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핍한 시대의 시인
김우창(金禹昌)
한용운(韓龍雲)의 시대는 파스칼의 시대처럼 모순적인 선택밖에 제시해 주지 않았던 시대였다. 파스칼의 ‘노블레스 드 로브’가 무력감에 사로잡힌 몰락하는 계급이었다면 한용운의 시대에 있어서 우리 민족은 민족 전체로서 몰락하는 계급이 되었다. 계급의 경제적인 기저에 가로놓인 자체 모순이 파스칼의 계급을 저항과 비저항 사이의 이상한 마비 상태에 놓이게 했다면, 이것을 한민족 전체에 해당시키기는 어렵다 하더라도 외세와 민족 역량의 엄청난 질량차에 짓눌린 사람들이 불란서의 몰락 계급에 비슷하게 은둔도 현실 개조도 할 수 없는 뼈아픈 무력감에 사로잡혔을 것이라는 것은 쉽게 생각할 수 있다. 세상은 걷잡을 수 없이 기울어져 이미 어둠의 세력에 내던져져 버린 것으로 보였을 것이나 그렇다고 현실 세계의 역학 균형이야 어찌 되었든 수수 방관만 할 수는 없는 노릇이었을 것이다. 그러니까 절대적으로 요구되는 구국 운동과 절대적인 무력감 사이에 끼이게 된 한용운의 상황은 시대의 전체적인 테두리에 있어서 정히 파스칼적인 것이다.
파스칼적인 데에는 다른 요인들도 있었다. 그의 개인적인 상황은 그로 하여금 망국 민족의 딜레마를 자기의 그것으로 떠맡게 하는 데 알맞은 것이었던 것 같다. 그의 집안은 본래 토호급(土豪級)에 속한 만치 부유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그가 자라는 사이에 가세(家勢)가 기울어 집안은 곧 ‘일개(一個)의 빈가(貧家)’로 떨어져 버렸다.
사람은 무엇보다도 계층 이동(階層移動) 과정에서 자기를 형성 지배한 사회 세력을 의식하게 된다. 한용운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었을 것이다. 그가 열여덟 살에 동학에 가담한 것은 몰락하는 집안의 후예로서의 자기 의식과 불가분의 것이었을 것이다. 동학에 관련하여 주목할 것은 그것이 실패한 민족 운동이었다는 사실이다. 특히 한용운이 동학에 들어갔을 때는 동학 봉기가 일어난 지 2년이 지난 동학 대박해의 시기였다. 동학에의 참가는 행동으로 현실을 바로잡겠다는 적극적인 의지의 표현이라 하겠다. 그러나 박해기의 동학 운동에서 이러한 의지를 유지하기란 어려운 일이었을 것이다.
한용운은 결국 출세간(出世間)의 불문(佛門)으로 들어간다. 이것은 정치적 피신 행각 중의 우연한 해후에만 기인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여기에는 피치 못할 논리가 있다. 파스칼의 쟝세니즘에서 골드만에 의하면 ‘비극적 세계관’은 그 핵심을 이루는 것이지만, 쟝세니즘 가운데 다른 조류가 없었던 것은 아니었다. 한쪽으로는 부분적 진실의 실현이 이 세상에서도 가능하다는 타협주의와 다른 한쪽으로는 세상을 버리고 신의 진리 속에 숨어야 한다는 은세주의(隱世主義)가 그 양극단이 된다. 파스칼 자신도 비극적 관념에 이르기 전까지 이 양 경향에 끌리기도 하였었다.
우리는 한용운에서 비슷한 역정(歷程)을 본다. 현실의 정치 속에서 진실의 실현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한 그는 세상과의 모든 인연을 끊기 위하여 불도(佛道)에 귀의한다. 그러나 그가 이르게 되는 최종적인 입장은 완전한 출세간(出世間)의 불도의 그것이 아니라 ‘세간(世間)을 버리고 세간에 나는 것이 아니라 세간에 들어서 세간에 나는’ 불도의 입장이다. 한용운에게 불타의 진리는 세상 밖에서가 아니라 세상 안에서 구해진다. 그러나 이것은 역설적으로 세상이 그러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 아니라 그러한 가능성에서 일탈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니까 세상 안에서의 불타의 진리는 부재와 부정으로만 확인된다. 부정과 역설을 진리에 이르는 유일한 길로 보는 견해는 불교적인 전통의 주요한 부분이다. 그러나 하필이면 한용운의 불교 이해가 이러한 형태를 취한 것은 그의 삶에 있어서의 근본 동력이 이에 호응한 까닭이었기 때문이라 하겠다. 하여튼 ‘세간에 들어서 세간에 나는’ 불교는 민족적으로 사회적으로 걷잡을 수 없는 자세라는 것을 알면서 정의를 외치지 않을 수 없었던 그의 상황에 최고의 형이상학을 제공해 준 것이었다.
위에서 나는 한용운의 생애의 근본 형식을 추출해 보았다. 이것은 어디까지나 그의 생애를 하나의 총체적인 의미로서 파악하기 위한 가설이므로 이것은 전기적 자료에 의하여 검증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에서 주요한 보조 자료가 되는 것은 문학 작품이다.
그러나 이것은 문학 작품이 전기의 직접적 반영이란 뜻에서가 아니다. 우리는 역으로 그의 생애는 문학 작품 이해에 주요한 보조 자료라고 할 수도 있다. 한 사람의 생애와 성공적인 문학 작품은 말하자면 서로 독립하면서 또 동시에 대응하는 기술(記述) 체계를 이룬다. 그리하여 둘 다 하나의 실존적 계획으로의 생애와 작품에 움직이는바 여러 세력의 기본 구조를 드러낸다.
한용운의 ‘임의 침묵’은 그의 정치적, 사회적, 종교적 활동 전체에 관류하고 있는 어떤 근본적인 존재 방식에 대한 반성이며 증언이다. 이렇게 말하는 것은 ‘임의 침묵’이 우의적(寓意的)인 해석에 의하여서만 문제됨을 보기 때문이다. 가령 우리는 ‘임의 침묵’에 있어서의 ‘임’이 누구냐는 질문이 발해지는 것을 종종 듣는다. 그리고 그것은 부처일 수도 민족일 수도 있다고 한다. 한용운 자신, 시집의 서언 ‘군말’에서 이러한 추측 놀이의 길을 터 놓은 셈이지만 간단한 우의적인 해석은 그가 말하려는 것에서 의미의 긴장감을 제거해 버린다. 한용운의 ‘임’은 그의 삶이 그리는 존재의 변증법에서 절대적인 요구로서 또 부정의 원리로서 나타나는 한 한계 원리를 의미한다. 그것은 정적(靜的)으로 있는 민족이 아니라 억압된 민족에 대하여 자주적인 민족을, 사회적으로 억압된 민중에 대하여 자유로워진 민중을 실증적으로 파악하는 법에 대하여 보이지 않는 근원적인 진리를 말한다. 그것은 현실적인 민족이나 진리보다는 부재와 부정으로만 어림가는 본연적인 모습의 민족, 진리 속에 있는 세상을 지칭한다. 그러니까 다시 말하여 ‘임’은 한 자리에 놓여 있는 존재로서의 대상이 아니라, 움직이는 부정의 변증법에서 의미를 갖는 존재의 가능성이다.그러나 ‘임’의 의의를 깨닫는 것은 ‘임의 침묵’ 전부를 이해하는 것이고, 이 이해에 있어서 동적인 변증 과정을 마음에 두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위에 거칠게나마 시험해 본, 생애의 도식화로서 우리는 이미 이 시집에 드러나는 기본적인 변증법에 대한 열쇠를 얻었다. 이 시집의 근본 양식은 존재와 부재의 역설적 상호 작용이다. ‘임의 침묵’에 있어서 진리는 부재(不在)로서만 존재한다. 이 책에 실린 시편들은 이 근본 역설이 드러내는 여러 관계를 이야기한다. 그러나 이 점을 좀더 살펴보기 전에 한 가지 문제를 언급하고 가자. 그것은 이 시집의 기초가 되어 있는 비유의 문제다. 존재와 부재의 변증법은 이 시집의 표면에서는 남녀의 애정 관계로 표시된다. 그러나 내가 지적하고 싶은 것은 남녀 관계는 여기에서 단순한 비유나 탁의(託意)가 아니라는 것이다. 욕정은 부재나 마찬가지로 인간 존재의 부정성―사르트르 식으로 말하여, 인간 존재의 본질이 ‘결여(manque)’라는 사실에 그 존재론적 근거를 갖는다. 욕정은 현존하지 않는 것, 부재 내지 무(無)를 유(有)로 설정한다. 그리고 부재가 존재로 채워질 때 그것은 사라지고 만다. 여기에서 우리는 존재와 부재의 기묘한 상관 관계를 본다. 욕정과 부재는 그 존재론적 형식을 공유한다. 그러나 일보 더 나아가 이 공유는 형식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다. 적어도 한용운에게는 존재의 기본 내용은 에로스이다. 그에게 사랑은 곧 그가 파악한 바의 정치적 형이상학적 진리의 움직임이며 진리는 곧 사랑의 움직임이다. ‘임의 침묵’에 있어서의 관능적인 내용이 그대로 관능적인 호소력을 가지면서 동시에 초월적인 의미를 암시할 수 있는 것도 그것이 한용운의 세계 이해, 그것의 깊은 곳에서 우러나오기 때문일 것이다.
‘임의 침묵’은 제목 그 자체가 말하듯이 임이 침묵하는 시절의 시들이다. 임은 떠났다. 그러나 표제시(標題詩) ‘임의 침묵’이 말하듯 임은 갔지마는 나는 임을 보내지 아니하였다. 따라서 임을 보내지 아니한 시인의 마음을 통해서 임은 여기에 있는 것이 아니겠는가? 이렇게 볼 때 보내지 아니한 마음이 강하면 강할수록 임의 존재는 뚜렷한 것이 되겠고 이것을 달리 말하면 임이 부재하면 부재하는만치 그는 존재하는 것이다. ‘사랑의 측량’이 말하듯, 사랑의 양을 알려면 당신과 나의 거리를 측량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당신과 나의 거리가 멀면 사랑의 양이 많고 거리가 가까우면 사랑의 양이 적을 것입니다. 이러한 생각은 ‘임의 침묵’의 어느 곳에나 보이는 중심 개념이다. 다시 말하여 임은 부재로서 존재한다. 그러나 부재는 시인의 부정의 힘에 의해서만 이루어진다. ‘임의 침묵’의 고통은, 이 부정의 세계에서 살아야 하는 인간의 고통이다.
<궁핍한 시대의 시인>
▶ 작품 해설
한용운의 ‘임의 침묵’은 일제 시대의 암흑을 꿰뚫어 본 대표적인 시 작품이다. 지은이는 이 작품을 단순히 우의적으로만 해석하는 데 반대하고 시인의 생애와 관련지어서 해명하고자 한다. 프랑스의 법복 귀족의 세계관이 파스칼․라신느 등의 작품을 빚었듯이 한용운 시인의 생애와 거기에서 비롯된 세계관과 작품 구조 사이에 맺어진 관련을 파악하려고 하는 것이다. 한용운이 동학 혁명에 가담하고 이어서 불도에 귀의한 전기적 사실이 작품에 반영되었다는 사실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작품을 이해하는 데 전기에 대한 지식이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글쓴이는 이에 바탕을 두고 ‘임의 침묵’의 작품 구조를 설명하고 있다.
첫댓글 위대한 우리의 스승, 임의 침묵으로 그 진가를 발휘하고 왜놈들의 한을 새깁니다.
이시대의 영원한 스승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