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또 다른 날개로 나는 사람들
 
 
 
카페 게시글
최신정보/자료실 스크랩 욕창
말랑말랑 추천 0 조회 285 07.12.31 22:01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욕창(Pressure sore)

욕창(Pressure sore)은 우리 몸의 어느 부위든 지속적인 또는 반복적인 압박이 주로 골 돌출부에 가해짐으로써 허혈성 조직 괴사로 생긴 궤양을 말한다. 오랫동안 움직이지 않고 계속 누워있으면 신체의 어느 한 부위가 지속적으로 압박을 받게 되어 혈액공급이 잘 되지 않은 결과, 혈액공급이 잘 되지 않는 부위의 피부가 빨갛고, 짓무르게 되며 피부가 벗겨지는데, 이러한 상태를 욕창이라 한다.

욕창이란 말은 Decumbere(to lie down)이란 Latin어에서 유래된 즉 어떤 환자에서든 장기

간 누워 병상에서 지내는 환자에서 잘 발생하여 얻어진 이름이나 1873년 Paget이 궤양의

주원인을 압박 때문이라고 주장한 이후 Griffth는 병명을 압박 궤양(pressure sore)이라 바꾸어 부르기 시작하여 오늘날 보편적으로 쓰이게 되었다.

정상인은 낮에 움직이고 밤에 자는 동안에도 무의식중에 여러 번 몸을 뒤척이게 되므로 신

체의 한 부분이 계속 눌리게 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그러나 뇌졸중 환자 중에서 의식이 없거나, 마비로 인해 활동이 불가능한 경우 계속 같은

체위로만 누워있게 되면 그 부위가 계속 압박되어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으므로 욕창이 생

기게 되고, 심하면 뼈까지 보이게 된다. 이때 이 부분의 조직 세포를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모세혈관이 막히고 혈액공급이 안되어 세포가 죽어 가는 것을 볼 수 있다.

1. 역학

만성질환으로 인한 장기 치료를 요하는 환자의 40~50%에서 욕창이 발생한다. 또한 척추

손상 환자의 치료가 발달되어 사망률이 감소함과 더불어 사지마비 환자의 수가 증가되므로

이들의 5~8%가 욕창을 갖게 된다.

욕창의 호발부위는 보고자에 따라 다르나 좌골조면(ischial tuberosity), 대퇴골 대전자부

(greater trochanter), 천골(sacrum), 발꿈치(heel & malleolus), 경골전연(pretibial area),

슬개골(patella)부위에 잘 생긴다. 우리나라의 경우 천골부 57%, 대전자부 12%, 좌골부 5%

로 천골부 욕창의 편중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좌골부 욕창과 대전자부 욕창이 적은 percent

를 보이고 있다.

2. 원인

1) 압박 : 욕창의 가장 흔한 원인은 지속적인 압력, 즉 환자의 몸무게로 신체의 어느 한 부

위를 지속적으로 누르는 힘이다. 압박이 직접 세포에 압좌손상을 주는 것이 아니라 오랫동

안 압박함으로써 연조직에 허혈이 일어나고 작은 혈관에 혈전이 생겨 조직이 괴사된다.

예를 들면 뇌졸중 환자가 24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고 똑바로 누워있다고 한다면 꼬리뼈 부

분이 환자의 모든 몸무게를 받게 된다. 그러므로 이 환자는 꼬리뼈 부분에 욕창이 생길 것

이다.

가해진 압력과 가해진 시간에 의해 조직 손상의 정도가 달라진다. end-capillary arterial

pressure(32mmHg)의 두배 이상 70mmHg로 계속해서 한 두시간 적용하면 복귀할 수 없는

조직의 손상으로 욕창이 발생된다. 지방과 근육조직은 피부보다 압력에 더 민감하여 피부가

괴사되었으면 주위의 지방과 근육조직은 훨씬 더 많이 괴사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손

상부위는 “inverted cone"의 형태를 나타낸다.

2) 쓸리는 힘(shearing force) : 침상 머리 쪽을 조그만 올려도 천골위의 피부가 미끄러져

표재성 천골근막과 천골에 붙어있는 심부근막 사이의 혈류가 장애되어 조직 손상이 일어난

다. 즉 피부의 움직임과 작은 혈관들의 압축으로 인한 조직괴사로 욕창이 발생될 수 있다.

수직적 압박보다 작은 양의 쓸리는 힘으로 압박궤양이 생길 수 있음을 Dinsdale 등이 보고

하였다. 침대에 누워있는 환자의 머리가 침대 중간쯤까지 내려 왔을 때 보호자나 간호사 혼

자서 환자를 위로 끌어당기는 경우가 가끔 있다. 이와 같이 침대에서 환자를 끌어당기게 될

때 환자의 피부와 환자 옷 사이에, 또는 환자의 피부와 침대보 사이에 마찰이 생기게 되며,

그 결과 피부표면이 벗겨지게 된다.

정상인의 피부표면은 외부로부터 세균이 몸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아주는 방어역할을 하

는데, 환자들은 마찰로 인해 피부표면이 벗겨지게 되는 욕창이 생길 뿐만 아니라 욕창이 생

긴 부위로 외부의 세균이 침입하여 염증이 생기는데, 이 염증은 욕창 발생을 더 가속화시킨

다.

3) 습기와 위생상태

뇌졸중 환자가 소변, 대변을 가리지 못하는 경우에는 회음부 주위, 항문주위가 항상 축축하

고 위생이 불량하다. 그 결과 욕창이 더 잘 생긴다. 요실금 및 변실금의 횟수와 욕창 발생

여부를 조사한 연구에서 실금의 횟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욕창 발생빈도와 그 심한 정도도

더 높다고 보고되었다.

4) 영양결핍과 빈혈 : 영양부족이 오면 우리 몸에 단백질이 부족하게 된다. albumin은 혈액

속에 있는 단백질이다. 영양부족으로 혈액 속의 albumin이 부족하게 되면 혈액 속에 포함된

액체성분(이것을 혈장이라 부른다)이 조직 속으로 빠져 나오게 되므로 몸이 붓는 부종이 생

기고 되고, 부종이 있는 부위의 피부는 탄력성이 감소되어 욕창이 더 잘 생기게 된다.

영양부족이 오면 혈액의 혈색소가 감소하게 된다. 혈색소는 우리 몸의 조직세포로 산소를

운반해주는 역할을 한다. 영양부족으로 조직에서 산소가 부족하게 되면 조직의 세포가 죽게

되므로 욕창이 더 잘 생기게 된다.

욕창환자의 전신치료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 것으로 영양실조로 인한 저 단백증

(hypoproteinemia)은 욕창발생을 촉진시키고 또한 창상치유를 지연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혈청 단백질은 6mg/100ml 이상 유지시켜야 한다. 빈혈은 욕창주위에 혈색소와 산소공급이

줄게 되어 창상치유를 지연시키므로 혈색소치는 최소 12gm% 이상 유지시켜야 한다.

5) 혈액순환 장애

혈액은 전신을 순환하면서 각 조직에 산소를 공급한다. 만약 혈액순환 장애가 있다면 조직

에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지 못하여 세포가 죽게 되므로 욕창이 더 잘 생기게 된다.

6) 비만

비만은 정상 체중에 비해 많은 혈액공급, 산소가 필요하지만 그 이상 혈액과 산소공급이 증

가되지 않아 조직세포에서 필요한 산소공급이 부족하므로 정상인에 비해 욕창 가능성이 더

증가된다.

3. 욕창이 잘 생기는 부위

우리 몸에서 뼈가 튀어나온 부위는 다른 곳에 비해 쿠션역할을 하는 지방조직이 적으므로

욕창이 잘 생긴다. 특히 엉덩이가 있는 꼬리뼈, 양쪽의 허리 밑 튀어나온 뼈, 머리 뒤, 어깨,

등뼈, 팔꿈치, 발뒤꿈치, 무릎 등에서 욕창이 잘 생긴다.

무의식으로 활동을 하지 못하고 24시간 동안 누워 있을 때, 요실금이나 변 실금으로 엉덩이

부위가 습기가 많을 때, 침대에 깔아놓은 홑이불이 팽팽하지 못하고 주름이 잡혀 있을 때,

환자가 누워 있을 때 옷이 한곳으로 모여 그 부위를 계속적으로 압박할 때에 욕창이 잘 생

긴다. 또 영양부족으로 혈색소가 부족하거나, 부종이 생기거나, 지방조직이 부족할 경우에도

욕창이 잘 생긴다.

Campbell(1959)은 욕창의 임상양상을 다음과 같이 7병상으로 분류하였다.

- 압박부의 홍반상 변화

- 발적, 종창, 경결이 있는 경우, 때로는 수포형성과 상피박탈을 보이는 경우

- 지방조직이 노출될 정도의 깊은 피부 괴사가 있는 경우

- 근조직에까지 침윤된 피부, 지방조직의 괴사

- 피부, 지방, 근육층에 까지 침윤된 완전괴사

- 골막염, 골수염 등이 형태로 골에까지 침윤된 경우

- 골수염, 화농성관절염, 병적골절 및 탈구, 패혈증까지 동반 때로는 사망하는 경우

4. 욕창의 예방

욕창이 발생되면 잘 낫지 않고 점차 욕창이 확장되므로 욕창은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 욕창

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간호가 필요하다.

① 욕창의 발생을 나타내는 증후가 있는지 피부 관찰이 필요하다. 피부 관찰은 체위를 바꾸거나, 목욕을 시킬 때, 기저귀를 갈아줄 때 실시한다. 욕창의 발생을 암시하는 증후는 피부

가 빨갛고, 차고, 창백하고, 욕창이 시작된 부위는 이미 피부가 벗겨지고 짓물러있다.

② 빨갛게 된 피부는 공기에 자주 노출시켜 건조시키고, 그 부위를 부드럽게 마사지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킨다. 그러나 피부가 벗겨지고 짓물러진 경우에는 욕창이 시작된 것이

므로 그 부위는 마사지해서는 안된다.

③ 환자의 체위를 2시간 간격으로 바꾸어 주어 한 부위가 지속적으로 압박되지 않도록 한

다. 체위는 오른쪽 → 똑바로 → 왼쪽으로 바꾼다. 체위를 바꿀 때 주의할 것은 환자를

끌어당기지 말고 굴리거나 들어야 한다.

④ 욕창이 생길 가능성이 있을 때에는 공기침대, 가운데 구멍이 뚫린 방석, 쿠션이 좋은

방석을 깔아준다.

⑤ 침대에 깔아놓은 홑이불이 말려서 주름이 생기지 않도록 항상 팽팽하게 펴 준다.

⑥ 홑이불이 땀이나 소변이 묻어 축축하거나 대변이 묻어있으면 즉시 갈아주고, 항상

건조하게 유지한다.

⑦ 고무방포나 고무류는 바람이 통하지 않으므로 가능한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⑧ 피부가 긁히거나 상처가 나지 않도록 한다.

⑨ 피부가 건조한 경우에는 지방성 로션을 발라준다.

⑩ 영양소가 풍부한 음식을 잘 먹는다. 예: 고기, 콩, 우유, 각종 과일, 야채 등

⑪ 관절운동을 4시간마다 실시하여 피부에 혈액순환이 잘 되도록 한다.

5. 욕창 케어

① 욕창이 생긴 피부는 소독액(베타딘 또는 생리 식염수)으로 소독을 한다.

② 피부에 드레싱을 한다. 드레싱에는 투명필름(transparent film), 하이드로 콜로이드

드레싱이 있는데, 투명 필름에는 "Opsite Flexigrid"라는 제품이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 제품은 투명한 막으로 일시적인 피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처를 통해 세균이 들어오는

것을 막아주고 상처 안쪽에는 상피세포가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줌으로서 욕창의

초기에 사용하면 효과적이고, 빗금이 그어져 있어 욕창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

다.

하이드로 콜로이드 드레싱에는 "듀오덤", "칼토스테이트" 등이 있다. "듀오덤"을 욕창이 있

는 부위에 붙이면 욕창 부위가 공기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감염의 위험성이 감소되고, "듀오

덤" 안쪽에 있는 젤과 같은 성분이 새 살이 돋아 나오게 한다. 상처가 깊은 욕창에는 투명

필름보다 듀오덤, 칼토스테이트 같은 제품을 사용하면 더 효과적이다.

듀오덤, 칼토스테이트 제품은 외국 제품으로, 가격이 비싼 것이 단점이나 한번 붙이면

5∼10일 정도 사용할 수 있다.

③ 만약 욕창이 생긴 피부가 검은색으로 변하면, 이것은 조직세포가 죽은 상태이므로 위

방법으로 효과가 없다. 이때는 죽은 조직을 떼어낸 후(변연절제술) 투명필름이나 하이드

로 콜로이드 드레싱이나 젖은 식염수 침수를 하면 좋다.

6. 치료

대부분의 압박궤양환자는 몹시 오염되어 있고, 침범된 신체부위에 감각이 없고, 수의적 운

동이 안되고, 경련이 있고, 요로계통 등에 질환이 있고, 영양상태가 나쁘고, 치유되는데 오

래 걸리고 재발이 빈번하며, 정서적 장애 내지 정신병이 있는 등 복잡한 문제를 가지고 있

으므로 정확한 진단과 올바른 창상처치 및 완벽한 치료계획이 필요하다.

치료는 크게 전신적 치료와 국소적 치료로 나눌 수 있으며 국소적 치료는 보존적 요법과 외

과적 요법으로 나눈다.

1) 전신적 치료(systemic treatment)

- 영양치료

영양상태를 측정하여 상태가 나쁜 경우, 고 단백질, 고 칼로리, 고 비타민 음식을 공급하

여야 하며 임상적으로 하루 135gm 이상의 단백질을 섭취시켜야 하고 식물성 단백질보다는

동물성 단백질이 좋다. nasogastric tube를 이용하거나 central vein으로 amino acid,

glucose, fat emulsion으로 hyperalimentation이나 total parenteral nutrition를 투여한다.

그러나 가능하면 경구투여가 경제적이고 더 효과적이며 부작용도 적다. 또한 복합 vitamin

도 중요하다. 혈중 단백질 농도가 6mg/100ml이하이면 수술적 치료는 연기하는 것이 좋다.

- 빈혈의 교정

빈혈의 교정과 단백질부족의 교정은 병행되어야 한다. 식이요법, 약물요법 및 수혈이 필요

하다. 간(liver)과 철분함유 약제 및 신선한 전혈(whole blood)을 줄 수 있다. 경구 및 주사

로 투여된 철분 제재는 욕창내로 산소가 풍부한 혈색소의 공급 및 loose stool의 빈도를 줄

이므로 상처부위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혈색소는 최소한 12gm%(어떤 저자는 15gm% 이

상을 선호)이상 수술전후에 유지시켜야 한다.

- 다른 과와의 협조

가능한 감염의 억제를 위해 비뇨기과, 신경외과, 피부과 및 치과와의 협조가 필요하다. 정

형외과와는 굴곡기형(flexion contracture)의 교정과 예방, septic joint fracture와 관절 안

정의 치료를 위해 협의하여야 한다. 재화의학과와는 환자의 능력측정과 가능한 혼자 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협의하여야 하며, 정신과의사 심리학자 및 사회사업가(social

service worker)와의 협조가 필요하다.

- 경직의 제거(relief of spasm)

수술 전 처치 또는 욕창의 예방, 수술 후 상처 치유 방해 요소 제거를 위해 실시될 수 있

으며 약제로는 diazepam, baclofen, dantrolene sodium, mephenesincarbonate,

dimethothiazine, orciprenaline 등을 쓸 수 있으며 약제 투여 전 금기 사항에 대해서는 숙

지되어야 한다. 또한 신경외과에 협조의뢰로 rhizotomy, cordotomy를 할 수 있는데 이런

시술 후 생길 수 있는 성 기능의 파괴 등의 합병증에 대해서는 환자 및 보호자와 신중한 사

전 상의가 필요하다. 또한 이런 파괴적 술식은 척수 손상 후 18개월까지 기다려보고 신경기

능회복의 기미가 없을 때 시행한다.

- 압박의 제거(relief of pressure)

압박궤양은 압박 없이 생길 수 없고, 압박을 제거해주지 않고는 궤양이 치유될 수 없다. 환

자를 어떤 위치로 놓던 압박이 생길 수 있으므로 자주 체위를 변경시켜 주는 것이 좋다. 물

론 된 침대나 공기침대 또는 회전 침대(circoelectrical bed)같은 것을 사용하면 좋다. 그러

나 이런 시설에 너무 의존하지 말고 철저한 간호와 치료가 요구된다.

- 방사선 검사

Sinus tract과 감염된 bursa가 있는 경우 contrast media를 사용하여 존재 여부, 경로 및

욕창의 범위를 알 수 있다. 환자가 엎드려 누워 있는 경우 좌골부 욕창은 조면(tuberosity)

의 골수염으로 전 내 방향으로 tract을 형성하여 치골까지 침범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trochanteric ulcer인 경우 대퇴부 근막과 근육을 따라 상방으로 tract이 femoral neck과

고관절까지 연결되어 septic arthritis, pyoarthrosis가 발생할 수 있다. sacral decubitus

경우 고관절까지 연결될 수 있다.

- 비뇨기계통의 문제

하반신마비환자의 가장 으뜸가는 사망 원인은 신장질환이며 가장 흔한 신부전의 원인은 만

성신우신염이다. 비뇨기과적 치료 목적은 방광기능부전으로 인한 뇨 정체, 감염, 방광요관역

류, 결석 등이 생기지 않도록 해 주는데 있다. 방관은 Foley catheter를 꽂아 놓거나 간헐

적으로 도뇨해서 감압해주고, 요로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 요로 세균제인 oxychlorosene으

로 방광을 세척해준다. 그리고 urocholine과 phenoxybenzamine으로써 요의 hypotonicity

를 조절해 준다.

2) 국소적 치료

- 보존적 치료

국소치료의 목적은 외과적으로 깨끗한 창상을 확보하는데 있다. 피부, 지방, 근육, 근막, 인

대 등 모든 괴사된 조직은 제거하여야 하며, 감염된 bursa는 열어 자연 배농되도록 한다.

과도한 변연절제술은 반드시 수술실에서 행해져야 한다. 효소적 창상절제술(enzymatic

debridement)보다는 외과적 창상절제술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되어있다. 자주 dressing해

주는 것이 창상 부위에서 괴사조직을 빨리 제거하는데 효과적이다. 특히 대전자부와 좌골부

위의 욕창은 과산화수소수와 생리식염수를 같은 비율로 섞은 용액으로 irrigation해주면 과

산화수소수의 foaming action으로 만족스런 mechanical flushing효과를 얻을 수 있다. 희

석된 초산과 생리식염수 혼합한 것이나 1.5% Darkin's solution으로 지속적인 wet

dressing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주위피부는 zinc oxide 연고나 silicone cream을

발라주어 maceration되지 않게 해준다. 국소 치료 전 반드시 ulcer drainage를 배양해서 세균을 확인해 내고 이에 sensitivity가 있는 항생제를 사용하여야 한다. 국소적 항생제의 사용은 효과가 없지만 초기 경우 감수성이 있는 전신적 항생제투여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돼있다. 그러나 반흔이 심하고 주위혈관이 손상된 만성욕창은 항생제의 창상접근이 어려워 별 효과가 없는 것으로 돼있다. 매우 적은 경우에서만 보존적 요법으로 치료된다.

- 수술적 치료

수술적 치료는 보조요법으로 치료할 수 없을 때 시행하며 다음과 같은 경우에 수술 해 준

다. 첫째, 골성 돌출 위에 있는 얇은 반흔, 둘째, 압박궤양 하부에 비정상적 점액낭이 있을

때, 셋째, 만성 화농 관절증, 넷째, 보존요법으로서는 난치인 요도누공이나 창자누공이 있을

때, 다섯째, 적당한 기간 내에 창상수축과 상피화로 치유되기에는 너무 큰 욕창 등이다. 치료의 원칙으로는 연부조직 석회화 및 주위 반흔 점액낭을 포함한 궤양전부를 제거해야 하며, 감염된 골은 제거하고 돌출된 골은 다듬어 주며, 세심한 지혈과 창상배액을 시키며, 모든 가능한 dead space는 혈류량이 많은 근판 또는 근피판으로 채워주며 봉합선이 압력 받는 곳에 위치하지 않도록 하며, 피판 공여부는 장력 없이 봉합하고 필요하면 식피술을 시행한다.

욕창환자에서 계획적 재건술의 시기는 환자의 전신적 상태가 회복되고 창상이 다음과 같은

개선의 증후가 있을 때, 즉 첫째 모든 괴사조직이 제거되고 깨끗해 질 때, 둘째 healthy

granulation tissue가 나타날 때, 셋째, 상피변연(epithelial margin)이 자라나오면서 욕창의

기저부 크기가 줄어들 때 하는 것이 좋다. 수술 후 3주간 엎드린 자세로 있은 후에 regular

bed로 옮기고 자주 자세를 바꿔줘야 한다. closed suction drainage는 수술 후 7~10일간

유지해주고 피부 봉합사는 2주간 두는 것이 좋다. 수술 후 4주가 되면 처음에는 10분 정도

압력을 가해보다가 하루에 5~10분씩 점차 늘려가면서 적응 시켜본다.

* 천골부 압박궤양(Sacral Sore)

가장 흔히 보는 압박궤양 중에 하나이다. 천골부 욕창의 수술방법은 여러 가지 방법이 있

다. 작고 깊이가 얕은 욕창에서는 일차성 봉합을 고려하고, 급성질환으로 인한 경우 보행이

가능한 환자에서는 피부이식과 reverse dermalgraft를 고려할 수 있으나 척추손상환자에서

는 적합하지 못하다. 천골부위에 주요 혈행을 담당하는 혈관은 상,하 둔동맥(superior and

inferior gluteal artery)의 근피관통지(musculocutaneous perforator)로 이들은 조롱박근

(piriform muscle)을 경계로 상하로 나누어지고 inferior gluteal artery가 주요 혈행을 담

당한다.

큰 욕창은 근육과 욕창을 한단위로 해서 대둔근을 기시와 종지에서 모두 분리하여 superior

gluteal artery의 혈관축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응용하여 superior maximus

myocutaneous flap이용할 수 있다. 국소 회전피판(rotation flap)이나 전위피판

(transposition flap)도 많이 이용되며, 반대편 lumbosacral perforator에 기저를 둔 피판도

천골욕창의 치료에 많이 이용된다. 그 외에도 gluteal thigh flap, turn over gluteal

myoplasty, intercostal neurovascular island flap과 free flap 등을 쓸 수 있다.

* 대전자부 압박궤양(Greater Trochanteric Sore)

대전자부 욕창은 피부의 침범은 작으나 운동성이 많은 부위이기 때문에 경련이 조절되지 않

을 경우에는 광범위한 피부하부괴사 및 점액낭을 형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수술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외측대퇴 회선동맥의 횡지에 기저를 둔 tensor fascia myocutaneous flap이

좋은데 이는 T12, L1에서 나오는 장하복신경(iliohypogastric nerve)의 외측피지 branch와

L2L3의 lateral femoral cutaneous nerve의 이중 감각 신경지배를 받고 있으며 외광근

(vastus lateralis muscle)을 internal padding으로 사용할 수 있다.

* 좌골부 압박궤양 (Ischichial Sore)

앉았을 때 최대의 압박을 직접 받는 곳이기 때문에 일차성 및 재발한 압박궤양 가운데 가장

흔한 곳이다. 좌골부 욕창에서는 일차수술 후 재발율이 높은데(약 54%) 그 이유는 수술부

위의 반흔, 좌골의 불충분한 제거, padding의 부족 등을 들 수 있다. 좌골부 욕창 환자에서

좌골조면을 충분히 제거하지 않으면 재발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수술시 거의 모든 좌골은 절

제(subtotal ischectomy)해주고 충분한 padding을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수술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에서도 하둔동맥의 하행지를 기저로 둔 gluteal thigh flap이 많이 사용

되며 이는 1015㎝ 크기까지 가능하며 posterior fermoral cutaneous nerve로 감각을 제공

할 수 있고 rotation arc가 넓고 쉽게 거상되며, 공여부에 일차성 봉합이 가능하고 재발시

사용할 수 있는 인접근육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들을 가진다. 그런 단점으로 압력을 받을

때 근육조직이 부족하므로 감염의 빈도가 높으며 창상의 파열이 올 수 있다. 욕창이 큰 경

우 대퇴이두근(biceps femoris muscle)을 gluteal thigh flap아래로 turn back 시킬 수도

있고 그 외에도 대퇴근막장근(tensor fascia lata)을 이용한 근피판이나 inferior gluteal

maximus muscle을 이용할 수 있다.

* 다발성 또는 광범위한 압박궤양의 처치

이런 경우에서는 골수염, 패혈증, 관절염, 영양장애 등이 합병하므로 전신적인 치료가 이루

어져야 한다. 덮을 국소조직이 충분하지 못하고 고관절에 만성 화농관절증과 골수염이 있어

서 광범위한 수술이 요구될 때에는 대퇴골을 단축시키거나 절단하고 하지의 근피판으로 덮

을 수 있다.

* 악성변화

최소한 10년 내지 15년 정도 만성궤양에서 발생되며 cauliflower모양 궤양 시 의심해야 한

다. 치료는 radical excision과 regional lymphadenectomy해야 한다. 예후가 안 좋은 것으

로 되어있다.

* 합병증

욕창의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으로는 혈종, seroma, 창상감염 피판 괴사, 압박궤양

재발 등을 들 수 있는데 욕창 수술 후 재발된 경우 먼저 재발의 원인을 규명하여야 한다.

즉 괴사조직의 절제 및 골 돌출부에 대한 골 절제술 등이 충분하였는가, 피판의 크기가 충분

하였는가, 수술 후 환자의 체위 및 수술 후 처치 등이 적정 하였는가 등을 조사하여야 한다.

가장 많이 발생하는 합병증으로는 혈종과 seroma인데 이는 사강(dead space)이 남아있는

경우, immobilization이 잘 안된 경우, bursa를 부적절하게 제거한 경우 등에서 올 수 있다.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