입니다. 떼배는 뗏목배를 뜻합니다.
+ = 斻
어조사 어(於)자는 깃발이 나부끼는 모양 언(㫃)자에 점 주(丶)자 둘을 상하(上下)로 했습니다. 한문의 고문(古文)에서는 어조사 어(於)자의 쓰임이 많았지마는 현대 중국어에서는 별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장소를 나타낼 때에는 장소의 앞에 어조사 어(於)자를 반드시 붙여서 뒤에 오는 글자가 장소를 나타내는 것임을 표시하는 문법적 역할을 담당했던 글자입니다.
於
곁 방(㫄)자는 의부(義符)로 모 방(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모 방(方)자를 한 글자입니다. 모 방(方)자는 모가 난 모서리를 표시하는 지사(指事) 글자입니다.
+ = 㫄
베풀 시(施)자는 의부(義符)로 모 방(方)자에 성부(聲符)로 종족 이름 이(㐌)자를 했습니다. 종족 이름 이(㐌)자는 지붕의 뜻이 있는 ‘𠂉’자에 뱀을 상형(象形)한 어조사 야(也)자를 했습니다. 뱀이 많은 지역의 사람을 가리키는 글자가 아니었을까요? 깁 시(絁)자도 종족 이름 이(㐌)자가 들어 있어서 ‘시’로 읽습니다.
施
기 패(斾,旆)자는 깃발을 긴 대에 달았다는 뜻으로 모 방(方)자에 깃발은 천에 그려서 만드니까, 수건 건(巾)자를 했습니다. 수건 건(巾)자가 변하여 슬갑 불(巿)자도 되고 꾸민다는 뜻을 더하여 덮개를 그린 ‘𠂉’자도 더하였습니다.
斾,旆
깃발 유(斿)자는 깃발을 달았다는 뜻으로 모 방(方)자에 깃발이 여럿 달렸다는 뜻으로 ‘𠂉’자 아래에 아들 자(子)자를 했습니다. 깃발은 인간의 꿈을 하늘에 날려 표시하는 일종의 상징물입니다. 많이 달수록 더욱 힘이 솟습니다. 사열하는 의장대의 깃발을 보면 공연히 힘이 납니다. 깃발에 대한 인간의 의미입니다.
斿
하며 며(旀)자는 구결자 며(厼)자나 구결자 며(㢱)자에서 생긴 글자입니다. 구결자 며(厼)자는 사사 사(厶)자는 ‘ㅁ’ 소리를 뜻하고 적을 소(小)자는 ‘ㅕ’ 소리를 나타냅니다. 우리나라에서 만든 한자입니다.
+ + = 旀
활을 부릴 미(㫆)자는 모 방(方)자에 너 이(尒)자를 했습니다. 너 이(尒)자는 너 이(爾)자의 약자(略字)입니다. 너 이(爾)자는 화살을 그린 글자입니다. 너는 나에 대하여 상대적인 개념입니다. 그래서 활을 쏜다는 뜻으로 상대편인 너를 나타냈습니다. 두루 미(彌), 치렁치렁할 미(濔)자는 너 이(爾,尒)자가 들어 있어서 ‘미’로 읽습니다.
+ = 㫆
두루 방(旁)자는 의부(義符)로 설 립(立)자 아래에 먼데 경(冂)자를 해서 ‘두루’ 라는 뜻을 표시했습니다. 성부(聲符)로는 모 방(方)자를 했습니다. 둑 방(防), 방 방(房), 놓을 방(放)자들은 모 방(方)자가 들어 있어서 ‘방’으로 읽습니다.
旁
기 기(旂)자는 의부(義符)로 모 방(方)자에 성부(聲符)로 ‘𠂉’자에 도끼 근(斤)자를 했습니다. 빌 기(祈), 물 이름 기(沂), 경기 기(圻)자들은 도끼 근(斤)자가 들어 있어서 ‘기’로 읽습니다.
旂
기 전(旃)자는 모 방(方)자에 ‘𠂉’자 아래에 붉을 단(丹)자를 했습니다. 모 방(方)자는 깃발이 바람에 펄럭이는 것을 표시한 것이고, ‘𠂉’자 아래에 붉을 단(丹)자를 해서 펄럭이는 깃발이 붉은 색깔임을 표시했습니다.
旃
깃대 장식 모(旄)자는 의부(義符)로 모 방(方)자에 성부(聲符)로 털 모(毛)자를 했습니다. 털 모(毛)자는 털의 모양을 상형(象形)한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털 모(毛)자 위에 ‘𠂉’자를 한 것은 깃발임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旄
나그네 려(旅)자는 의부(義符)로 모 방(方)자에 성부(聲符)로 ‘𠂉’자 아래에 각시 씨(氏)자를 했습니다. 여자 제사장 려(祣)자도 ‘𠂉’자 아래에 각시 씨(氏)자를 한 글자가 있어서 ‘려’로 읽습니다. 그런데 깃발을 앞세워 길을 가는 군대 행렬을 떠올리게 하는 글자입니다. 이 글자는 군대 려(旅)자로도 읽습니다.
旅
기 패(旆)자는 깃발을 긴 대에 달았다는 뜻으로 모 방(方)자에 깃발은 천에 그려서 만드니까, 수건 건(巾)자를 했습니다. 수건 건(巾)자가 변하여 슬갑 불(巿)자도 되고 꾸민다는 뜻을 더하여 덮개를 그린 ‘𠂉’자도 더하였습니다.
斾,旆
옹기장 방(旊)자는 성부(聲符)로 모 방(方)자에 의부(義符)로 ‘𠂉’자 아래에 기와 와(瓦)자를 했습니다. 기와도 옹기처럼 흙으로 빚어 만든 다음에 불로 구워 완성시킵니다.
+ = 旊
구결자 억(㫇)자는 어조사 어(於)자에서 ‘어’소리를 취하고, ‘ㄱ’글자를 해서 ‘억’소리를 나타낸 우리나라에서 만든 글자입니다.
+ ㄱ = 㫇
구결자 엉(㫈)자는 어조사 어(於)자에서 ‘어’소리를 취하고 ‘ㅇ’소리를 더 해서 ‘엉’소리를 나타내는 구결자를 만들었습니다.
+ ㅇ = 㫈
깃발이 휘날릴 피(旇)자는 의부(義符)로 모 방(方)자에 성부(聲符)로 ‘𠂉’자 아래에 가죽 피(皮)자를 했습니다. 가죽 피(皮)자는 살갗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旇
깃발 류(旈,旒)자는 의부(義符)로 모 방(方)자에 성부(聲符)로 깃발 류(㐬)자를 했습니다. 깃발 류(㐬)자는 깃발이 바람을 타고 나부끼는 모습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깃발 류(㐬)자 위에 ‘𠂉’자를 한 것도 깃발이 바람에 나부끼는 모습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旒
펼 부(旉)자는 의부(義符)로 모 방(方)자에 성부(聲符)로 클 보(甫)자를 했습니다. 클 보(甫)자는 보따리를 상형(象形)한 글자입니다. 펼 부(尃)자도 클 보(甫)자가 들어 있어서 ‘부’로 읽습니다.
+ = 旉
돌 선(旋)자는 의부(義符)로 모 방(方)자에 성부(聲符)로 ‘𠂉’자 아래에 발 소(疋)자를 했습니다. 옥 선(琁), 소라 선(蜁)자는 ‘𠂉’자 아래에 발 소(疋)자를 한 글자가 들어 있어서 ‘선’으로 읽습니다.
旋
기 정(旌,旍)자는 모 방(方)자에 ‘𠂉’자 아래에 날 생(生)자나, 영 령(令)자를 했습니다. 깃발이 생기를 불어 넣어 모두 힘차게 전쟁에 임할 수 있게 하기도 하고, 깃발로 명령을 전하기도 합니다. 기 정(旌,旍)자는 깃발의 기능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旌
깃발 펄럭이는 모양 니(旎)자는 의부(義符)로 모 방(方)자에 성부(聲符)로 ‘𠂉’자 아래에 중 니(尼)자를 했습니다. 중 니(尼)자는 주검 시(尸)자 아래에 비수 비(匕)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주검 시(尸)자도 사람을 표시한 글자이고, 비수 비(匕)자도 사람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사람 둘이 서로 등을 대어 엎고 있는 모양입니다. 중 니(尼)자는 중들의 단체 생활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 = 旎
겨레 족(族)자는 겨레의 의미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겨레는 같은 지역에 모여 살기도 하지만 화살 시(矢)자로 표시하듯이 서로 합심하여 적으로부터 겨레를 지키고 방어하는 의미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결국 한 깃발 아래 모인 종족들입니다. 나 여(余)자나 나 여(予)자나 나 아(我)자들이 모두 무기를 들고 자기를 방어하는 표시를 한 글자임을 생각하면 겨레 족(族)자에 화살 시(矢)자가 들어 있는 이유를 잘 알 수 있으리라고 생각합니다.
族
깃발이 펄럭이는 모양 아(㫊)자는 의부(義符)로 깃발을 뜻하는 모 방(方)자에 사람 인(人)자를 한 글자에 성부(聲符)로 옳을 가(可)자를 했습니다. 언덕 아(阿), 여자의 자 아(妸), 병 아(疴), 작은 도끼 아(鈳)자들은 옳을 가(可)자가 들어 있어서 ‘아’로 읽습니다.
+ + = 㫊
기 전(㫋)자는 모 방(方)자에 나아갈 염(冉)자를 했습니다. 모 방(方)자 옆에 ‘𠂉’자를 하고 나아갈 염(冉)자를 했습니다. 모 방(方)자 옆에 ‘𠂉’자를 한 것은 깃발이 바람에 휘날리는 것을 상형(象形)한 듯싶습니다. 기 전(㫋)자는 깃발이 휘날리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㫋
기 정(㫌)자는 의부(義符)로 깃발을 뜻하는 모 방(方)자에 사람 인(人)자를 한 글자에 성부(聲符)로 바를 정(正)자를 했습니다. 바를 정(正)자는 한 일(一)자 아래에 발 지(止)자를 해서, 사람이 바르게 서 있는 모습입니다.
+ + = 㫌
기 조(旐)자는 의부(義符)로 모 방(方)자 옆에 ‘𠂉’자를 하여 깃발이 휘날리는 표시를 하고, 성부(聲符)로 조짐 조(兆)자를 했습니다. 조짐 조(兆)자는 거북점을 칠 때 거북 등껍질을 불에 구울 때 갈라지는 모양을 상형(象形)한 글자입니다. 참 많이도 다양하게 갈라지지요. 그래서 많은 숫자인 조(兆)를 나타내는 글자입니다.
旐
기 나부길 의(旑,旖)자는 의부(義符)로 모 방(方)자에 성부(聲符)로 기이할 기(奇)자를 했습니다. 사람마다 재주와 개성이 다 다른 것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旑,旖
깃발 유(㫍)자는 의부(義符)로 깃발을 뜻하는 모 방(方)자에 사람 인(人)자를 한 글자에 성부(聲符)로 바 유(攸)자를 했습니다. 바 유(攸)자는 사람 인(人)자 변에 뚫을 곤(丨)자를 하고 칠 복(攵)자를 해서 사람이 몽둥이를 들고 친다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바는 ‘~ 한 바’라는 불완전 명사입니다. 불완전 명사라는 것은 앞에 수식이 와야 뜻이 분명해지는 명사라는 뜻입니다. ‘잘 한 바’라든가, ‘뛰어 간 바’라고 해야 ‘~ 바’의 뜻을 알 수 있습니다. 사람을 때리면 무엇인가 실토를 하여 진실에 가까워진다는 뜻을 표시한 글자 같기도 합니다.
+ + = 㫍
깃발 류(旒)자는 의부(義符)로 모 방(方)자에 성부(聲符)로 깃발 류(㐬)자를 했습니다. 깃발 류(㐬)자는 깃발이 바람을 타고 나부끼는 모습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깃발 류(㐬)자 위에 ‘𠂉’자를 한 것도 깃발이 바람에 나부끼는 모습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 + = 旒 旒
깃발 소(旓)자는 의부(義符)로 모 방(方)자 옆에 ‘𠂉’자를 하여 깃발이 휘날리는 표시를 하고, 성부(聲符)로 닮을 초(肖)자를 했습니다. 다진 고기 조각이 서로 닮았음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사라질 소(消), 거닐 소(逍)자는 닮을 초(肖)자가 들어 있어서 ‘소’로 읽습니다.
+ = 旓
빠를 건(旔)자는 의부(義符)로 모 방(方)자에 성부(聲符)로 세울 건(建)자를 했습니다. 세울 건(建)자는 길게 걸을 인(廴)자에 붓 율(聿)자를 했습니다. 붓으로 설계하고, 계획을 세우고, 작업을 지시해야 건설이 이루어집니다. 세우는 것의 바탕은 붓이라는 표시입니다. 문치(文治) 위주의 사회, 정치 구조인 시대의 생각입니다.
+ = 旔
구결자 엇(旕)자는 어조사 어(於)자에서 ‘어’소리를 취하고 꾸짖을 질(叱)자에서 ‘ㅅ’소리를 더 해서 ‘엇’소리를 나타내는 구결자를 만들었습니다. 꾸짖을 질(叱)자는 말로 던지는 비수입니다.
+ = 旕
기 나부길 의(旖)자는 의부(義符)로 모 방(方)자에 성부(聲符)로 기이할 기(奇)자를 했습니다. 사람마다 재주와 개성이 다 다른 것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旖
기 기(旗)자는 의부(義符)로 모 방(方)자 옆에 ‘𠂉’자를 하여 깃발이 휘날리는 표시를 하고, 성부(聲符)로 그 기(其)자를 했습니다. 그 기(其)자는 곡식의 낱알을 고르는 도구인 키를 상형(象形)한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旗
기 휘(㫎)자는 의부(義符)로 모 방(方)자 옆에 ‘𠂉’자를 하여 깃발이 휘날리는 표시를 하고, 성부(聲符)로 군사 군(軍)자를 했습니다. 휘두를 휘(揮), 빛날 휘(輝), 빛 휘(暉)자들은 군사 군(軍)자가 들어 있어서 ‘휘’로 읽습니다.
+ = 㫎
기 요(㫏)자는 의부(義符)로 깃발을 뜻하는 모 방(方)자에 사람 인(人)자를 한 글자에 성부(聲符)로 구할 요(要)자를 했습니다. 구할 요(要)자는 의부(義符)로 덮을 아(襾,覀)자에 성부(聲符)로 여자 여(女)자를 했습니다. 여자 여(女)자는 여자가 앉아 있는 모습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예쁠 요(嫋), 간들거릴 요(嬝), 희학질할 요(嬲), 낭창거릴 요(偠)자들은 여자 여(女)자가 들어 있어서 ‘요’로 읽습니다. 구할 요(要)자는 서녘 서(西)자 아래에 여자 여(女)자를 한 것으로 보아서 해가 저물어 밤이 오면 구(救)하는 것이 여자(女子)라는 뜻을 나타내는 글자로 볼 수도 있을 것입니다.
+ + = 㫏
깃발 치(旘)자는 의부(義符)로 모 방(方)자에 성부(聲符)로 찰진 흙 시(戠)자를 했습니다. 찰진 흙(戠)자는 소리 음(音)자에 창 과(戈)자를 했습니다. 창으로 찌르면 소리를 내는 흙이라는 뜻입니다. 사실 찰진 흙은 찔렀다가 뺄 때 소리가 납니다. 차지기 때문이지요. 성할 치(熾)자도 찰진 흙 시(戠)자가 들어 있어서 ‘치’로 읽습니다.
+ = 旘
기 번(旙,旛)자는 의부(義符)로 모 방(方)자 옆에 ‘𠂉’자를 하여 깃발이 휘날리는 표시를 하고, 성부(聲符)로 갈마들 번(番)자를 했습니다. 갈마들 번(番)자는 쌀 미(米)자 아래에 밭 전(田)자를 했습니다. 쌀농사를 짓는 순서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농사를 지을 때에는 계절마다, 때마다 번갈아 영농하는 기술과 실력이 필요합니다.
旙,旛
깃발 번뜩일 표(旚)자는 의부(義符)로 모 방(方)자 옆에 ‘𠂉’자를 하여 깃발이 휘날리는 표시를 하고, 성부(聲符)로 불똥 튈 표(票)자를 했습니다. 불똥 튈 표(票)자는 불이 탈 때 튀는 불똥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불똥이 튀면 그 결과로 불이나게 마련이지요. 그래서 표를 사면 불이 나듯이 무엇인가를 할 수 있습니다.
旚
기 번(旛)자는 의부(義符)로 모 방(方)자 옆에 ‘𠂉’자를 하여 깃발이 휘날리는 표시를 하고, 성부(聲符)로 갈마들 번(番)자를 했습니다. 갈마들 번(番)자는 쌀 미(米)자 아래에 밭 전(田)자를 했습니다. 쌀농사를 짓는 순서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농사를 지을 때에는 계절마다, 때마다 번갈아 영농하는 기술과 실력이 필요합니다.
旛
기 전(旜)자는 의부(義符)로 모 방(方)자 옆에 ‘𠂉’자를 하여 깃발이 휘날리는 표시를 하고, 성부(聲符)로 믿음 단(亶)자를 했습니다. 떨릴 전(顫), 죽 전(饘)자는 믿음 단(亶)자가 들어 있어서 ‘전’으로 읽습니다.
旜
기 괴(旝)자는 의부(義符)로 모 방(方)자 옆에 ‘𠂉’자를 하여 깃발이 휘날리는 표시를 하고, 성부(聲符)로 모일 회(會)자를 했습니다. 모일 회(會)자는 사람이 모인다는 뜻을 나타내는 모일 집(亼)자 아래에 사람이 모여서 떠든다는 뜻으로 가로 왈(曰)자를 했다고도 봅니다. 또는 모일 회(會)자가 시루 증(曾)자와 흡사하여 똑 시루를 가운데 두고 사람들이 모였다는 뜻으로 설명하기도 합니다. 여물 광 괴(廥), 위독할 괴(癐)자는 모일 회(會)자가 들어 있어서 ‘괴’로 읽습니다.
旝
기 수(旞)자는 의부(義符)로 모 방(方)자 옆에 ‘𠂉’자를 하여 깃발이 휘날리는 표시를 하고, 성부(聲符)로 이를 수(遂)자를 했습니다. 이를 수(遂)자는 의부(義符)로 쉬엄쉬엄 갈 착(辶)자에 성부(聲符)로 드디어 수(㒸)자를 했습니다.
旞
기 여(旟)자는 의부(義符)로 모 방(方)자 옆에 ‘𠂉’자를 하여 깃발이 휘날리는 표시를 하고, 성부(聲符)로 줄 여(與)자를 했습니다. 줄 여(與)자는 좌우에 손이 두 개, 아래에 손이 두 개, 합하여 모두 손이 네 개 표시되었습니다. 주는 손과 받는 손을 표시한 것이지요. 줄 여(與)자의 가운데 있는 여(与)자는 주고받는 물건을 뜻하는 글자입니다.
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