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서울 우사모<우리(배구)를사랑하는모임>
 
 
 
카페 게시글
배구 자료실 스크랩 리시브 하는 법
원호아빠 추천 0 조회 222 07.08.30 11:19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1) 스파이크 리시브의 준비자세

 상대팀이 스파이크할 때 리시브나 네트 위의 블로킹에 의한 2가지 방법으로 수비한다.

먼저 리시브에 대해 생각해보면 가능한 한 양발을 상대가 토스하여 공격하기까지의 움직임을 주시하면서 자기 위치에서 정확한 자세를 취한다.

 공격 타이밍에 맞추어 자세를 낮추고 상대방이 치는 볼 밑을 올려다보면서 손은 조금 앞으로 내밀어 낮은 전진자세를 취한다.

▶ 스파이크 리시브 자세와 받는 법

[기술의 지도]

① 스파이크의 리시브는 모든 패스와 같으나 날아오는 볼이 꽤 빠르기 때문에 취하는 자세와 받는 법이 약간 다르다.
② 취하는 자세는 패스의 기본자세보다 약간 낮으며 날아오는 볼을 밑에서 위로 올려 보내듯이 수비하도록 발을 크게 벌리는 자세를 취한다.
③ 날아온 볼을 받는 법은 볼의 강도를 죽이기 위해 되도록 몸 앞에서 약간 잡아 당기듯이 팔꿈치를 조이며 허리를 숙인다.
④ 리시브한 볼이 위쪽으로 튕겨가는 각도는 입사각과 반사각의 원리에 의한다. 따라서 어깨의 각도는 볼을 위쪽으로 올리느냐, 낮은 곳으로 패스하느냐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주의한다.

 또한 상대방 스파이커의 움직이는 코스나, 토스의 위치, 또는 보내는 위치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정면이나 좌우 비스듬한 3곳 중 한 곳을 예상하고 이동을 시작한다.

그리고 볼이 날아올 때는 되도록 이면 정면에서 리시브하도록 재빨리 움직여서 손을 포개 잡는다. 볼이 멀리 떨러져 두 손 처리가 안 될 때는 한 손을 이용한 패스 때와 같이 손목에 볼을 대서 위로 올린다.

스파이크 볼이 강할 때는 약간 앞으로 나온 손을 잡아 당기거나 또는 손을 내미는 각도가 늦지 않도록 리시브한 볼과 나아가는 방향과의 입사각과 반사각의 원리가 맞도록 허리를 집어넣으면서 손을 내밀어 정면이나 비스듬한 앞쪽에서 리시브한다.

   

2) 리시브 향상의 조건

 이러한 리시브 기술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먼저 리시브를 취하는 자세가 바르게 되었는가,

정확한 위치에서 스타트하는가,

보다 중요한 것은 상대가 스파이크를 하기 전에 어떤 코스로 올 것인가 하는 방향을 읽는 능력이 매우 중요하다.

 다음에 날아오는 볼이 강한 스피드를 가지고 날아올 때는 리시브를 조금 앞에서 해야 하므로, 멀리 떨어진 볼에 대한 날카롭고 반사적인 리시브 능력, 순간적으로 때린 볼을 위쪽으로 올릴 수 있는 몸의 움직임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몸 바깥으로 날아온 볼은 반사적인 플라잉리시브나 회전 슬라이딩을 이용할 수 있는 리시브 능력이 필요하다.

▶  리시브 향상의 조건

[기술의 요령]

리시브를 잘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이 있다.

코스와 강약 읽기 : 배구에서 남자가 전력으로 치면 초속 30m, 여자는 초속 20m로 날아온다고 한다.

이 경우에 볼이 날라 온 것을 보고 손을 댈 때까지의 필요시간은 약 0.3초이며,

볼이 네트 위에서 9m의 백라인 위로 날아오는 경우도 0.3초 걸린다고 한다.

따라서 날라와 리시브할 때까지 시간적 여유가 없어

극히 반사적인 동작으로 리시브해야 한다.
② 이처럼 시간적으로 반사적인 리시브가 필요하므로 재빨리 가까운 거리로 이동하여 리시브할 수 있어야 한다.
③ 강하게 친 볼은 대개 움직이면서 리시브하는 것이 불가능 하지만 배구에서는 전후 좌우로 여러 가지 변화있는 볼이 날아오게 된다.

이럴 경우 되도록 빨리 볼 밑으로 움직여서 몸 앞쪽에서 리시브한다.

재빨리 몸을 움직이기 위해서는 먼저 ①에서 논한 볼의 코스와 강약 및

풋웍의 기술이 기초가 된다. 여기서 3단계로 전후 좌우로 움직이는 리시브가 필요하다.
④ 배구의 경우에는 처음부터 어느 일정한 위치에 볼이 오는 것이 아니라 역모션 위치에서 볼이 날아오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강타에 준비해서 수비하고 있을 때 폐인트가 오면 즉시 앞으로 이동해서 리시브해야 한다.

이와 같이 한 방향에서 즉각 다른 방향으로 전환기술, 움직임과 스톱의 기술이 필요하게 된다.

이상 위의 4요소가 배구에서는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각각 충분한 연습을 해둔다.

 또한 신체의 바깥이나 앞쪽의 약한 볼은 되도록 재빨리 움직여 볼을 처리함과 동시에

올바른 풋웍과 스텝기술에 의해 볼을 바르게 리시브하도록 한다.

리시브 폭은 처음에는 몸 앞쪽의 양무릎 사이에서 잡는 것이 원칙이다.

이 원칙이 잘 되면 무릎 바깥이나 양사이드의 볼도 리시브하도록 하고 한손을 이용한 리시브연습도 한다.

또 먼 거리의 볼은 이동하거나 뛰어 들어가서 리시브한다.

이것을 회전리시브, 또는 플라잉 리시브라 하고,

앞쪽 볼이면 앞쪽 플라잉 리시브라 불리우고 있다.

 이 기술을 충분히 마스터해서 리시브 기술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리시브 기술의 제 2단계는 지금 논한 각 항목을 충분히 습득하여

서로 조화시키면서 연습한다.
   

3) 공격 코스를 읽는 연습

 리시브 폭을 확대하는데 있어서 때린 후에 움직여서는 볼을 거의 리시브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대가 때릴 코스를 예상하면서 그 타이밍과 코스에 맞춰

스파이크가 때려지기 전에 리시브의 움직임을 시작할 수 있도록 읽는 능력이 필요하다.

▶ 읽는 연습

[기술의 지도]

① 공이 어떤 코스에 날아오는가를 예상하는 능력은 많은 경험을 통해 얻은 결론을 분석하여 몸에 익힐 수 있다. 따라서 무의식적인 반복연습만으로 의미가 없다.
② 공의 코스를 읽는 것에는 3가지 조건이 있다.

그 하나는 좌우방향을 읽는 것으로 상대방이 리시버의 우측이나 좌측,

어느 쪽에 때리는 가를 읽는 것이며,

둘째는 전후 읽기, 즉 네트 바로 밑에 치거나

코트 뒤쪽의 백 라인 가까이 때려 치는가의 읽기,

셋째는 스파이커의 타이밍 및 강약의 예상이 필요하다.
③ 전후의 스파이크 깊이에 있어서 네트에서 토스한 공이 떨어졌을 때는

대개 바로 밑에 때리지 않기 때문에, 이 때는 코트 뒤쪽이나 페인트 공격에 주의한다.

그러나 네트 가까이 토스하고 블로커가 없는 노마크 때는

코트 바로 밑에 내려치는 때도 있다. 이때는 코트 뒤에서 있을 필요 없이 되도록

앞으로 파고 들어 최대한 반사적으로 리시브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④ 타이밍이나 강약 변화에 대해서는 상대스파이커의 특정한 타이밍이 있고

강약에 있어서도 그 폼을 보면 거의 다 스파이커가 무엇을 할 것인가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스파이커를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와 같은 읽는 연습에는 몇 가지 단계가 있다.

스파이크될 코스를 읽어서 그 코스의 정면으로 이동한다.

또는 상대방의 버릇을 충분히 파악하여 어떠한 폼일 때는

어디에 스파이크가 날아 올 것이라는 예상하여 리시브한다.

또한 자기편 블로커나 리시버의 움직임을 보고 블로킹의 사이나,

블로커가 없는 코스를 주의하면서 좌우 또는 정면으로 움직여 리시브한다.

 만약 선수가 타점도 높고, 네트 위에서 스파이크를 내려칠 수 있는 장신이면,

네트 가까이에 공이 토스됐을 때는 네트 위에서 강한 스파이크를 칠수 있지만,

토스한 공이 네트에서 2m 정도 떨어졌을 때는 장신이라도 점프해서 바로 밑에 내려치는 것은 어렵다.

이 경우 네트 끝을 살짝 넘어 비교적 코트 뒤쪽에 긴 스파이커를 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네트에 토스가 붙어 있는가 떨어져 있는가 또는 스파이커의 높이에 따라 앞으로 스파이크 되는 타이밍은 각각 다르다.

따라서 토스의 위치, 스파이커의 스파이크 능력, 공격 코스,스파이크 타이밍 등을 

충분히 분석한 뒤 리시브에 임해야 한다.

   

4) 반사적인 리시브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스파이크 스피드는 초속 남자는 30m, 여자는 20m라고 한다.

또 인간이 외부상황을 판단해서 한가지 행동을 하는데도 제일 빠른 사람이 0.25초,

일반 스포츠 선수라도 0.3초 정도이고 전 일본 남자 배구팀도 보통 0.3초이며

일반인은 0.4초나 걸린다고 한다. 따라서 배구의 리시브는 공을 친 뒤에 움직이거나

손을 내미는 것은 거의 이론적으로 불가능하며

상대가 때린 공을 미리 예상하고 움직이거나, 때린 공에 대해 순간적으로 몸을 먼저 던져 리시브해야 한다.

 스피드가 약간 떨어진 스파이크는 움직이면서 리시브 할 수 있겠지만 강력하고 빠른 스파이크는 반사적으로 움직여서 리시브해야 한다.

이런 반사적인 리시브 능력을 익히기 위해서는 약한 공으로만 연습해서는 안 된다.

근거리의 스파이크, 강약의 변화, 상하 좌우로 오는 여러 종류의 공을

근거리에서 받는 연습을 하여,

볼에 순간적이고 반사적으로 반응할 수 있도록 리시브 연습을 충분히 해야 한다.

 

  5) 전진 리시브

 정면에서 리시브 자세가 바르게 되면, 다음은 이동하면서 리시브를 연습한다.

먼저, 정해진 위치에서 되도록 앞으로 이동하면서 두 손으로 리시브한다.

이때 매우 중요한 것은 항상 허리를 뜨게 하지말고 전진자세를 취하면서 앞으로 나오면서 공 밑으로 양팔을 집어넣어 위로 올리는 기술이다.

허리가 뜨거나 양발이 나란히 붙지 않으면 가능한 한 앞으로 전진해서 한 발을 고정시키고 허리를 집어넣고 리시브한다.

▶ 스타트의 정위치

[기술의 지도]

① 리시브 때에 처음부터 코트 뒤쪽에 물러나 있으면 세터의 페인트나 퀵 스파이크 리시브에 시간이 없기 때문에 백의 선수는 윗그림 A와 같이 앞으로 나와 준비하고 있는다.
② 페인트나 퀵 스파이크 일 때는 그 자리에서 전진 리시브한다.
③ 코트 양 사이드에 높은 토스가 올려지면 윗그림 B와 같이 3명 모두 정위치에서 후퇴하여 스파이커의 스파이크 타이밍에 맞춰 전진 리시브를 한다.

▶ 전진해서 리시브

 

[기술의 지도]

 리시브에서는 자기가 취한 위치에서 리시브하는 것이 아니라 날아온 공을 향해 그 앞으로 이동해서 리시브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상대방 스파이커의 타이밍에 맞추어 2,3보 앞으로 나가면서

공에 닿는 듯한 느낌이 필요하다. 그 다음 되도록 몸 앞쪽에서 공을 받아 팔을 약간 빼듯이 넣으면서 리시브한다.

앞으로 나가면서 한 손을 좌우로 뻗어 받는 공을 전부 올리도록 한다.

앞으로 이동해서 리시브했을 때는 재빨리 자기 스타팅 포지션으로 물러나 다시 리시브 기본자세를 취한다.

스타트 위치에 돌아가는 이유는 자기의 정해진 수비위치를 재확인하며 아우트 볼과 인 볼의 판단을 정확히 하는데 있다.

자기 마음대로 코트 가운데를 움직이게 되면 자기공인지 다른 선수공인지 혼동하게 되고 라인과의 위치관계도 알 수 없고 아우트 볼에 손을 내밀어 쓸데없는 실수를 하기 쉽다.

 따라서 앞쪽 뿐 아니라 좌우로 이동했을 때도 하나의 리시브 플레이가 끝난 후에는 바로 처음의 정위치로 돌아가는 것이 중요하다.

 

 6) 좌우이동 리시브

 기본자세에서 좌우 옆쪽으로 공이 날아왔을 때는 이 공을 리시브하기 위해서는 옆으로 이동해야 한다. 이때 필요한 것은 앞에서도 말했듯이, 내딛는 발이나 크로스 스텝에 의한 풋웍을 이용해서 움직이며 마지막 발을 되도록 위로 들어서 공을 보내는 반대방향에 두고 리시브한다.

이 경우도 처음에는 가능한 한 자세를 낮게 가져가고 허리가 뻗치지 않도록 주의하여 옆으로 이동해 간다. 옆으로 이동하면서 하는 리시브도 처음 단계에서는 이동하여 신체정면에서 리시브하도록 공을 던져주다가 점점 몸 바깥에서 공을 던진다.

그렇게 하면서 몸에 가까운 공은 두 손으로 리시브하고 먼 거리는 한 손으로 더 먼 거리는 딩굴어서 하는 회전리시브로 차츰 움직임의 폭을 확대해 나가는 것이 좋다.

   

7) 오버핸드 리시브

 비교적 약한 스피드의 스파이크가 높은 위치로 왔을 때는 오버핸드로 리시브할 수 도 있다.

그러나 오버핸드로 리시브하면 볼의 강도에 손가락이 못 견뎌 반칙을 하기 쉬우므로

이 때는 날아오는 볼에 손을 내밀지 말고 한번 허리를 굽혀 볼을 끌어당긴 뒤

볼이 날아오는 반동으로 부드럽게 허리를 넣으면서 손목 윗쪽으로 리시브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높은 위치에 날아 왔을 경우의 리시브는 오버핸드 패스처럼 손을 벌리지 말고 포개잡은 손 그대로 커트해서위로 올린다.

 세터가 앞으로 나와 있을 경우 갑자기 상대에게 스트레이트 스파이크를 때릴 때는 앞에 나와 있기 때문에 뒤쪽에서 포개잡은 손으로 리시브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이런 경우에는 오버핸드의 포개잡은 손으로 커트리시브 기술을 이용해 그 볼을 처리하는 것도 좋다.

▶ 오버핸드 리시브

    

[기술의 지도]

 어깨보다 위쪽에 강한 스파이크나 서어브가 날아 왔을 때는 오버핸드로 리시브하면 드리볼 반칙이 되기 쉽고, 포개잡은 손으로 상반신을 뒤로 당겨 볼에 댄다고 해도 늦게 된다.

특히 리시버가 앞으로 나와 있을 경우, 머리 윗쪽이나 얼굴정면에 스파이크가 날아왔을 때는 손바닥을 맞추어 합장식으로 손을 잡아 새끼 손가락쪽의 손목으로 리시브한다.

 볼에 닿을 때 팔꿈치를 앞으로 내서 손목부분을 당겨 가볍게 앞쪽 위로 비스듬히 보내는 것이 좋다. 리시브 전에는 포개잡은 손 리시브와 같이 낮은 자세로 볼 밑에 들어가는 것이 중요하고 볼의 강도를 줄이기 위해 뒤로 약간 움직이는 것도 좋다. 오우버핸드 패스에서의 리시브 경우에는 합장식이나 포개잡은 식과 같으나 손가락 힘이 약해 드리볼이 되기 쉽게 때문에 팔 전체를 당기면서 손가락에 힘을 주어 볼을 위로 보낸다. 볼의 스피드가 클 때는 합장식이나 포개잡은 손으로 커트플레이를 하는 것이 좋다.

 

  8) 앞으로 슬라이딩 리시브

이 공은 앞발을 되도록 멀리 차서 앞으로 슬라이딩하면서 리시브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때에는 팔의 비틀림만으로 리시브해야 하므로 볼 밑에 한 손을 넣어 위쪽으로 토스하면서 몸의 비틀림을 이용해 그냥 앞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이 아니고 옆으로 비틀어 회전 플레이를 이용한 리시브로 이동해 간다.

이때도 살짝 뒹구는 것이 아니고 가능한 한 먼 공도 리시브하도록 전신을 뻗어서 슬라이딩한다. 리시브를 할 때는 팔을 비틀면서 공을 올리도록 하는데 이때 오른손으로 리시브할 때는 왼손을 한번 바닥 위에 닿은 후에 비틀어 동작을 해도 좋다.

▶ 앞으로 슬라이딩 리시브

[기술의 지도]

(1) 앞의 볼에 대한 리시브는 앞으로의 슬라이딩과 플라잉을 몸에 익히도록 연습한다.
(2) 상하의 볼 리시브에서 포개잡은 손은 볼 밑에 대기 위한 것이다. 앞으로 재빨리 나와서 스텝을 크게하고 중심을 낮게 한다. 마지막에 들어올리는 발을 강하게 차서 되도록 잦고 멀리 뛰어들어간다. 볼을 올린 후 양손이바닥에 닿아서 신체가 받는 충격을 적게한다.

  

 9) 서어브 리시브

 서어브 리시브를 실패하게 되면 바로 상대의 득점과 자기편의 실점으로 연결되는 만큼 더욱 더 충분한 연습을 한 후에 경기에 임하지 않으면 서어브 리시브 미스 때문에 지는 경우가 많다.

동경 올림픽 때의 서어브 리시브 성공률은 평균 97%, 여자는 94%였다. 여자쪽의 서어브 리시브율이 나쁜 것은 네트가 낮은 이유도 있으나 여자의 서어브 리시브는 대체로 어렵다.

▶ 서어브 리시브

[기술의 지도]

① 서어브 리시브의 실수는 상대득점과 바로 연결되기 때문에 특히 충분한 기본기술이 필요하다. 공격 리시브의 성공률이 70∼80%였다는 것을 보면 각국이 얼마나 서어브 리시브를 중요시하고 있는 가를 알 수 있다. 그 첫째 이유는 서어브 리시브를 실수하면 상대득점과 바로 연결되기 때문에 아무리 자기편에 우수한 공격수가 있더라도 경기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이 때문이다.
② 서어브 리시브의 경우는 되도록 낮은 자세에서 볼 정면으로 이동하여 가능한 한 낮은 위치로 볼을 떨어뜨려 당기듯이 리시브한다.
③ 변화구 서어브 리시브는 네트를 넘을 때와 어깨 높이에서 변화되기 쉽기 때문에 변화 도중인 어깨와 배의 중간 위치에서 리시브하면 정확한 리시브가 안 된다. 따라서 가능한 한 볼을 떨어뜨려서 당기듯이 리시브한다.
④ 서어브 리시브는 단순히 볼을 받는 것이 아니라, 볼을 위로 올려서 정확하게 세터에게 보내는 것이 중요하다. 서어브 리시브 볼이 항상 세터에게 70∼80%돌아가지 않으면 성공 할 수 없다.
⑤ 서어브 리시브의 경우도 팔의 각도에 따라 보내지는 볼의 상하각도가 정해지고, 또 리시브하는 몸의 방향에 따라 볼이 날아가는 방향도 정해진다. 서비스 구간은 6인조 경우 코트의 오른쪽 위에 항상 일정하기 때문에 세터의 위치에 따라 리시버의 좌우 움직임도 변한다. 이러한 좌우로의 이동방법과 팔을 내는 방법이 좌우로의 볼이 나가는 각도를 결정한다. 특히 이때 이동한 왼발의 발돋음 각도가 중요하다.

 서어브 리시브의 기술도 모두 포개잡은 손 패스나 포개잡은 손 리시브와 같으나 포개잡은 손 리시브와 다른 점은 때린 서어브가 드라이브 서어브를 제외하고 그다지 스피드를 가지지 않는다는 것과, 변화가 매우 크다는 점이다. 따라서 서어브 리시브의 중요한 포인트는 몸에 너무 힘을 주지 않고 기본자세에서 볼 정면으로 재빨리 이동하여 낮은 자세로 양 무릎사이에 볼을 담듯이 팔꿈치를 죄서 몸 전체로 리시브하듯이 한다.

 따라서 서어브 리시브의 포인트는 가볍게 기본자세를 취하고 되도록 빠르고 낮은 중심을 유지하면서 볼 정면으로 이동해서 볼을 한번 당겨간다는 기술과, 서어브 자체가 스파이크와 달라 여러 종류로 변화하기 때문에 이러한 서어브의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볼의 주의력과 집중력이 더욱 중요하다.

또 하나 중요한 것은 서어브 리시브는 단순히 받기만 하면 되는 것이 아니라 되도록 세터 위쪽으로 정확하게 패스되도록 한다. 서어브 리시브에서 바로 토스로 바꾸거나, 그대로 다이렉트 스파이크를 치는 기술도 있지만 그냥 세터에게 정확하게 보내는 기술도 필요하다.

즉 서어브 리시브의 경우에는 세터의 위치에 따라 움직이는 방향, 특히 좌우로 정확하게 이동하여 서어브 리시브된 볼의 방향과 리시버의 위치가 입사각과 반사각의 원리에 잘 맞도록 리시브하는 것과 이동코스와 함께 발돋움을 충분히 고려하여 서어브 리시브하는 것이 좋다.

서어브 리시브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그 서어브를 되도록 몸 전체로 세터 쪽으로 부드럽게 한번 당겨서 누르듯이 리시브하는 것이 비결이다.

서어브 리시브의 기본연습 형태로는 정면, 좌우 또는 뒤로 이동하여 포개잡은 손 패스를 충분히 연습해 두는 것이 중요하다.

  

출처 - http://www.teen-fitness.com/s6/w6_sitemap.asp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