볶은 곡식 먹기 단계별 실천법(p184-185)
1단계
지금 식생활에서 아침과 점심 외에 저녁과 간식을 먹지 않는다. 식사 때에는 볶은 곡식을 곁들여 먹는다. 만일 저녁에 꼭 무언가 먹어야 한다면 볶은 곡식만 먹도록 노력한다.
2단계
육류, 생선, 가공식품, 날채소, 국물 많은 음식 등은 줄이거나 먹지 않는 쪽으로 조절한다. 반면에 곡류 중심의 현미밥, 현미떡, 볶은 곡식 위주로 충분히 먹는다.
3단계
볶은 곡식, 현미떡을 주식으로 국물 적은 찌게, 반찬 한 종류, 과일 한 가지 등으로 단순하게 아침, 점심만 먹는다.
4단계
한 끼에 볶은 곡식에 현미떡을 주식으로 한 종류의 과일만 먹거나 볶은 곡식에 현미떡을 주식으로 국물 적은 찌게 한 종류만 먹는다.
5단계
현미떡 구운 것과 보끈 곡식에 소금 분말을 곁들여서 과일과 함께 아침, 점심 두 끼만 먹는다.
6단계
볶은 곡식에 소금 분말(천일염)을 곁들여서 아침, 점심 두 끼만 먹는다.
7단계
소화 기관의 소화 흡수 기능이 좋아지면 볶은 곡식에 소금 분말을 반찬으로 해서 아침 한 끼만 해도 건강한 몸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신체가 충분한 영양으로 만족하게 되면 하루 한 끼만 먹어도 어떠한 음식에 대한 욕구도 없어지게 된다.
- 몸이 야위고 추우며 소화력이 약하고 겨울이 싫은 사람들은 볶은 곡식 중심으로 식사를 하면 체력 증강과 함께 신체에 활력을 얻게 된다. 인체는 날씨가 추워지면 추위에 적응하기 위해 동물들처럼 적당히 살이 찌게 된다. 반면에 과다한 지방이 축적된 비만인 사람들 또한 외부 열을 위지하지 않고 수면을 취하고(저온수면법 참조) 볶은 곡식 위주의 식사를 아침 점심 두 끼만 하고 저녁을 먹지 않는다면 만족한 효과를 기대할 숴 있다. 볶음 곡식에 함유된 잿물(탄산칼륨)에 의해 지방이 빨리 분해되고 에너지로 활용되므로 균형있는 몸매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p187)
- 물을 필요이상으로 많이 먹으면 어떻게 될까?
첫째 침, 위액, 장액 등의 소화 효소가 묽어진다. 그 결과 섭취된 곡류의 탄수화물을 소화기관이 인체가 필요로 하는 에너지인 포도당으로 만드는 기능이 떨어진다. 이로 인하여 당분의 부족으로 인한 저혈당이 생긴다. 뇌의 기능이 저하되어 기억력 감퇴, 피로, 신경성 우울증, 소화불량 등 여러 가지 증세가 나타난다.
둘째 육식을 하지 않는 사람이 곡류보다 채소(또는 채소즙)을 많이 먹어도 같은 증세가 나타난다. 수분 과다로 장이 차면 장내 미생물 활동이 인체의 건강에 필요한 생명물질(각종 영양소와 아미노산)을 만들지 못한다. 이로 인하여 각종 질병에 시달리는 허약 체질이 된다.
셋째 수분 과다로 피에 영양분(포도당)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는 반면 또 마신 물이 핏속에 유입되어 피의 생명력이 저하된다. 이런 경우 몸이 잘 붓거나 마르고 약하며 추위를 많이 탄다. 특히 관절 부위에 영양공급과 순환능력이 저하되어 관절부위가 아프다. 그리고 인체가 피의 향상성 유지를 위해 핏속의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많은 소변만 자주 보게 된다.
그러므로 몸이 차고 추위를 타는 체질은 날채소나 과일을 줄이고, 국물이 많은 음식도 먹지 않는다. 물은 목마르지 않은 이상 많이 마시지 않는 것이 좋다. 음식은 곡류 위주로 침이 잘 섞이게 충분히 잘 씹어서 먹는다. 이렇게 하면 장내에서 소화효소와 미생물에 의해 당분과 모든 영양소가 충분히 만들어진다. (p201)
볶은 곡식 만들기 (현미 참쌀, 검정쌀 볶는 법)
1. 먼저 현미 찹쌀을 준비하고 이것을 잘 씻어 압력솥에 물이 쌀 위로 올라오지 않을 정도로 물을 맞추어 밥을 한다. 압력솥의 추가 소리를 내기 시작하면 5분 정도 기다렸다고 불을 끄고 2.3분 정도 기다렸다가 솥을 연다.
2. 다른 방법으로는 쌀을 하룻밥 물에 불렸다고 찜통에 1시간 정도 쪄낸다. 단 현미 멥쌀은 수분을 더 많이 필요로 한다. (중간에 물을 주면서 저어 주어야 한다.)
3. 밥이 다 되었으면 체반에 골고루 퍼서 말린다.
4. 낯 시간에는 햇볕에 말리고, 저녁에는 보일러를 켜서 따뜻한 방에 넓은 보자기를 펴놓고 그 위에 널어 말린다.
5. 말리는 기간은 1-2일 정도가 좋다. 말리는 시간이 너무 길어지면 쌀이 오히려 딱딱해진다.
6. 어느 정도 고슬고슬하게 말랐으면 쌀이 서로 붙어있는 것은 손으로 비벼 떼어주고, 나머지는 굵은 채(얼개미)에 쳐서 내린다. 다 떼지 못해 붙어 있는 쌀은 바싹 마른 후 밀대나 병으로 밀어서 뗀다.
7. 쌀을 바싹 말리는 것보다 어느 정도 수분이 남아 있는 고슬고슬한 상태에서 볶으면 아삭아삭 해지고 맛도 더 좋다.
8. 덜 말린 곡식을 볶다가 시간이 없어 다 못 볶으면 나머지 쌀은 건조해지지 않도록 비닐 봉투에 넣어 냉장고에 잘 보관한다.
9. 볶는 방법은 먼저 후라이펜이나 냄비를 불에 3-5문간 미리 달군다.
10. 후라이팸에 뜨거워지면 곡식을 한 컵정도 떠놓고 볶는다.(볶는 시간은 2,3분이면 된다.)
11. 다 볶은 쌀은 채반이나 스테인레스 체에 부어 놓고, 습기가 잘 빠지게 하고 완전히 식은 후에 비닐 봉지나 또는 뚜껑이 잘 맞는 플라스틱 용기에 넣어 보관한다. 도는 패밀리 주스 병을 깨끗이 씻어 물기를 완전히 말린 후 볶은 곡식을 넣어 보관하면 오랫동은 관 할 수 있어 좋다. (모든 곡식은 완전한 통곡류를 상용한다.)
(2) 현미 멥쌀 볶는 법
1. 먼저 멥쌀을 따뜻한 물에 2-3시간 불린다.
2. 밥하는 방법은 현미 찹쌀고 동일함.
3. 밥이 되었으면 채반에 펴놓고 햇볕이나 방바닥에서 말린다.(말릴 때 바닥에 너무 떠거우면 곡식이 맛이 없고 색깔이 발갛게 변한다.)
4. 참쌀보다 껍질이 두꺼우므로 어느 정도 잘 말린 상태에서 볶는다.
(3) 통 율무, 통 수수, 통밀, 통 보리 볶는 법
1. 우의 곡식을 따뜻한 물로 씻은 후 2-5시간 정도 불린다.(껍질이 두꺼우면 오래 불린다)
2. 압력솥에 넣고 40분-1시간 정도 밥을 짓는다. 밥물은 불렸기 때문에 곡식과 똑같은 위치만큼만 붓는다.
3. 불을 끄고 뚜껑을 열이 않은 채 2-5시간 정도 뜸을 들인다.
4. 보일러를 켠 방바닥이나 햇볕에 펴서 말린다.
5. 너무 바싹 마르면 전에 잘 비벼서 채에 친 후 한 컵씩 볶아낸다.
6. 너무 말리면 맛이 없고,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므로 수분 주절이 중요하다.
7. 껍질이 두꺼운 곡식은 조금 센불에 볶아도 된다.
(4) 옥수수 볶는 법
1. 말린 옥수수를 준비하여 깨끗이 씻은 후 따뜻한 물에 하룻밤을 불린다.
2. 통 삼중 압력솥(바닥 뿐만 아니라 옆의 통 부분까지 삼중인 솥)에 넣고 1시간 동안 밥을 짓는다.
3. 물을 충분히 부고 조금 센 불에 요리한다. 옥수수 알맹이가 처질 수 있도록 한다.
4. 밥이 다 되었으면 불을 끄고 8시간 내지 10시간 뜸을 낸다.
5. 그 후에 햇볕이나 방바닥에 골고루 펴서 말린다.
6. 조금 딱딱할 정도로 습기를 완전히 말린다.
7. 너무 건조한 상태에서 볶으면 맛이 없고 탄내가 나무로 잘 말린 옥수수를 이슬이 잘 스며들 수 있는 처마 밑이나 창고에서 2-3일 놓아 둔다.
8. 어느 정도 습기가 골고루 배어들었을 때 볶아 낸다.
9. 처음에는 조금 센 불에 볶다가 나중에 불을 낮춰가며 볶는다.
(5) 메주콩, 검정콩 볶는 법
1. 콩을 깨끗이 씻은 다음 찜통에 40분이나 50분 동안 쪄낸다.
2. 충분히 익으면 불을 끄고 10정도 뜸을 들인다.
3. 어느 정도 식으면 불을 끄고 10분 정도 뜸을 들인다.
4. 이것을 다시 꺼내어 잘 말린 후에 볶아낸다.
5. 콩은 2-3컵 정도 넣고 볶아도 된다.
6. 처음에는 센불로 볶다가 어느 정도 볶아지면 불을 낮추고 뜸을 들이며 볶아낸다.
(곡식을 맛있게 볶는 법)
① 좋은 곡식을 선택한다.
② 밥을 지을 때나 찜통에 찔 때 뜸을 푹 들인다.
③ 너무 뜨거운 열에서 말리지 말고 은근한 상태에서 말린다.
④ 볶을 때 적은 양을 넣고 볶는다.
⑤ 볶기 전에 모든 곡식에는 수분이 어느 정도 있어야 한다.
(볶은 곡식 맛있게 먹는 법)
① 습기있는 볶은 곡식은 다시 한번 후라이팬에 살짝 볶아 습기를 게거한 후 먹는다.
② 볶은 곡식에는 소금이 부족하므로 당콩이나 해바리기씨, 호도 등을 섞어서 먹는다.(소금도 조금 뿌려서)
③ 비만이 아니라면 소금 섭취를 위해 두부나 묵, 다시마, 김, 미역 등 한가지 반찬을 간이있게 요리하여 볶은 곡식과 곁들여 먹는다.
④ 과일에 소금을 뿌려 먹으면 따로 소금을 섭취할 필요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