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다른 시·도의 경우 농업진흥지역이 광범위하게 해제되고 있으나 전주시 농업진흥지역은 오랜 기간 묶여있어 개발을 저해당하고 있을뿐 아니라 토지 소유주들이 17년동안이나 재산권을 행사하지 못하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시가 팽창하는 추세를 감안해 전주시의 농업진흥지역을 해제, 북부권 발전전략을 새롭게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이 시의회에서 제기됐다.
전주시의회 유영국 의원(팔복동·조촌동·동산동)은 8일 열린 제265회 임시회에서 시정질문을 통해 "전주북부권의 일부가 농업진흥지역으로 묶여있어서 시 발전에 악영향을 주고있다"면서 "이의 해제를 통해 공장부지 확보는 물론, 탄소공단과 생태·체험 관광지가 어우러진 신도시로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 의원에 따르면 전주시 농업진흥지역은 도도동, 강흥동, 도덕동, 남정동에 걸쳐 총 2378필지 615만5142㎡에 달하고 있으나 활용가능성이 많은데도 불구, 계속 방치돼오고 있다.
하지만 전남은 2003년에 1000ha, 김해시, 안성시, 울진군은 지난 2007년에 165ha, 6758ha, 616ha 등을 각각 해제, 연수·체육시설이나 산단조성, 대규모 개발사업 등으로 활용, 전주시와는 큰 대조를 보이고 있다.
전주시 북부권에 있는 농업진흥지역은 관문인 전주IC가 위치해있고, 새만금 특별법 통과에 따라 육지에서 새만금으로 진입하는 관문이 되면서 최근들어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팔복동 공업단지, 혁신도시, 에코타운, 완주산업단지의 중간지대에 있어 발전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농업진흥지역 활용방안이 절실한 상황이다.
유 의원은 "당장 기업을 유치할 공장 부지가 없는 전주시 상황을 감안하면 이 일대를 해제해 부지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면서 "전주시의 탄소섬유 개발 파트너로 대규모 투자를 계획중인 효성그룹이 공장부지로 330만㎡ 가량의 용지를 요구하는 만큼 농업진흥지역을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전주시 발전은 농업진흥지역 해제 여부가 선결돼야 한다"면서 "지금이라도 시민은 물론, 전문가들의 지혜를 모아야 할 때"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송하진 전주시장은 "부족한 공장용지 확보나 탄소공장 조성을 위해 부지가 필요하다는데 전적으로 공감하지만 당장 해제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는만큼 주변여건 변화를 지켜보면서 접근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