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떠날 비(㫵)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아닐 비(非)자를 했습니다. 아닐 비(非)자는 새의 날개를 그린 글자입니다. 날개를 두 개 그려서 날아갔다는 표시를 한 글자가 아닐 비(非)자입니다. 아닐 비(非)자는 새의 날개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㫵
떠날 비(暃)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아닐 비(非)자를 했습니다. 아닐 비(非)자는 새의 날개를 그려서 날아가 없어짐을 표시했습니다. 날 일(日)자는 하늘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하늘로 떠났다는 뜻에서 날 일(日)자가 의부(義符)가 되는 것입니다.
+ = 暃
더울 서(暑)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놈 자(者)자를 했습니다. 놈 자(者)자는 날마다 쌀을 먹는 사람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실마리 서(緖), 관청 서(署), 마 서(薯)자들은 놈 자(者)자가 들어 있어서 ‘서’로 읽습니다.
暑
갤 청(晴)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푸를 청(靑)자를 했습니다. 푸를 청(靑)자는 푸를 청(青)와 같은 글자입니다. 푸를 청(靑)자는 날 생(生)자와 날 일(日)자를 상하(上下)로 배열한 글자입니다. 풀의 빛깔을 표시하는 푸를 청(靑)자는 날 일(日)자와 날 생(生)자가 합하여 만들어진 글자입니다. 색깔은 빛이 있어야 보입니다. 여기서 날 생(生)자는 풀을 그린 글자입니다. 달 월(月)자로 보이지만 날 일(日)자의 변형입니다. 풀(艸.艹)은 푸르고(靑), 불(火)은 붉습니다(赤).
晴
밝을 주(㫶)자는 해가 비추면 매우 밝으니까, 날 일(日)자를 하고 빗자루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와 그 빗자루를 쥐고 청소하는 것을 나타내는 비 추(帚)자를 합해 놓은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빗자루를 쥐고 깨끗하게 청소를 하면 밝은 느낌을 주게 됩니다. 밝을 주(㫶)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 = 㫶
기약할 기(㫷)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그 기(其)자를 했습니다. 그 기(其)자는 키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㫷
해가 지려고 할 첩(㫸)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베틀 디딜판 섭(疌)자를 했습니다. 베틀 디딜판 섭(疌)자는 베틀에 올라 베를 짤 때 베틀의 동력(動力)으로는 베를 짜는 사람이 베틀에 달린 신을 신고 전진과 후퇴를 반복하는 가운데 씨줄과 날줄을 엇바뀌게 하고 그 사이에 북 실을 넣어 베를 짭니다. 이 과정에서 베틀신을 신은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속눈썹 첩(睫), 빠를 첩(倢), 궁녀 첩(婕), 산 높을 첩(崨), 꿰맬 첩(緁), 발 잴 첩(踕)자들은 베틀 디딜판 섭(疌)자가 들어 있어서 ‘첩’으로 읽습니다.
+ = 㫸
밝을 소(㫹)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바 소(所)자를 했습니다. 바 소(所)자는 의부(義符)로 지게문 호(戶)자에 성부(聲符)로 도끼 근(斤)자를 했습니다. 바 소(所)자의 옛 글자를 보면 도끼 근(斤)자는 도끼를 표시한 글자가 아니라, 사람이 앉아 았는 것을 표시한 글자임을 볼 수 있습니다. 바 소(所)자는 사람이 늘 드나드는 지게문에 사람이 앉아 있는 모양을 표시해서 사람이 있는 바로 그 장소를 나타내게 되었습니다.
+ = 㫹
햇빛 곤(㫻)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둥글 륜(侖)자를 했습니다. 둥글 륜(侖)자는 합할 집(亼)자 아래에 나무 막대기를 여러 개 엮어서 둥글게 만든 새장처럼 묶어 놓은 책 책(冊)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둥글다고 하는 것은 새 조롱이나 닭장처럼 평면적인 표현이 둥글 뿐만이 아니라, 위에서 내려다볼 때 둥글다는 말입니다.
+ = 㫻
별빛 제(㫼)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마를 제(制)자를 했습니다. 마를 제(制)자를 했습니다. 마를 제(制)자는 소 우(牛)자 아래에 수건 건(巾)자를 하고 칼 도(刀,刂)자를 한 글자 같지만 옛 글자를 보면 마를 제(制)자는 나무 목(木)자에 칼 도(刀,刂)자를 해서. 나무를 재단하여 마르는 표시를 했습니다.
+ = 㫼
날 흐릴 록(㫽)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나무 깎을 록(彔)자를 했습니다. 나무 깎을 록(彔)자는 고슴도치 머리 계(彑)자 아래에 물 수(水)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고슴도치 머리 계(彑)자는 칼같이 나무를 깎는 뾰족한 연모를 표시한 것이고, 물 수(水)자는 나무를 깎아서 생기는 부스러기들을 표시한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 = 㫽
한낮 상(㫾)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오히려 상(尙)자를 했습니다. 오히려 상(尙)자는 작을 소(小)자 아래에 들 경(冋)자를 했습니다. 작을 소(小)자에 비하여 오히려 넓은 들 경(冋)자입니다.
+ = 㫾
따뜻할 훤(暄)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베풀 선(宣)자를 했습니다. 집을 표시하는 집 면(宀)자 아래에 걸칠 긍(亘)자를 했습니다. 집안일에 대한 관련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원추리 훤(萱), 의젓할 훤(喧), 따뜻할 훤(煊), 잊을 훤(諠)자들은 베풀 선(宣)자가 들어 있어서 ‘훤’으로 읽습니다.
+ = 暄
말릴 환(暅)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항상 항(恒)자를 했습니다. 항상 항(恒)자는 마음 심(心,忄)자 변에 걸칠 긍(亘)자를 했습니다. 푯말 환(桓), 작은 산이 큰 산보다 높을 환(峘), 끈 목 환(絙)자들은 걸칠 긍(亘)자가 들어 있어서 ‘환’으로 읽습니다. 다음카페 심신풀이 한자이야기 555항 마음 심(心,忄)자 부수에 나오는 글자들 25 참조
+ = 暅
해 기울 이(暆)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베풀 시(施)자를 했습니다. 베풀 시(施)자는 모 방(方)자 변에 남쪽 오랑캐 이(㐌)자를 했습니다. 횃대 이(箷), 구릉 이름 이(崺)자들은 베풀 시(施)자가 들어 있어서 ‘이’로 읽습니다.
暆
겨를 가(暇)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빌 가(叚)자를 했습니다. 빌 가(叚)자는 손으로 물건을 주고받는 그림을 그려서 물건을 빌린다는 뜻을 표시했습니다.
暇
무리 훈(暈)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군사 군(軍)자를 했습니다. 군사 군(軍)자는 덮을 멱(冖)자 아래에 수레 차(車)자를 해서 지금의 장갑차를 표시했습니다. 매운 채소 훈(葷)자도 군사 군(軍)자가 들어 있어서 ‘훈’으로 읽습니다.
暈
밟을 부(暊)자는 그림자를 만드는 해를 표시하는 글자, 날 일(日)자를 하고, 머리리 혈(頁)자를 했습니다. 머리 혈(頁)자는 머리와 얼굴, 그리고 수염까지 모두 그린 글자입니다. 머리를 밟을 수 있는 것은 해가 있어서 그림자를 만들기 때문입니다.
+ = 暊
굳셀 민(暋)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강인할 민(敃)자를 했습니다. 강인할 민(敃)자는 백성 민(民)자 옆에 칠 복(攵)자를 해서 백성을 강인하게 만드는 방법을 표시했습니다.
暋
어길 규(暌)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헤아릴 계(癸)자를 했습니다. 헤아릴 계(癸)자는 헤아릴 계(癸)자는 손을 네 개를 그려서 손가락을 모두 이용하여 셈을 하는 모양을 나타냈습니다. 헤아린다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역시 손가락으로 하는 가 봅니다. 헤아릴 계(癸)자는 ‘규’로도 읽습니다. 헤아릴 규(揆), 해바라기 규(葵)자들은 헤아릴 계(癸)자가 들어 있어서 ‘규’로 읽습니다.
+ = 暌
더위 먹을 갈(暍)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어찌 갈(曷)자를 했습니다. 어찌 갈(曷)자는 말한다는 뜻이 있는 가로 왈(曰)자 아래에 빌 개(匃)자를 했습니다. 빌 개(匃)자는 쌀 포(勹)자 안에 망할 망(亡)자를 한 글자입니다. 죽은 사람을 앞에 놓고 비는 빌 개(匃)자가 전주(轉注)되어 얻어먹느라고 비는 것도 뜻하게 되었습니다. 어찌 갈(曷)자는 죽은 사람을 앞에 놓고 어찌하느냐고 신에게 비는 글자입니다.
暍
비칠 영(暎)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꽃부리 영(英)자를 했습니다. 꽃부리 영(英)자는 꽃은 식물에 피니까, 풀 초(艸,艹)자 아래에 가운데 앙(央)자를 했습니다. 꽃의 끝부분 가운데를 뜻하는 글자입니다. 부리는 새의 ‘부리’처럼 뾰족하게 생긴 새의 주둥이 같은 것을 일컫는 말입니다.
+ = 暎
먼동 틀 도(暏)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놈 자(者)자를 했습니다. 놈 자(者)자는 쌀을 먹는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도읍 도(都), 담 도(堵), 볼 도(睹), 걸 도(賭)자들은 놈 자(者)자가 들어 있어서 ‘도’로 읽습니다.
暏
햇빛 위(暐)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다룸가죽 위(韋)자를 했습니다. 다룸가죽 위(韋)자는 글자 가운데 가죽을 표시하는 입 구(口)자를 하고, 아래와 위에 발을 그려서 가죽을 부드럽게 가공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려면 발로 짓이겨 밟아야 한다는 표시를 한 글자입니다. 가죽으로 보면 많은 시련과 고통을 견디어 내서 쓸모 있는 좋은 품질의 가죽이 된다는 뜻이니, 사람으로 치면 산전수전(山戰水戰) 모두 겪어 인품이 원만해진 인물을 뜻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 暐
갤 청(暒)자는 날이 갠 날은 낮에는 구름이 가리지 않아서 해가 뜨게 마련이니 해가 보인다는 뜻으로, 날 일(日)자를 하고, 밤이면 별도 보인다는 뜻으로 별 성(星)자를 했습니다. 별 성(星)자는 밝은 빛을 뜻하는 날 일(日)자 아래에 생겨난다는 뜻을 가진 날 생(生)자를 해서 밤하늘에 반짝이는 별을 표시했습니다.
+ = 暒
침침할 무(暓)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힘쓸 무(敄)자를 했습니다. 힘쓸 무(敄)자는 창 모(矛)자에 칠 복(攵)자를 했습니다. 창으로 찌르고 때리고 하며 힘을 쓰는 경우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 = 暓
나라 이름 남(暔)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남녁 남(南)자를 했습니다. 남녘 남(南)자는 사람이 향하는 쪽, 따뜻하여 싹이 나서 자라는 방위(方位)이고, 동녘 동(東)자는 나무(木)에 걸려 있는 해(日)를 그려서 해가 떠오르는 쪽임을 나타내고, 서녘 서(西)자는 해가 지평선 또는 수평선 아래로 지는 쪽이며, 북녘 북(北)자는 사람이 등을 댄 쪽입니다.
+ = 暔
흐린 아침에 날 밝을 간(暕)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가릴 간(柬)자를 했습니다. 가릴 간(柬)자는 나무 목(木)자의 중간에 가린 표시를 했습니다.
+ = 暕
따뜻할 난(暖)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이에 원(爰)자를 했습니다. 이에 원(爰)자는 물건을 표시하는 글자를 가운데 두고 상하(上下)에 손을 뜻하는 글자를 했습니다. 물건을 주고받는 표시를 한 글자입니다. 물건을 주고받으면 서로 관계가 성립하게 되어, ‘이에’의 뜻이 생기게 될 것입니다. 따뜻할 난(煖)자도 이에 원(爰)자가 들어 있어서 ‘난’으로 읽습니다.
+ = 暖
어두울 암(暗)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소리 음(音)자를 했습니다. 소리 음(音)자는 설 립(立)자 아래에 날 일(日)자를 했습니다. 그러나 실은 설 립(立)자는 나팔을 그린 글자이고, 날 일(日)자는 날짜나 해를 뜻하는 글자가 아니라, 입을 표시하는 가로 왈(曰)자의 변형입니다. 훌쩍거릴 암(喑), 흙이 묻을 암(堷), 숨길 암(揞)자들은 소리 음(音)자가 들어 있어서 ‘암’으로 읽습니다.
暗
해돋이 양(暘)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볕 양(昜)자를 했습니다. 볕 양(昜)자는 날 일(日)자 아래에 말 물(勿)자를 했습니다. 날 일(日)자는 햇볕을 가리키는 표시이고, 말 물(勿)자는 햇살이 비치는 모습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暘
사람 이름 춘(暙)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봄 춘(春)자를 했습니다. 봄 춘(春)자는 날 일(日)자 위에 식물의 자라는 싹을 그린 글자입니다. 봄에 해 볕을 쬐어 식물이 자람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봄 춘(春)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 = 暙
해 비칠 잡(㬁)자는 해가 비치니까, 날 일(日)자를 하고 해가 비쳐서 윤기가 흐른다는 뜻으로, 윤택하게 할 흡(洽)자를 했습니다. 윤택하게 할 흡(洽)자는 의부(義符)로 물 수(水,氵)자에 성부(聲符)로 합할 합(合)자를 했습니다. 합할 합(合)자는 모일 집(亼)자 아래에 입 구(口)자를 해서 먹는 것 앞에는 모두 모이게 되고 마음이 한가지라는 뜻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합할 흡(翕), 미칠 흡(恰)자는 합할 합(合)자가 들어 있어서 ‘흡’으로 읽습니다.
+ = 㬁
사람 이름 우(㬂)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긴 꼬리 원숭이 우(禺)자를 했습니다. 긴 꼬리 원숭이 우(禺)자는 고리가 긴 원숭이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㬂
해가 돋을 대(㬃)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와 불 화(火)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별 태(台)자를 했습니다. 별 태(台)자는 사사 사(厶)자 아래에 입 구(口)자를 했습니다. 별 태(台)자에서 사사 사(厶)자 아래에 입 구(口)자를 한 것은 별이 여러 가지 형태로 빛나는 것을 나타낸 것입니다. 별 태(台)자는 밤하늘에 반짝이는 별빛의 모양을 표시한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대 대(坮)자도 별 태(台)자가 들어 있어서 ‘대’로 읽습니다.
+ + = 㬃
붉은 빛 찬(㬄)자는 빛 중에는 햇빛이 강하니까, 날 일(日)자를 하고 햇빛과는 좀 다르다는 뜻으로 기슭 엄(厂)자를 해서 구별해 놓고 붉을 적(赤)자를 했습니다. 붉을 적(赤)자는 불 화(火)자 위에 사람(大)이 있는 모양입니다. 불은 붉다고 색깔을 나타냈습니다. 풀이 푸른 것처럼 불은 붉다고 나타냈습니다.
+ + = 㬄
이끌 만(㬅)자는 끌 만(曼)자와 같은 글자입니다. 이끌 만(㬅)자는 날 일(日)자 아래에 그물 망(罒)자를 하고 모 방(方)자를 했는데, 끌 만(曼)자는 날 일(日)자 아래에 그물 망(罒)자를 하고 또 우(又)자를 했습니다. 모 방(方)자는 모퉁이를 나타낸 지사(指事) 글자이고, 또 우(又)자는 손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끄는 것은 손(又)으로 끌고, 어느 장소(方)가 눈길을 끈다고 본 것입니다. 여기서 그물 망(罒)자는 눈 목(目)입니다.
+ = 㬅
시호 민(㬆)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 두 개를 하고 성부(聲符)로 백성 민(民)자를 했습니다. 백성 민(民)자는 각시 씨(氏)자처럼 아기를 배어 배가 불룩 나온 모양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그런데 머리 부분만 더 강조한 글자가 백성 민(民)자입니다. 아기를 밴 각시 씨(氏)자보다 이제 출생을 해서 더 나이가 들어서 성장한 글자라고나 할까요?
+ = 㬆
나라 이름 환(㬇)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빛날 환(奐)자를 했습니다. 빛날 환(奐)자는 두 손으로 사람을 위로 추켜 올린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사람보다 더 빛나는 것은 없겠지요. 한자(漢字)는 인본주의(人本主義) 사상에 바탕을 두고 오랜 시간 다듬어지고 만들어진 글자입니다.
+ = 㬇
따뜻할 온(㬈)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어질 온(昷)자를 했습니다. 어질 온(昷)자는 해를 뜻하는 날 일(日)자 아래에 그릇 명(皿)자를 해서 그릇에 담아놓은 물이 햇볕에 따뜻해지는 것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어질다는 것은 마음이 따뜻한 사람을 일컫는 말입니다.
+ = 㬈
따뜻할 난(㬉)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가냘플 연(耎)자를 했습니다. 가냘플 연(耎)자는 수염을 그려서 털이 가냘픔을 나타냈습니다. 목욕물 난(渜), 풀보기 잔치 난(餪)자는 가냘플 연(耎)자가 들어 있어서 ‘난’으로 읽습니다.
+ = 㬉
밝을 환(㬊)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이에 원(爰)자를 했습니다. 이에 원(爰)자는 손톱 조(爪)자를 위아래에 또 우(又)자를 해서 손을 표시하는 글자를 두 개 하고, 그 가운데에 물건을 나타내는 방패 간(干)자를 했습니다. 이에 원(爰)자는 지금 막 서로 물건을 차지하려고 다투는 모양입니다. 무게 단위 환(鍰), 성낼 환(喛)자도 이에 원(爰)자가 들어 있어서 ‘환’으로 읽습니다.
+ = 㬊
나후 후(㬋)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과녁 후(侯)자를 했습니다. 과녁 후(侯)자는 활을 쏠 때의 목표물인 과녁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과녁 후(侯)자에서 화살 시(矢)자는 활을 쏠 때의 과녁임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사람 인(人)자는 사람을 표시한 글자가 아니라, 그려서 세워 놓은 과녁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과녁에는 호랑이 등 짐승을 많이 그렸습니다. 과녁 후(侯)자는 물을 후(候)자와 구별합니다. 물을 후(候)자는 과녁 후(侯)자에서 사람 인(人)자 다음 뚫을 곤(丨)자를 더 한 글자입니다. 물을 후(候)자는 기후(氣候)라고 할 때에는 기후 후(候)자로 전주(轉注) 되었습니다. 나후(羅睺)는 월식과 일식을 일으키는 별입니다.
+ = 㬋
햇빛 요(暚)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질그릇 요(䍃)자를 했습니다. 질그릇 요(䍃)자는 육달 월(月,肉)자 아래에 장군 부(缶)자를 해서 액체를 담아 두는 병처럼 생긴 장군이라는 오지그릇 내지 질그릇을 손(月,肉)으로 만드는 표시를 한 글자입니다.
+ = 暚
밝을 차(暛)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어긋날 차(差)자를 했습니다. 어긋날 차(差)자는 옛 글자를 보면 서로 다르다는 표시를 했습니다. 사람 둘을 그리고 글자 아래에 손 수(手)를 하고 다르다는 표시로 두 이(二)자를 했습니다. 이(二)자는 선을 두 개 그음으로써 서로 다름을 표시한 것입니다. 이 선 두 개가 나중에 장인 공(工)자로 변했습니다. 사람 둘을 그리고 손 수(手)를 하고 두 사람 가운데를 나누어 놓은 것이 양 양(羊)자처럼 보이지마는 양(羊)자가 아니라 사람 둘이 다르다는 것을 그린 표시입니다.
+ = 暛
넓을 보(暜)자는 위에 설 립(立)자를 두 개하여 나란히 병(竝)자를 만들어 놓고, 글자의 아래에 날 일(日)자를 했습니다. 사람들이 서서 차지하고 있는 면적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여러 사람이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는 뜻이지요.
+ = 暜
어두울 명(暝)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어두울 명(冥)자를 했습니다. 어두울 명(冥)자는 해를 뜻하는 날 일(日)자를 위에서는 덮을 멱(冖)자를 하고 아래서는 여섯 륙(六)자를 하여 위아래에서 모두 둘러 싼 모양을 했습니다. 해를 둘러쌌으니 어두울 수밖에는 없겠지요. 여섯 륙(六)자를 한 것은 둘러쌌다기보다 아래에서 받쳐 놓아서 햇빛이 가려졌다고 해야 좋을 듯싶습니다.
+ = 暝
밝을 교(暞)자는 밝은 것은 해니까, 해를 표시하는 날 일(日)자를 하고, 말뚝은 지상에서 조금 높으니까, 밝다는 뜻에서 말뚝 얼(臬)자를 했습니다. 말뚝 얼(臬)자는 스스로 자(自)자 아래에 나무 목(木)자를 했습니다. 짐승을 매어 두려고 고삐를 매기 좋게 만들어 땅에 박아 놓은 것을 말뚝이라고 합니다.
+ = 暞
비출 개(暟)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어찌 기(豈)자를 했습니다. 어찌 기(豈)자는 산 산(山)자 아래에 제기 두(豆)자를 해서 산에서 제사를 지내는 표시를 했습니다.
+ = 暟
흴 고(暠)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높을 고(高)자를 했습니다. 높을 고(高)자는 정자 정(亭), 높을 교(喬)자와 같이 높은 집을 상형(象形)한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暠
날씨가 어두울 옹(暡)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늙은이 옹(翁)자를 했습니다. 늙은이 옹(翁)자는 성부(聲符)로 공변될 공(公)자 아래에 의부(義符)로 깃 우(羽)자를 했습니다. 독 옹(瓮)자도 공변될 공(公)자가 들어 있어서 ‘옹’으로 읽습니다.
+ = 暡
펼 창(暢)자는 펼 신(申)자를 하고, 볕 양(昜)자를 했습니다. 볕 양(昜)자는 햇볕이 비치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펼 신(申)자는 가운데 내리그은 뚫을 곤(丨)자를 두 손으로 양 쪽에서 주무르는 그림입니다. 여기서 뚫을 곤(丨)자가 표시하는 것은 등뼈입니다. 펼 신(申)자는 굽은 등뼈를 주물러서 곧게 편다는 뜻입니다. 햇살이 펴지니 펼 창(暢)자가 되었습니다.
暢
별 기운 기(暣)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기운 기(氣)자를 했습니다. 기운 기(氣)자는 기류의 움직임을 표시하는 기운 기(气)자 아래에 쌀 미(米)자를 해서 쌀이 사람에 있어 기운의 원천임을 표시했습니다.
+ = 暣
밝을 호(暤)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못 고(皋)자를 했습니다. 못 고(皋)자 부르는 소리 고(皐)자와 같은 글자입니다. 언덕 고(皐)자는 흰 백(白)자 아래에 큰 대(大)자를 하고 열 십(十)자를 했습니다. 언덕이라는 듯을 나타낸 글자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어쨌든 언덕은 높은 곳이고 등성이가 바람에 벗어진 곳입니다. 짐승소리 호(嗥), 짖을 호(嘷), 밝을 호(皞)자들은 못 고(皋)자가 들어 있어서 ‘호’로 읽습니다.
暤
질펀할 안(暥)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늦을 안(晏)자를 했습니다. 늦을 안(晏)자는 날 일(日)바에 편안 안(安)자를 했습니다. 편안 안(安)자는 집에 여자가 편안하게 있는 글자입니다.
+ = 暥
책력 력(暦,曆)자는 책력이라는 것이 세월이 가는 것을 표시한 것이기에 날 일(日)자를 하고, 세월이 가는 것을 잘 알 수 있는 것이 나무가 자라는 것과 벼가 자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기슭 엄(厂)자에 나무 목(木)자 두 개를 하거나 벼 화(禾)자 두 개를 했습니다.
暦,曆
가릴 애(暧,曖)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사랑 애(愛)자를 했습니다. 사랑 애(愛)자는 사랑하는 사람 사이에 주고받는 마음과 물건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 = 暧,曖
미칠 기(暨)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가 들어 있는 아침 단(旦)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이미 기(旣)자를 했습니다. 날 일(日)자 대신에 아침 단(旦)자를 했지마는 실은 날 일(日)자나 마찬가지 글자입니다.
暨
볕을 쬘 박(㬍)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펼 부(尃)자를 했습니다. 펼 부(尃)자는 클 보(甫)자 아래에 마디 촌(寸)자를 해서 보따리를 푸는 모양을 나타냈습니다. 펼 부(尃)자와 오로지 전(專)자는 보따리를 풀고 싸는 글자들입니다. 넓을 박(博), 잡을 박(搏), 묶을 박(縛), 포 박(膊), 불에 말릴 박(煿)자들은 펼 부(尃)자가 들어 있어서 ‘박’으로 읽습니다.
+ = 㬍
드러날 현(㬎)자는 날이 밝아야 드러나기 때문에 밝은 날을 표시하는 날 일(日)자를 하고, 드러나서 헤아리기가 어려운 실 사(絲)자를 했습니다. 실의 낱개를 헤아리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날이 밝으면 헤아릴 수가 있겠지요.
+ = 㬎
밝을 력(㬏)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솥 력(鬲)자를 했습니다. 솥 력(鬲)자는 막을 격(鬲)자로 전주(轉注) 되었습니다. 솥 력(鬲)자는 솥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㬏
땅이름 진(㬐)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나아갈 진(晉)자를 했습니다. 나아갈 진(晉)자는 새가 집으로 날아 들어오는 모양을 나타내는 이를 지(至)자를 두 개 나란히 한 글자입니다. 여기서 나아간다는 말은 한 방향으로 움직인다는 말입니다. 그런데 날 일(日)자를 해서 해를 향해서 날아 옴을 나타냈습니다. 이는 향일성(向日性)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 = 㬐
빛날 계(暩)자는 햇빛은 빛나니까, 날 일(日)자를 하고, 제사를 지내는 것도 후손들에게는 빛나는 일이니까, 제사 제(祭)자를 했습니다. 제사 제(祭)자는 제물을 제사상에 차려 놓은 모양을 그린 글자입니다.
+ = 暩
어두울 문(暪)자는 어둡고 밝은 것은 해의 역할로 결정 되는 것이기에, 날 일(日)자를 하고, 어두운 것은 해가 높이 떠 있지 아니하고 평평하게 있을 때이므로, 평평할 만(㒼)자를 했습니다. 붉은 옥 문(璊)자도 평평할 만(㒼)자가 들어 있어서 ‘문’으로 읽습니다. 평평할 만(㒼)자는 스물 입(卄) 아래에 범위를 뜻하는 먼데 경(冂)자를 하고 먼데 경(冂)자를 둘로 나누고 그 사이마다 들 입(入)자를 해서 공간을 많이 채운 표시를 한 글자입니다. 공간을 많이 채워서 평평하게 만들었다는 듯을 가지고 있습니다. 더 빈 틈이 없어 더 채울 수는 없다는 뜻도 가지고 있습니다.
+ = 暪
잠시 잠(暫)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벨 참(斬)자를 했습니다. 잠시 잠(蹔)자도 벨 참(斬)자가 들어 있어서 ‘잠’으로 읽습니다.
暫
설만 할 설(暬)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심을 예(埶)자를 했습니다. 심을 예(埶)자는 식물을 심는 모양을 그린 글자입니다. 더러울 설(褻)자도 심을 예(埶)자가 들어 있어서 ‘설’로 읽습니다. 설만하다는 말은 너무 사이가 가까워서 버릇없이 군다는 말입니다. 더러울 설(褻)자도 속 옷 설(褻)자로도 읽고, 친압할 설(褻)자로도 읽습니다.
暬
밝을 호(暭,曍)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부르는 소리 고(皐)자를 했습니다. 언덕 고(皐)자로도 읽습니다. 지형이 언덕처럼 높은 곳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짐승 소리 호(嗥), 짖을 호(嘷), 밝을 호(皞), 밝을 호(皥)자들은 언덕 고(皐)자가 들어 있어서 ‘호’로 읽습니다.
暭,曍
저물 모(暮)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없을 막(莫)자를 했습니다. 없을 막(莫)자는 해를 뜻하는 날 일(日)자는 풀이 가려서 해가 없는 것 같다는 뜻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법 모(模), 모을 모(募), 꾀 모(謨), 그리워할 모(慕)자들은 말 막(莫)자가 들어 있어서 ‘모’로 읽습니다.
+ = 暮
어두울 막(暯)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없을 막(莫)자를 했습니다. 날 일(日)자와 없을 막(莫)자의 배열에 따라서 다른 글자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뜻이 서로 비슷합니다. 날이 저물면 어둡게 마련이지요.
+ = 暯
번쩍일 종(暰)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좇을 종(從)자를 했습니다. 좇을 종(從)자는 앞서가는 사람을 뒤 따르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 = 暰
친할 닐(暱)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숨을 닉(匿)자를 했습니다. 숨을 닉(匿)자는 감출 혜(匸)자에 같을 약(若)자를 했습니다. 같을 약(若)자는 풀 초(艹)자 아래에 오른 우(右)자를 했습니다. 오른 우(右)자는 오른쪽 손을 표시한 지사(指事) 글자입니다. 같을 약(若)자는 풀을 뽑아도뽑아도 자꾸 나오는 풀의 속성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어떤 욕망의 표시 같기도 합니다. 생명의 강인함을 표시한 것 같습니다. 이런 본능적이고 생명과 직결된 사안을 감출 혜(匸)자로 감추는 것입니다. 등에 닐(䘌)자는 숨을 닉(匿)자가 들어 있어서 ‘닐’로 읽습니다.
暱
해 돋아 올 장(暲)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글 장(章)자를 했습니다. 글 장(章)자는 설 립(立)자 아래에 가로 왈(曰)자를 하고, 열 십(十)자를 해서 받쳐 놓은 모양을 했습니다. 여기서 설 립(立)자는 나팔을 그린 글자입니다. 설 립(立)자와 가로 왈(曰)자는 말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열 십(十)자를 해서 글 장(章)자는 말을 높여 놓은 글자입니다.
+ = 暲
별 반짝일 혜(暳)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비 혜(彗)자를 했습니다. 비 혜(彗)자는 예쁠 봉(丰)자를 두 개하고 손을 표시한 글자를 했습니다. 손으로 예쁠 봉(丰)자처럼 생긴 빗자루를 들고 청소하는 그림입니다.
+ = 暳
사나울 폭(暴)자는 햇볕을 쬐인다는 뜻으로 날 일(日)자를 하고, 햇볕을 쬐여서 곡식을 말릴 때에는 손으로 자꾸 저어 주어야 하기에, 손을 여러 개 표시한 함께 공(共)자를 하고, 물 수(水)자처럼 보이지마는 물 수(水)자가 아니라, 쌀 미(米)자입니다. 사나울 폭(暴)자는 쌀을 자꾸 저어가며 햇볕에 말리는 그림입니다.
暴
말릴 한(暵)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𦰩’자를 했습니다. 한수 한(漢), 할미 한(嫨), 말릴 한(熯)자들은 ‘𦰩’자가 들어 있어서 ‘한’으로 읽습니다.
暵
밝을 선(暶)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돌 선(旋)자를 했습니다. 돌 선(旋)자는 의부(義符)로 모 방(方)자에 성부(聲符)로 ‘𠂉’자 아래에 발 소(疋)자를 했습니다. 서성거리며 주위를 맴도는 표시를 한 글자입니다.
+ = 暶
물 이름 전(暷)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오로지 전(專)자를 했습니다. 오로지 전(專)자는 성부(聲符)로 물레 전(叀)자 아래에, 의부(義符)로 마디 촌(寸)자를 했습니다. 손으로 하는 일에는 오로지 길쌈을 하는 일이 중요하다는 뜻일까요? 오로지 전(專)자는 길쌈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또는 오로지 전(專)자는 실꾸리를 표시한 글자로도 볼 수 있습니다.
+ = 暷
흐릴 망(㬒)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우거질 망(莽)자를 했습니다. 우거질 망(莾)자는 우거질 망(莽)자와 동자(同字)입니다. 우거질 망(莾)자는 풀 초(艸,艹)자 아래에 달릴 분(奔)자를 했습니다. 달릴 분(奔)자는 사람을 표시하는 큰 대(大)자 아래에 풀 훼(卉)자를 했습니다. 풀 훼(卉)자는 열 십(十)자를 세 개 했습니다. 여기서 열 십(十)자는 풀을 그린 글자입니다. 달릴 분(奔)자는 풀밭을 달리는 사람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우거질 망(莾)자는 개가 토끼를 쫓아내는 망(莾)자로 전주 되었습니다. 우거질 망(莽,茻)자는 풀 초(艸,艹)자에 개 견(犬)자를 하고 두 손으로 받들 공(廾)자를 했습니다. 우거질 망(莽)자는 개가 풀밭에 뛰어 다니는 모양을 나타냈습니다. 그런데 가만히 글자를 보면 우거질 망(茻)자와도 같은 글자입니다.
+ = 㬒
볕에 쬐어 말릴 표(㬓)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불똥 튈 표(票)자를 했습니다. 불똥이 튄다는 말은 점차 그 영향을 받게 된다는 뜻입니다. 마치 불똥이 튀어 불똥이 날아가 앉은 자리에 불이 나듯이 영향을 받게 된다는 말입니다.
+ = 㬓
어길 호(㬔)자는 가장 높이 있는 해를 표시하는 날 일(日)자에 높이 날 료(翏)자를 했습니다. 높이 날 료(翏)자는 새의 깃에 털이 많게 표시해서 깃의 힘이 좋아 높이 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어긴다는 말은 긍정적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부정적으로 하는 것입니다. 아무리 높이 난다고 해도 해만큼 높이 날 수는 없는 일입니다. 서로 어울릴 수 없는 글자를 조합하여 어긴다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 = 㬔
밝을 양(㬕)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상서로울 상(祥)자를 했습니다. 상서러울 상(祥)자는 제사를 지낼 때 제사상을 차린 것을 그린 보일 시(示)자에 제물로 많이 사용하는 양 양(羊)자를 했습니다. 양 양(羊)자는 뿔을 강조하여 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산 이름 상(㟄), 자세할 상(詳)자는 양 양(羊)자가 들어 있어서 ‘상’으로 읽습니다.
+ = 㬕
밝을 료(暸)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횃불 료(尞)자를 했습니다. 횃불 료(尞)자는 횃불을 상형(象形)한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暸
해 돋을 섬(暹)자는 해를 표시하는 글자인 날 일(日)자에다, 나아갈 진(進)자를 했습니다. 해가 나아가는 것은 바로 해가 돋는 것입니다.
+ = 暹
밝을 탄(暺)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홑 단(單)자를 했습니다. 홑 단(單)자는 한 사람이 밀거나 끄는 수레를 상형(象形)한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탄알 탄(彈), 꺼릴 탄(憚), 빠를 탄(僤), 헐떡일 탄(嘽)자들은 홑 단(單)자가 들어 있어서 ‘탄’으로 읽습니다.
+ = 暺
밝을 경(暻)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볕 경(景)자를 했습니다. 볕 경(景)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서울 경(京)자를 했습니다. 서울 경(京)자는 정자 정(亭)자처럼 높은 집을 그린 글자입니다.
+ = 暻
해 질 별(暼)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해질 폐(敝)자를 했습니다. 해질 폐(敝)자는 해어진 옷 폐(㡀)자에 칠 복(攵)자를 해서 옷이 더 떨어지도록 두들겨 팬 글자입니다. 언뜻 볼 별(瞥), 금계 별(鱉), 자라 별(鼈), 발끈할 별(嫳)자들은 해질 폐(敝)자가 들어 있어서 ‘별’로 읽습니다.
+ = 暼
사람 이름 린(暽)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도깨비 불 린(粦)자를 했습니다. 도깨비 불 린(粦)자는 쌀 미(米)자에 어그러질 천(舛)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쌀 미(米)자는 반짝반짝 빛나는 횃불을 그린 글자이고, 어그러질 천(舛)자는 발을 두 개 그려서 도망가는 모양을 나타냈습니다. 도깨비불은 한밤중에 밝게 빛나니까, 무서워서 사람이 보면 도망간다는 뜻입니다.
+ = 暽
아침 해 돈(暾)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도타울 돈(敦)자를 했습니다. 도타울 돈(敦)자는 의부(義符)로 칠 복(攴,攵)자에 성부(聲符)로 누릴 향(享)자를 했습니다. 누릴 향(享)자는 신전에서 양을 잡아 제사를 올리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신에게 잘 대접해서 인간의 평화와 번영을 누린다는 말이지요. 도타울 돈(惇), 귀갑 지지는 불 돈(焞), 활 돈(弴), 설렐 돈(蜳)자들은 향(享)자가 들어 있어서 ‘돈’으로 읽습니다.
+ = 暾
몹시 더울 희(暿)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기쁠 희(喜)자를 했습니다. 기쁠 희(喜)자는 북을 둥둥 치며, 노래하는 글자입니다. 북을 받쳐 놓은 것과 같은 악기 주(壴)자는 북을 둥둥 친다는 표시이고, 기쁠 희(喜)자 아래에 있는 입 구(口)자는 입을 벌리고 노래를 부른다는 표시입니다.
+ = 暿
음산할 에(曀)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하나 일(壹)자를 했습니다. 하나 일(壹)자는 병 하나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쓰러질 에(殪)자도 하나 일(壹)자가 들어 있어서 ‘에’로 읽습니다.
曀
및 기(曁)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가 들어 있는 아침 단(旦)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이미 기(旣)자를 했습니다. 이미 기(旣)자는 밥을 먹어 배가 불러서 이미 얼굴을 돌린 상태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이미 기(旣)자에서 흰 백(白)자 아래에 비수 비(匕)자를 한 것은 밥그릇에 가득 담긴 밥을 그린 글자이고, 없을 무(无)자는 입을 벌려 없다는 표시를 한 글자인데, 없을 무(无)자에 획을 더 하여 입을 막아서 먹기가 싫어 입을 다물고 얼굴을 돌린 그림입니다.
曁
밝을 황(曂)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누를 황(黃)자를 했습니다. 누를 황(黃)자는 땅의 빛깔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 = 曂
어두울 태(曃)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미칠 체(逮)자를 했습니다. 미칠 체(逮)자는 따라가서 붙잡는다는 뜻입니다. 따라간다는 뜻으로 쉬엄쉬엄 갈 착(辶)자 변에 손으로 잡는 표시로 미칠 대(隶)자를 했습니다. 보 태(埭), 미끄러질 태(捸)자는 미칠 대(隶)자가 들어 있어서 ‘태’로 읽습니다.
+ = 曃
빛날 엽(曄,曅)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꽃 화(華)자를 했습니다. 꽃 화(華)자는 꽃이 핀 모양을 상형(象形)한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빛날 엽(燁), 빛날 엽(瞱)자는 꽃 화(華)자가 들어 있어서 ‘엽’으로 읽습니다.
曄
책력 력(曆)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다스릴 력(厤)자를 했습니다. 다스릴 력(厤)자는 책력 력(曆)자의 고자(古字)입니다. 농사를 잘 지을 수 있도록 계절의 바뀜과 시간과 기후에 대해서 잘 대처하는 사람이 참 능력이 있는 사람이었습니다. 다스릴 력(厤)자는 기슭 엄(厂)자 아래에 벼 화(禾)자를 나란히 두 개 해서 농사일을 다스리는 것을 표시했습니다.
曆
흐릴 담(曇)자는 구름이 끼면 날이 흐립니다. 해를 구름이 가리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흐릴 담(曇)자는 날 일(日)자를 하고, 구름 운(雲)자를 했습니다. 흐릴 담(曇)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曇
동틀 동(曈)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아이 동(童)자를 했습니다. 아이 동(童)자는 설 립(立)자 아래에 마을 리(里)자를 했습니다. 마을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아이들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아이 아(兒)자처럼 아이들은 어른에 비하여 몸과 머리의 비율이 머리가 큽니다. 아이 동(童)자도 아이의 신체적 특징을 표시한 글자이기도 할 것입니다.
曈
새벽 효(曉)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요임금 요(堯)자를 했습니다. 요임금 요(堯)자는 요임금께서 정치를 하는 임금의 자리가 흙을 조금 높이 쌓아올린 자리였다는 표시를 한 글자입니다. 날랠 효(驍), 두려워할 효(憢), 두려워할 효(嘵)자들은 요임금 요(堯)자가 들어 있어서 ‘효’로 읽습니다.
曉
말릴 비(曊)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쓸 비(費)자를 했습니다. 쓸 비(費)자는 성부(聲符)로 아닐 불(弗)자 아래에 의부(義符)로 조개 패(貝)자를 했습니다. 끓을 비(沸), 원숭이 비(狒), 땀띠 비(疿)자들은 아닐 불(弗)자가 들어 있어서 ‘비’로 읽습니다.
+ = 曊
해 머무는 곳 심(曋)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미칠 담(覃)자를 했습니다. 볼 심(瞫), 버섯 심(蕈), 칼날 심(鐔)자들은 미칠 담(覃)자가 들어 있어서 ‘심’으로 읽습니다.
+ = 曋
비칠 조(曌)자는 날 일(日)자와 달 월(月)자로 된 밝을 명(明)자를 를 하고, 하늘을 표시하는 빌 공(空)자를 했습니다. 하늘에서 해와 달이 비친다는 뜻이지요. 빌 공(空)자는 의부(義符)로 구멍 혈(穴)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장인 공(工)자를 했습니다.
+ = 曌
밝을 호(曍)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언덕 고(臯)자를 했습니다. 언덕 고(臯)자는 스스로 자(自)자 아래에 ‘𠦂’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스스로 자(自)자는 얼굴에서 코가 우뚝하듯이 높은 곳을 가리키는 글자입니다. ‘𠦂’자는 물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못을 만들어 물을 담아 두려면 언덕을 tkgdk 올려 둑을 만들어야 합니다. 짖을 호(嘷), 개 짖을 호(獋)자는 언덕 고 (臯)자가 들어 있어서 ‘호’로 읽습니다.
暭,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