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성분비와 부피비는 어떻게 다른가요?
A.
부피비와 질량비(성분비)은 다릅니다.
예를 들어 수소라는 기체가 있다면 수소라는 기체가 차지하고 있는 공간의 크기가 부피입니다.
질량은 수소분자 자체의 질량을 말하는 것입니다.
수소원자는 H, 수소분자는 수소원자가 2개 결합한 H₂
산소원자는 O, 산소분자는 산소원자가 2개 결합한 O₂
물분자는 수소원자 2개와 산소원자가 1개 결합한 H₂O입니다.
1. 기체 반응의 법칙 (부피비)

기체 반응의 법칙이라는 것은 기체들이 반응 할때 일정한 부피비가 성립한다는 것입니다.
즉, 수소기체 2부피가 산소 1부피와 반응하여 수증기 2부피를 만든다는 것이랍니다.
예를들어 수소기체가 20ml 있다면 산소 10ml와 반응하여 수증기 20ml가 생성되며,
수소기체가 30ml 있다면 산소 15ml와 반응하여 수증기 30ml가 생성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수소 : 산소 : 수증기의 부피비는 2 :1 : 2 가 되는 것입니다.
=== 참고로===
2H₂+ 1O₂→ 2H₂O
H₂ 앞의 2는 수소분자(H₂) 가 2부피 있다는 뜻입니다.
O₂ 앞의 1은 산소분자(O₂) 가 1부피 있다는 뜻입니다. 그러나 1은 보통 생략하여, 2H₂+ O₂→ 2H₂O 로 씁니다.
H₂O 앞의 2는 수증기 혹은 물분자(2H₂O)가 2부피 있다는 뜻입니다.
즉 각각의 분자 앞에 붙은 2,1,2 는 기체의 경우 부피의 비이며, 분자 갯수의 비입니다.
따라서 부피비는 2:1:2가 되는것입니다.
2. 일정성분비의 법칙 (질량비)
일정성분비의 법칙은 물질이 반응하여 새로운 화합물을 만들때 이들 사이에 일정한 성분비가 성립한다는 것입니다.
즉 성분비라는 것은 성분들의 질량비라고 해석하셔도 좋습니다.
2H₂+ 1O₂→ 2H₂O
위 식에서..
수소분자는 질량이 2정도 입니다. 그러나 2분자 있으므로 4가 되겠지요.
산소분자는 질량이 32정도 입니다.
물분자는 질량이 18정도 입니다. 그러나 두분자 있으므로 36이 되겠지요.
따라서 수소와 산소가 결합하여 물을 형성할때
질량비는 4 : 32 : 36 = 1 : 8 : 9 가 되는 것입니다.
[단위를 생략한것은, 고등학교때 몰이라는 개념을 배우셔야 정확히 아실 수 있기에 생략합니다.
또한 아직 각각의 질량을 기억하실 필요는 없지만, 질량비가 1:8:9라는 것은 기억해 두시면 좋습니다.
물론 9학년 2학기에 다시 배우시게 됩니다. ]
첫댓글 갑사합니당~
악 모르고글을지워버려써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