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 Hey, this is cute! What do you think?
B : Don't try to be too trendy.
A : But it's fun to be trendy. Anyway, I'm gonna try this on.
B : Wait a minute! It's not on sale. You'll be up to your ears in debt if you keep spending so much money.
A : I know I have a weakness for clothes. But, don't worry. I can afford to buy this. I'll just charge it.
A : 와, 이거 예쁜데. 어떻게 생각해?
B : 너무 유행 따라 가지마.
A : 하지만 유행을 따르는 건 재미있어. 어쨌든, 이거 한번 입어봐야지.
B : 잠깐만! 이건 세일을 안해. 그렇게 헤프게 쓰다간 빚더미에 오를걸.
A : 그래 난 옷이라면 사족을 못써. 하지만 걱정마!. 이걸 살 여유는 있어. 카드로 살 테니까.
"Hey, this is cute!"는 "와, 이거 예쁜데."란 말이죠. "cute"은 "(아이.물건등)예쁜, 귀여운(pretty), 영리한(clever).."의 의미가 있죠. 사람에게도 많이 쓰고 이렇게 옷같은 물건이 예쁠 때도 많이 씁니다. 미국 여자아이들은 이 "This is cute."이란 말을 거의 달고 사는것 같더군요. "You're so cute."하면 "(너무 귀여워서) 확 깨물어 주고 싶다"란 의미를 갖게 되는데요. 미국사람들은 우리보다 이런 표현을 더 과장해서 하죠. 그러나 미국에서는 남자가 남자에게 "You're cute." , "You look pretty." 라고 말하면 안되죠. 동성연애자로 오해받습니다. "Don't get cute."는 "기어오르지마!"란 말이 되구요. cute와 비슷한 의미로 "neat"란 말도 많이 쓰이는데요. "neat"는 원래 "말쑥한, 깔끔한,단정한"의 의미를 가지죠. 하지만 이런 의미만 생각하면 미국인들과 대화할 때 어리둥절 하게 됩니다. neat는 구어적으로 "훌륭한, 굉장한, 기막힌"의 의미로 "great , wonderful"과 같이 몹시 좋다는 뜻이있죠. 어른,아이,남녀를 막론하고 많이 쓰는 단어인데요. "Hey, this is neat! 야, 이거 굉장한데!" "Wow! That's a neat picture! 와, 기막힌 그림이군!"이 됩니다.
"Don't try to be too trendy."는 "너무 유행 따라 가지마."란 말인데요. "trendy"는 형용사/명사 양쪽으로 쓰여 "유행을 쫓는" 그리고 "유행을 쫓는 사람" 둘 다 의미합니다. 요즘 fashionable 대신으로 많이 쓰이고 있죠. trendy대신에 trends를 써서 "Don't follow the latest trends in clothes too much"라고 해도 되구요. 미장원 같은데 가서 이렇게 말할 수도 있죠. "Just give me something trendy."로 "그냥 유행하는 것으로 해주세요."라구요.
"But it's fun to be trendy."는 "하지만 유행을 따르는 건 재미있어."란 말이죠. 미국인들은 유쾌한 민족이어서 ´fun'이란 말을 즐겨 씁니다. 특히 그들은 친구 관계이든, 부부 관계이든, 아니면 사제 관계이든 서로간에 대화를 많이 하며, 늘 웃음을 잃지 않고, 유머가 넘치는 생활을 즐기죠. "fun"은 "장난, 재미, 농담, 즐거운, 재미나는...."등의 의미로 재미있고 즐거운 것을 말할 때 많이 쓰는데요. "You're fun to be around."하면 "당신과 함께 있으면 즐겁습니다."이구요. "It'll be fun."은 "재미있을 거예요."이구요. "Have fun!"이란 말도 많이 쓰는데요. 헤어질 때 하는 인사로 "재미있게 노세요."란 뜻이 있구요. 또 "즐거운 시간을 보내다"란 의미로 "We had great fun at Guam.와, 우리는 괌에서 정말 재미있게 보냈어요." "Do you have fun in school ?학교 생활은 재미있니 ?"등으로 쓰이구요. 그런데 "They'll make fun of me."하면 "그들은 나를 비웃을 겁니다."가 되죠. "They'll laugh at me." "They'll mock at me."와 같은 뜻으로 쓰이게 되죠.
"It's not on sale."는 "이건 세일을 안해."이죠. "on sale"은 "할인 판매", "for sale"은 "판매하기 위한 것", "not for sale"은 "비매품"이라고 말씀드렸죠. 꼭 기억해 두시구요. 백화점 같은데서 신문에 세일 광고를 낼때 가끔 If items on sale are not available, we will issue rain checks on request."라고 써놓은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이것은 "만일 세일 품목이 다 팔리고 없을 때는 손님의 요청에 따라 레인체크를
발행해 드리겠습니다."란 말인데요. 세일하겠다고 광고를 낸 물건이 세일기간이 끝나기도 전에 다 팔리고 없을때는 손님의 요구가 있으면 그 쪽지를 가지고 나중에 세일가격으로 그상품을 살 수 있도록 하겠다는 뜻입니다. 미국은 항상 모든 면에서 소비자를 많이 존중하죠. sale의 종류에 대해 지난번 알려드렸었는데요. 오늘 또 몇가지! "back to school sale"이 있는데요. 8월 중순경 개학준비를 하는 학생들을 위한 특별 sale입니다. 학용품, 옷등 여러가지 sale을 하죠. 시기에 따른 sale은 시기의 이름을 따서 a Christmas sale, Thanksgiving sale, Easter sale등이 있죠. 미국 사람들은 아무리 돈이 없어도 이런 시기에는 모두들 쇼핑을 하니다. 쇼핑이 하나의 큰 행사라고 할 수 있죠. 아주 작은 것이라도 사서 정성껏 선물을 하더군요. 가격을 떠나서 마음을 담아 주는거죠. 이런점은 우리가 배워야 할 것 같습니다.
"You'll be up to your ears in debt if you keep spending so much money."는 "그렇게 헤프게 쓰다간 빚더미에 오를걸."이란 말이죠. "up to one's ears in"은 "~에 완전히 말려들어, 깊이 빠져, 몰두하여"란 표현입니다. debt 는 " 부채, 빚"을 의미하죠. 그러므로 "You'll be up to your ears in debt"하면 " 빚더미에 빠지다"란 뜻이되구요. 우리가 "내코가 석자다"란 말을 하는데요 "I'm in debt up to my ears."라고 합니다. "I'm up to my ears in work."하면 일에 빠지는 것이니까 "일때문에 꼼짝을 못한다." "눈, 코 뜰새없이 바쁘다."의 의미로 "I've got my hands full." "I'm tied up at work."와 같은 말입니다.
"I can afford to buy this."는 "이걸 살 여유는 있어요."란 말이죠. afford는 "여유가 있다, 감당하다, 산출하다"란 의미를 가지죠.주로 경제적인 여유를 말할 때 쓰는데요. "How do you afford it ?"하면 "비용은 어떻게 감당하고 계세요 ?"로 "How can you pay for it?"과 같은 말이구요. "I can't afford that.난 그건 감당할 수 없습니다." "We can't afford to buy a new house.우리에겐 새 집을 살 여유가 없어요."등으로 쓰입니다.
"I know I have a weakness for clothes."는 "그래 난 옷이라면 사족을 못쓰지."란 말인데요. "have a weakness for~"는 "~에 사족을 못쓰다. 편애하다, 특히 좋아하다,"란 뜻이구요. "be partial to~"과 같은 의미죠. "I'm very partial to baseball.난 야구라면 사족을 못쓴다." "I am partial to fruits.나는 과일이라면 사족을 못쓴다."로 쓰이죠.
"I'll just charge it."은 "카드로 살 테니까."이죠. charge 는 "...에 채우다, 과하다, (대가.요금을)청구하다, (상품 등을)외상으로사다...."등 많은 의미가 있죠. 우리가 배웠던 "Cash or charge? 카드/현금으로 하시겠어요?"란 표현 잘 아시죠. "Charge it to my BCcard"는 "BC카드로 지불하고 싶습니다."이구요. "외상으로 달아 놓으세요."란 말은 "Put it on my account." 또는 "Charge it to my account."라고 하죠. "free of charge는 "무료"란 말이죠. 그리고 "cover charge"가 무엇인지 아세요. 미국의 Rock club's는 주로 젊은 층이 모이는 술집으로써 밴드가 연주하는 음악이 시끄럽고 강렬한 곳인데요. 여기서는 우리나라 나이트 클럽처럼 테이블 값을 받는데 이것을 cover charge라고 합니다. 가격은 $2에서 $5로 우리나라 보다 훨씬 싸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