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양파·배추·상추 ‘금값’… 물가공포 덮치
나」기사관련 설명
|
2012. 7. 17일자 매일경제(A04면)의 『양파․배추․상추 ‘금값’… 물가공포 덮치나』제하의 보도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보도요지 1 □ 양파 11만1천톤 할당관세 도입계획을 수입반대 집회 하루만에 정부정책을 바꿔 2만1천톤만 50%로 수입하고 나머지는 생산자 등과 협의 후 확정하겠다고 꼬리를 내렸다 |
□ 농민집회 이후 정부입장이 바뀐 것은 전혀 없음
○ 농림수산식품부는 금년산 양파 재배면적 감소와 작황 부진으로 양파 공급량이 수요량 대비 16만 4천톤 정도가 부족할 것으로 전망되어
○ 양파 공급부족 물량 9만톤과 ‘12년도 의무수입물량 2만1천톤을 포함하여 11만 1천톤을 할당관세로 도입하여 가격안정용으로 공급하겠다고 밝혔음(6.29. 물가관계장관회의)
□ 또한, 할당관세 물량은 시기별로 나누어 탄력적으로 도입할 계획이며, 국내 양파가격이 안정화되는 경우 도입중단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힌바 있음(7.11. 보도자료)
□ 의무수입물량(TRQ) 2만1천톤은 지난 6.20일 민간에 수입권공매 입찰 결과 9.7천톤이 낙찰되어 도입중에 있으며, 잔량은 할당관세로 전환하여 증량분 9만톤과 함께 할당관세로 도입할 계획임
○ TRQ(관세 50%) 입찰물량 중 할당관세 도입으로 국내 도입이 되지 못한 물량은 원할 경우 할당관세로 전환해 줄 계획임
□ 또한, 정부는 생산자단체의 요구를 수용하여 생산자단체·소비자단체·유통 및 저장업체가 참여하는 양파 수급대책협의회를 구성하여 양파 수입 등 수급과 관련된 현안문제를 협의해 나가기로 했음
【보도요지 2 】 □ 농식품부가 수급예측을 잘못하여 지난 4월까지만 해도 판매 촉진행사를 했으나, 5월들어 양파생산량이 감소될 것으로 예측되면서 수입을 검토 |
□ 양파 수급년도(6월~이듬해 5월)를 감안할 때, 저장양파는 4월이 지나면 부패·변질이 급격히 발생하여 상품성이 떨어지는 양파를 산지에서 폐기처분하는 것이 일반적 현상임
○ ‘12년 3월말 기준으로 양파 저장량은 6만톤으로 전년동기(4만톤)보다 2만톤 많아, 지난 4월 농협중앙회 주관으로 양파 소비촉진 행사를 개최하였으며
○ 이는 햇양파 본격 출하에 대비하여 창고를 비우기 위한 것으로, 수급예측과는 무관한 통상적이고 적절한 조치를 취한 것임
□ 이는 6.1일 매일경제 「또 한참 빗나간 양파값…」기사와 관련해 이미 해명한 바 있음
【보도요지 3 】 □ 배추값 지난 1월 대비 6개월만에 3배 상승, 상추값 지난달 대비 130% 급등 * 배추가격 : (1월)300원/kg → (3월)1,000 → (4월)2,522 → (6월초)400 → (6월말)900 |
□ 농산물 도매가격은 당일 반입량 및 외부주문량 등 거래동향에 따라 차이가 크게 나타나므로 그때그때 임의로 기간을 설정하여 가격을 비교할 경우 객관성을 잃을 수 있으므로, 전·평년 동기와 비교하는 것이 타당
□ 배추의 경우 1년에 4번 재배·출하되는 특징이 감안되어야 함
○ 기후조건이 좋은 봄과 가을에 재배되는 배추는 생산량이 많아 가격이 싸지만, 기후조건이 나쁜 여름에 재배되는 배추는 생산량이 적어 가격이 상승하는 것이 일반적
○ 지난해 가을배추 풍작으로 생산량이 이월되어 가격이 쌌던 1월과 가뭄 등의 영향으로 가격이 상승한 6월 가격을 비교하는 것은 재배시기가 다른 배추를 비교하는 것으로 적절치 않음
□ 7월중순 배추 도매가격은 전년과 비슷한 포기당 1,798원 수준(전년비 0.7%, 평년비 9% 상승)
* 7.17일 도매가격은 상품기준 포기당 1,458원(평년대비 10.1%, 전년대비 18.4% 하락)
○ 배추 가격은 지속된 가뭄으로 7월 상순 포기당 2,187원까지 상승하였으나, 이후 비가 내려 생육이 호전되고 정부의 적극적인 출하조절로 최근 가격은 전·평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
○ 농식품부는 배추 출하조절을 위해 지난 6월부터 봄배추 3,500톤을 수매·비축하고 있으며, 가격이 상승하기 시작한 6월 하순부터 1일 50∼100톤 수준을 도매시장에 공급하고 있음
《배추 도매가격 동향》
단위 : 원/포기/상품
|
5월 |
6.상 |
6.중 |
6.하 |
7.상 |
7.중 |
7.하 |
8.상 |
8.중 |
8.하 |
2012 |
1,638 |
1,093 |
1,030 |
2,065 |
2,187 |
1,798 |
|
|
|
|
2011 |
698 |
691 |
803 |
710 |
1,097 |
1,786 |
2,676 |
2,809 |
3,310 |
3,588 |
평년 |
1,596 |
1,144 |
1,116 |
1,151 |
1,266 |
1,622 |
2,068 |
2,062 |
1,963 |
2,075 |
□ 상추 가격은 전년대비 51% 하락, 평년대비 14% 높은 수준
* 7.17일 도매가격은 4kg당 12,939원(평년대비 10.6%, 전년대비 62.8% 하락)
○ 상추는 장마철부터 가격이 상승하기 시작하여 휴가철에 가장 높은 가격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 금년의 경우 장마가 늦게 시작되면서 전·평년보다 낮은 시세를 유지하다 최근 평년 가격보다 소폭 상승하였으나, 전년보다는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상추 도매가격 동향》
단위 : 원/4kg/상품
|
5월 |
6.상 |
6.중 |
6.하 |
7.상 |
7.중 |
7.하 |
8.상 |
8.중 |
8.하 |
2012 |
8,635 |
6,683 |
7,730 |
9,614 |
11,166 |
16,530 |
|
|
|
|
2011 |
11,306 |
7,551 |
7,194 |
7,809 |
22,364 |
33,542 |
37,219 |
22,724 |
16,753 |
28,720 |
평년 |
7,778 |
8,338 |
7,583 |
8,663 |
13,969 |
14,474 |
13,277 |
16,744 |
16,333 |
18,104 |
【 요청사항 】
□ 수박의 경우 7월중순 소비자 가격은 전년대비 20% 이상 하락
* 도매가격(원/8kg) : ('11) 13,806 → ('12) 12,966
* 소비자가격(원/1개) : ('11) 16,590 → ('12) 13,314
○ 가격상승에 따른 기대심리로 충청․고창 등에서의 정식면적이 작년보다 2%이상 증가하였고, 주산지 일조량 증가에 따른 기상 조건에 힘입어 출하량이 증가한 것이 주 원인
□ 참외도 7월중순 소비자 가격은 작년 동기대비 33% 하락
* 도매가격(원/10kg) : ('11) 17,444 → ('12) 18,809
* 소비자가격(원/10개) : ('11) 19,638 → ('12) 13,083
○ 정식면적 확대(전년대비 1% 증가) 및 주산지 일조량 증가에 따른 출하량 증가가 가격 하락을 견인
□ 생산량 증가로 가격이 하락한 품목에 대해서는 소비를 늘여줄 것을 부탁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