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 연혁
광산(光山)은 전라남도 북서부에 위치한 지명으로 본래 백제의 무진주(武珍州)이다. 신라시대에 이르러 도독(都督)을 두었으며 757년(경덕왕 16) 무주(武州)로 고쳤다. 진성여왕 때는 견훤(甄萱)이 이곳에 후백제를 세워 도읍을 정하기도 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 태조가 후백제를 정벌하고 군현을 정비하면서 무진주를 광주(光州)로 개편하고 도독부를 두었다. 995년(성종 14) 관제개혁 때 해양도(海陽道) 소속이 되었다가 1259년(고종 46) 기주(冀州: 일명 冀陽州)라 고쳤으며, 충선왕 때 이르러 화평부(化平府)로 강등되어 공민왕 때 광주목(光州牧)이 되었다. 1430년(세종 12) 무진군으로 강등되었다가 성종 때에는 광산현으로 강등되었고, 연산군 때 주(州)로 환원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나주부(羅州府) 관할의 광주군(光州郡)이 되었다가 1910년 광주면이 되었고, 1935년 광주읍(光州邑)이 부(府)로 승격됨에 따라 광산군(光山郡)이 되었다. 1988년 송정시와 함께 광주직할시에 편입되었고, 1995년 광주광역시 광산구로 개편되었다.
성씨의 역사
광산탁씨(光州卓氏)의 시조 탁지엽(卓之葉)은 고려 선종 때 학행(學行)으로 널리 알려져 종유(宗儒)로 추대되어 한림학사(翰林學士)를 거쳐 태사(太師)에 이르렀다. 탁지엽의 자는 옥립(玉立), 호는 학포(學圃)이다. 광산탁씨 족보에 따르면 그 선계(先系)는 중국인으로 한(漢)나라 때 포덕후(布德侯)에 봉해진 인물이라고 한다.
그는 문성(文成)이라는 시호(諡號)를 받고 광산군(光山君)에 봉해졌으므로, 후손들이 그를 시조로 하고 광산(光山)을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왔다. 한편 1985년에 조사된 인구센서스에 의하면, 탁씨는 광산 이외에도 4개의 본관이 나타난다. 《경자보(庚子譜)》의 서문에는 “관향이 다른 자는 탁신(卓愼)의 후손이다”라는 내용이 있다. 탁신은 탁지엽의 9세손이므로 관향을 다른 곳으로 삼는 탁씨 또한 광산탁씨의 지파로 보고 있다.
분적종 및 분파
탁씨(卓氏)의 본관은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에 의하면 광산(光山)을 비롯하여 광주(廣州), 남양(南陽), 안산(安山), 양근(楊根), 가평(加平), 용인(龍仁) 등 32본이 있다고 전해지나 모두 광산탁씨(光山卓氏)의 세거지명에 불과하며 현존하는 관향은 광산(光山) 단본(單本)으로 알려져 있다.
주요 세거지
평안북도 정주군 남서면 남호동
평안북도 박천군 동남면 석화동
전라북도 익산시 신동
함경남도 영흥군 호도면 소포리
함경남도 영흥군 호도면 송보리
강원도 양양군 서면 송천리
인구분포
2000년 통계청이 발표한 결과에 의하면 광산탁씨는 4,891가구 총 15,691명이 있는 것으로 되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