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인의 삶을 살면서 나에게 전환점을 제공한 사건, 책, 사람이 있다.
내가 원광대 전주한방병원에서 수련을 한 사건
그리고 존경하는 김동웅 교수님으로부터의 배움
고통받는 환자와 인간에게서 멀어진 의사를 위하여
의학면담, 심리학
치료적 운동의 원리와 실제, PNF, MET, 운동처방 등
확실해 보이는 것은 Balance와 coordination, 각관절의 움직임의 이해가 몸에서 느껴지지 않으면 PNF는 절대로 이해할 수 없을 것이라는 것이다. 또한 등장성, 등척성 수축과 이완, 관절의 정상가동력, 정상근력 그리고 각관절의 정상적, 비정상적 움직임을 정확하게 이해할때 PNF는 정확하게 다가올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어려운 영역이다.
panic bird......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 영문출판사
치료적운동의 원리와 실제. 대한미디어
http://www.pnf.or.kr/
1. 고유 수용성 신경근 촉진법
정의
1) 고유수용성(proprioceptive) : 신체의 움직임과 체위를 고려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감각수용기와 관련성이 있다.
2) 신경근(neuromuscular) : 신경과 근육의 동반성
3) 촉진(facilitation) : 운동을 더 쉽게 되도록 한다.
-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은 치료적인 개념이다. 기본적인 철학은 장애인을 비롯한 모든 인간은 개발되지 않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Kabat 1950) 이러한 철학을 근거로한 PNF의 기초원리는 다음과 같다.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은 어떤 기법이라고 하기보다는 치료철학이다.
# PNF는 통합적인 치료법이다. 각각의 치료는 인체의 한 분절 혹은 특정부분의 문제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인 인간으로 접근을 한다.
# 치료는 환자가 육체적, 정신적 수준에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고, 강화하는 적극적인 방법으로 실시한다.
# 모든 치료의 일차적인 목표는 환자의 기능이 최고로 도달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목적
1) 환자의 운동능력 향상과 안정성 유지
2) 적절한 저항과 적절한 잡기로 운동을 유도
3) 환자가 정확한 운동 타이밍을 통하여 협응된 운동을 성취하도록 보조
4) 환자의 스테미너 증가와 피로예방
의사의 관점에서 보는 목적
1) 효과적인 스트레칭
2) 효과적인 근력, 근지구력 운동
3) 효과적인 발란스, 협응력 운동
정의와 개념
"신경계는 처음부터 끝까지 연관되어 있으므로 격리, 고립된 부분이 없다"
1) 후방전(afterdischarge)
- 자극이 정지된 후에도 자극의 영향이 계속된다. 만약 자극시간과 강도가 증가한다면 후방전도 역시 증가한다. 계속된 정적 수축뒤에 오는 증가된 힘의 느낌은 후방전의 결과이다.
2) 시간적 가중(temporal summation)
- 어떤 짧은 시간내에 일어나는 역치하의 약한 자극의 연속은 누적되어 흥분을 일으킨다.
3) 공간적 가중(spatial summation)
- 신체의 각각 다른 부위에 동시에 적용된 약한 자극은 서로서로 흥분을 야기하고 강화시킨다. 시간적 공간적 가중은 더 큰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4) 방산(irradiation)
- 이것은 반응의 강도가 증가된 것이며, 반응의 확산이다. 방산은 자극빈도와 자극강도가 증가되었을때 일어난다. 방산의 반응은 흥분과 억제로 나타난다.
5) 지속적 유도(successive induction)
- 주동근의 증가된 흥분은 길항근의 자극(수축)을 이끌어 낸다. 길항근의 반전(reversal of antagonist)과 관련된 기법들은 지속적 유도의 특성을 이용한 것이다.
6) 상호 신경지배(reciprocal innervation), 상호억제(reciprocal inhibition)
- 주동근의 수축은 길항근의 억제를 동반한다. 상호신경지배는 협응동작을 필요로 한다. 이완기법은 상호신경지배의 특성을 이용한 것이다.
2. 촉진을 위한 기본절차
촉진기법의 목적
1) 환자의 운동능력 향상과 안정성 유지
2) 적절한 저항과 적합한 잡기로 운동을 유도
3) 환자가 정확한 운동 타이밍을 통하여 협응된 운동을 성취하도록 보조
4) 환자의 스테미너 증가와 피로예방
- 기본적인 촉진기법은 각각의 효과가 서로 중복되어 그 효과를 배가시킨다. 예를들어 저항은 효과적인 신장반사를 일으키기 위해 필요하며, 저항의 영향은 치료사의 체위와 맨손 접촉의 방향에 따라 변화된다.
촉진기법의 금기
- 완전히 골화되지 않은 골절환자에게 압축을 적용할 수 없다.
- 불안정한 관절에 치료사가 신장반사를 위한 저항을 줄때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촉진기법을 위한 기본적인 절차
2.1 저항(resistance)
# 근수축과 운동조절을 돕고 근력강화를 위해
# 운동조절의 증가
# 환자가 운동과 운동의 방향에 대한 이식을 얻을 수 있도록 돕는다.
# 근육강도를 증가시킨다.
- 대부분의 PNF기법은 저항의 효과에 대한 지식으로부터 발전하였다. 저항의 양은 환자가 움직이는 동안 그 동작의 목표와 환자 상태에 맞게 정확한 양이 제공되어야 한다. 근육이 저항에 대하여 수축할때에는 그 근육의 반응은 대뇌피질 자극을 증가시킨다고 밝혔다. 따라서 저항에 대하여 발생된 능동적 근장력은 가장 효과적인 고유수용기 촉진이다. 그 촉진의 극대화는 제공된 저항의 양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수축하는 근육의 고유수용기 반사는 동일관절에서의 협력근의 반응뿐만 아니라 인접관절의 연관된 협력근의 반응도 증가시킨다.
5페이지 근수축 형태 참조
- 촉진기법이 된 근육에 대한 길항근들은 일반적으로 억제된다. 그러나 주동근의 활동이 강하게 될때는 길할근군은 동시수축이 일어날 수 있다. PNF에서 저항을 어떻게 줄 것인가는 근수축의 종류에 달려있다.
근수축의 종류
1) 등장성 수축(isotonic, dynamic)
가. 구심성 등장성 수축(concentric) : 주동근이 짧아지면서 동작이 일어난다. 치료사에 의해 저항이 강하게 적용된다.
나. 원심성 등장성 수축(eccentric) : 외력, 중력 또는 저항에 의해 동작이 일어난다. 주동근은 근육이 늘어나는 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다. 안정적 등장성 수축(stabilizing isotonic) : 환자는 움직이려고 노력한다. 그러나 치료사의 힘에 의해 저지받고 두사람의 힘은 같은 상태.
2) 등척성 수축(isometric, static) : 힘을 쓰고 있지만 치료사나 환자 모두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
- 원심성 또는 구심성 수축에 대한 저항은 동작이 부드럽고 협응이 되도록 조절되어야 한다. 그러나 안정적 등장성 수축에 대한 저항은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도록 조절되어야 한다. 등척성 수축을 위해 저항을 가할때는 동작이 일어나지 않도록 저항의 양을 점차적으로 증가시키고, 감소시킨다. 저항이 통증을 유발시키거나 원하지 않는 피로의 원인이 되어서는 안된다. 저항을 줄때 치료사나 환자 모두 숨을 멈추어서는 안된다.
2.2 방산과 강화(irradiation and reinforcement)
- 적절히 사용된 저항은 방산과 강화를 일으킨다. 방산이라 함은 저항에 대한 반응의 확산이라고 정의한다. 방산의 반응은 운동패턴과 협동근에 대해 억제(이완)과 촉지(수축)을 증가시키는 것을 말한다. 자극의 강도와 시간이 증가하면 반응도 증가한다.
- 강화라 함은 더 강하게 하거나 순수한 힘의 첨가에 의해 강화시키는 것이다. 치료사는 강한 근육에 저항을 주어 약한 근육의 강화를 유도한다.
- 저항량이 증가하면 근육반응의 범위와 크기도 증가한다. 또한 동작의 변화와 환자의 자세가 변화함으로써 반응도 달라지게 된다. 치료사는 환자의 상태, 치료목표에 적합하도록 근 수축의 형태와 저항의 양을 적절하게 조절한다. 치료사는 결과를 평가하여 저항, 방산, 강화 등의 적용을 결정해야 한다.
환자치료에 있어서 저항을 적용하는 예
1) 고정된 반대측 근육의 수축을 만들기 위해 건측 근수축에 저항을 가하라. 교차훈련
2) 고관절 굴곡에 저항을 가하면 체간의 굴곡근 수축이 유발된다.
3) 전완의 회외에 저항을 가하면 견관절 외회전근의 수축이 유발된다.
4) 고관절 굴곡-내전- 외회전 패턴에 저항을 가하면 발목관절의 내반과 함께 배굴근 수축이 일어난다. 8페이지 그림 2-3. 하지의 굴곡-내전-외회전 시 배측굴곡과 내반에 대한 방사
2.3 맨손접촉(manual contact)
# 근육에 압력을 가하는 것은 근육의 수축능력을 보조한다.
# 동작중에 운동의 방향과 반대로 압력을 가하는 것은 운동을 강화시키기 위해 보조근을 자극시킬 것이다.
# 환자체간에 있어서의 맨손접촉은 체간의 안정성을 도모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사지의 움직임에 도움을 준다.
-치료사의 잡기는 환자의 피부수용기와 다른 압력 수용기를 자극시킨다. 이러한 접촉은 적절한 운동의 방향에 대해 환자에게 정보를 준다. 맨손접촉은 환자에게 정확한 운동의 방향을 암시, 유도한다. 룸부리칼 그립을 이용한다.
2.4 치료사의 체위(body position and body mechanics)
- 치료사의 체간, 팔, 손의 배열에 의한 운동조절 및 운동 유도를 한다. 치료사의 위치가 원하는 움직임이 일어나는 동작선상에 있을때에 환자의 움직임이 가장 효율적이다. 치료사가 위치를 옮김에 따라 저항의 방향이 변하고, 그 저항에 대하여 환자의 동작이 변하게 된다.
2.5 구두지시(verbal commands)
- 환자에게 지시할때는 적절한 단어와 음량을 사용한다. 환자에게 무엇을 언제 어떻게 하는지를 전달하여 수동운동과 결합하여 원하는 동작을 가르친다. 지시의 타이밍은 치료사의 손과 저항과 함께 환자의 반응을 조정하는데 중요하다. 그것은 운동과 근수축의 시작을 유도한다. 또한 환자에게 운동이나 안정을 위한 교정을 주는데 도움을 준다.
- 타이밍 지시는 특히 신장반사를 이용할때 중요하다. 구두지시의 음량은 근수축 강도에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치료사가 강력한 근수축을 원할때는 큰소리로 지시하고 환자를 이완하거나 통증감소를 원할때는 부드럽고 조용한 목소리로 구두지시를 한다.
- 예령 -> 동령 -> 교정명령으로 이루어진다.
2.6 시각(vision)
- 힘의 증가와 운동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시각을 이용한다. 시각자극은 환자의 체위, 그리고 동작을 교정하거나 조절할때 이용한다. 눈의 움직임은 머리와 체간운동에 영향을 미친다. 시각적인 자극으로부터 피드백은 더욱 강한 근수축을 유발할 수 있다.
2.7 견인과 압축(traction and approximation)
- 지체나 체간을 연장하거나 압박하여 운동성과 안정성을 촉진시킨다. Knott, Voss와 동료들은 견인의 치료적 효과는 관절 수용기의 자극에 기인한다는 이론을 세웠다.
견인의 작용
- 동작을 촉진, 특히 당기는 동작과 항중력 운동을 촉진한다.
- 신장반사를 이용할때 근조직의 늘어남을 돕는다.
- 동작의 어떤 부분에서 저항으로 작용한다.
- 관절에 통증이 있는 환자를 치료할때는 견인은 매우 중요하다. 견인력은 목적이 달성될때까지 점차적으로 적용한다. 견인력은 동작시작부터 끝까지 적용하여여 하며, 적절한 저항과 결합해야 한다.
압축의 작용 : 압축은 체간과 지체에 대한 압박력이다.
-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 체중부하를 촉진시키고 항중력근을 수축시킨다.
- 동작의 어떤 부분에서 저항으로 작용한다.
- 빠른 압축(quick approximation) : 반사를 이끌어 내기 위해 힘을 빠르게 적용
- 느린 압축(slow approximation) : 환자가 적용할 수있도록 힘을 점차적으로 적용
- 압축을 행할때는 멈추시오, 자세를 바로 하시오 등과 같은 적절한 구두지시가 있어야 한다. 환자의 모든 분절과 관절은 압축을 가하기 전에 잘 정렬되고 체중부하자세에 있어야 한다.
2.8 신장(stretch)
- 신장자극은 근육이 연장되었을때 일어난다. 근 수축을 촉진하고 근육과 피로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근육을 연장하거나 신장반사를 이용한다. 신장 자극은 길어진 근육, 같은 관절을 지나는 협력근, 그리고 다른 연관된 협력근을 촉진한다.
- 최대의 촉진작용은 지체와 체간의 모든 협력근들이 최대로 늘어났을때 얻게 된다. 예를들어 전경골근의 최대 연장은 전경골근을 촉진시킬 뿐 아니라 고관절 굴곡근, 내전근, 외회전근군도 촉진시킨다. 또한 고관절굴곡근, 내전근, 외회전근군이 최대로 연장되면 고관절의 근육군과 전경골근은 두 근육 모두 촉진된다.
- 만약 모든 고관절 근육군과 발목관절 근육군 즉 다리의 모든 근육군이 동시에 최대로 연장되었다면, 하지 근육의 흥분성은 더 증가하게 되고 체간 굴곡근으로 확산된다. 치료사가 더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신장 후 수축된 근육에 저항을 가해야 한다.
- 반응을 이끌어 내기 위해 치료사는 장력하에 있는 근육을 빠르고 부드럽게 순간적으로 신장시킨다. 예령은 신장하기 바로 직전에 사용한다. 예를들면 자(예령) -> 당겨요(동령) -> 더세게(동령)로 구두지시를 한다. 효율적인 치료를 위해 치료사는 신장 후 일어나는 근 수축에 대해 저항을 주어야 한다.
2.9 타이밍(timing)
- 타이밍은 동작의 연속적인 진행을 말한다. 강조의 타이밍(timing for emphasis)으로 근수축력을 증가시키고 정상적인 타이밍을 조장시킨다.
- 치료사가 치료적 목적을 위해 정상적인 타이민을 변경하는데는 다음과 같은 두가지 방법이 있다. 첫째, 한가지를 제외한 패턴의 모든 운동을 저지하고 그 한가지를 강조한다. 둘째 운동패턴에서 강한 운동의 수축을 유지하거나 등척성 저항에 의해 더 약한 근육을 운동시킨다.
10) 패턴(patterns)
- 공동근 집단운동(synergistic mass movements)이며, 기능적 운동의 구성요소이다.
3. 치료기법
- PNF개법의 목적은 근육군의 촉진, 억제, 강화와 이완을 통하여 기능적 운동을 증진시키기 위함이다. 그 기법은 구심성, 원심성, 그리고 정적 근수축을 이용한다.
# 기법은 가동범위의 증가와 새로 얻어낸 운동범위에 있어서 근육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운동의 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해 수축-이완과 같은 이완기법을 이용한다. 최근에 얻어진 운동의 범위는 근력과 조절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동적반전(느린반전) 또는 등장성 수축의 혼합과 같은 촉진기술을 사용한다.
# 근력강화를 위한 운동을 하는 동안 근육의 피로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반복된 신장과 같은 근력강화기술을 사용한 후에 운동한 근육의 피로를 감소시키기 위해 동적반전(느린반전)을 즉시 실시한다. 반복된 신장반사는 피로없이 근육이 더 오랫동안 일을 할 수 있도록 가능케 해준다. 길항근의 교대수축은 하나의 근육군에 반복된 운동에 따른 피로를 감소시킨다.
3.1 율동적 개시(rhythmic initiation)
특성
- 사지나 신체의 율동적운동은 요구되는 범위에서 행해지며, 수동적 운동에서 시작하고 능동적 저항운동으로 진행시킨다.
목표
- 운동개시를 촉진
- 협응력과 운동감각 증진
- 증가와 감소를 통한 운동 비율의 정상화
- 동작 재교육
- 환자의 이완을 돕는다.
적응증
- 운동을 시작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경우
- 운동이 너무 느리거나 너무 빠른 경우
- 운동이 비협응적이거나 비율동적인 경우
- 전반적인 장력이 있는 경우
설명
- 구두지시를 사용하여 rom을 수동적으로 도와준다.
- 원하는 방향으로 능동적으로 움직이게 한다. 되돌아 오는 운동은 치료사가 실시
- 리듬감을 유지하면서 능동운동에 저항을 가한다.
- 독립적으로 움직이게 한다.
앉은 자세에서 체간 굴곡
- 환자는 수동적으로 체간을 굴곡하고 나서 똑바른 자세로 되돌아온다. "내가 당신을 앞으로 움직이게 하겠습니다. 이제는 내가 당신을 뒤로 움직이게 하겠습니다. 그리고 다시 앞으로 움직이게 하겠습니다"
- 환자가 쉽게 움직이기 시작하면 다음으로 능동 보조운동을 하도록 요청한다.
- 다음으로 동작에 저항을 주기 시작한다. "저를 대항해서 앞으로 미십시오. 뒤로 몸을 미십시오.
- 마지막으로 "이제 당신 스스로 곧바로 세워보세요"
변경
- 구심성 근수축뿐만 아니라 원심성 근수축을 이용하여 끝마칠 수 있다(등장성 수축).
- 기법은 양방향 모두에서 능동운동으로 행해질 수 있다(길항근 반전).
3.2 등장성 혼합(combination of isotonic)
특징
- 이완없이 한 근육의 한그룹(주동근)에 구심성, 원심성, 안정적 수축을 결합시킨다. 치료를 위해서는 환자가 가장 큰 근력이나 최상의 협응력을 가지는 곳에서 시작한다.
목적
- 운동의 능동적 조절
- 협응작용
- 능동적 범위의 증가
- 근력강화
- 운동의 원심성조절에 대한 기능적 훈련
적응증
- 원심성 조절의 감소
- 협응력과 원하는 방향으로의 운동능력 결핍
- 능동적 운동범위의 감소
- 운동범위가 없는 상태에서 능동운동의 결핍
설명
- 치료사는 원하는 운동범위에 걸쳐 능동적으로 움직이는 환자의 운동에 저항을 가한다(구심성 수축)
- 운동이 끝났을때 치료사는 환자에게 그 위치를 유지(등척)하라고 말한다(안정적 수축)
- 안정성이 획득되었을때 치료사는 천천히 시작자세로 다시 돌아가라고 환자에게 말한다(원심성 수축)
- 근육활동의 다른 형태와 치료사의 손이 같은 면에 주어지고 있는 동안에는 이완이 없다.
앉은 자세에서 체간 신전-굴곡
- 체간을 굴곡하는 구심성 수축에 저항을 가한다. "나를 향해 앞으로 미십시오" 환자의 능동가동범위 끝부분에서 멈추라고 말한다. "멈추십시오. 그자세를 유지하고 제가 당신을 뒤로 밀게 하지 마십시오"
- 한참 유지하고 체간 굴곡근의 원심성 조절력을 유지하면서 환자가 시작자세로 되돌아가게 한다. "지금 제가 당신을 뒤로 밀게 천천히 힘을 빼십시오"
- 이 기법은 길항근 반전과 결합될 수 있고, 가동의 끝 범위가 아니라 원심성 수축으로 시작할 수도 있다. 변화는 멈춤이나 안정시킴없이 구심성 수축에서 원심성 수축으로 수행될 수 있다.
3.3 길항근 반전(reversal of antagonist)
가. 동적반전(dynamic reversal of antagonist. 느린 반전)
특성
- 능동적인 운동은 정지나 이완없이 한방향(주동근)에서 반대방향(길항근)으로 변화한다. 정상적인 생활에 있어서 우리는 던지거나 자전거를 타거나, 걷는 등 이러한 종류의 근육활동을 한다.
목적
- 능동운동 범위 증가
- 근력증가
- 협응력 증진(운동의 부드러운 반전)
- 피로의 예방이나 감소
- 지구력 증진
적응증
- 능동운동 범위 감소
- 주동근의 약화
- 운동의 방향전환능력 감소
- 운동을 한 근육의 피로가 시작될때
설명
- 치료사는 보통 더 강하거나 더 좋은 방향에서 한방향으로 환자의 움직임에 저항을 준다.
- 원하는 운동범위에 접근함에 따라 치료사는 움직이는 분절의 원위부를 잡고 반전시키고, 방향전환을 준비하기 위해 명령을 내린다.
- 원하는 운동의 끝에서 치료사는 이완없이 방향반전을 위해 행동지시를 내리고, 원위부에서 시작하는 새로운 운동에 저항을 준다.
- 환자가 반대방향에서 움직임을 시작할때 치료사는 모든 저항을 새로운 방향에 반대해서 주고 새로운 원위부를 잡고 반전시킨다.
- 반전은 필요한 만큼 행해질 수 있다.
굴곡에서 신전으로 상지운동을 반전하기
- 원하는 팔 굴곡패턴에 대해 저항을 가한다. "손목을 신전하고 팔을 들어올리세요"
- 환자의 팔이 가동범위의 끝부분에 근접함에 따라서 근위부(팔 또는 견갑골에 대해)에 저항을 가하고 있는 손을 움직여 반전운동 동안 환자의 원위부(손)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한다. "지금 내 손을 꽉 쥐고 당신 팔을 아래로 당기십시오"
- 환자가 새로운 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함에 따라서 치료사의 다른 손을 움직여서 현재 패턴의 근위부에 저항을 가한다.
굴곡에서 신전으로 하지운동의 반전(27페이지 그림 3.3)
- 원하는 하지 굴곡패턴에 대해 저항을 가한다. "발목을 배굴하고 다리를 위로 드십시오"
- 환자의 다리가 범위의 끝부분에 접근함에 따라 반정운동 동안 환자의 발에 저항을 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발의 배측에 저항을 가하고 있는 손을 저측면으로 옮긴다. "지금 당신의 발을 아래로 밀고 다리를 아래로 내리십시오"
- 당신이 새로운 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해 환자를 준비시킬때 "이제 당신의 발을 아래로 미시고, 당신의 다리를 아래로 차세요"라는 행동지시를 준다.
- 환자가 새로운 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함에 따라서 그 부분에 저항을 가할 수 있도록 근위부 손을 옮기고 운동의 새로운 방향에 저항을 준다.
변경
- 전 범위에 걸쳐 움직이는 것 대신에 방향의 변화는 특정한 가동 범위를 강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즉 굴곡운동의 끝범위에 도달하기 전에 굴곡에서 신전까지 반전을 시작하라. 치료사 또한 신전운동의 끝범위에 도달하기전에 다시 반전을 할 수 있다.
- 한 방향 또는 양방향에서 사용되는 속도는 바꿀 수 있다.
- 기법은 각각의 방향에서 작은 운동과 함께 시작할 수 있고 환자의 기술이 증진됨에 따라 운동의 범위도 증가한다.
- 환자는 운동범위에서 어떤 한부분이나 운동범위의 끝에서 자신의 자세를 유지하고 안정시키는 훈련을 받을 수 있다. 이것은 반전하는 방향 전과 후에서 행해질 수 있다.
- 반전 후에 더 약한 근육의 방산을 얻기 위해서 더 강한 방향에서 기법이 시작될 수 있다.
- 길항근이 피로해지기 시작할 때는 언제든지 반전을 실시할 수 있다.
- 만약 근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목적이라면 각각의 전환과 명령과 함께 저항을 증가하여 더 많은 힘을 요구하라.
나. 안정적 반전(stabilizing reversal)
특성
- 교대로 하는 등장성 수축은 운동을 저지하는 충분한 저항에 의해 대응된다. 지시는 동적 지시이다.
목표
- 안정성과 균형증가
- 근력증가
- 주동근과 길항근 사이의 협응력 증진
적응증
- 감소된 안정성
- 약화
- 등척성 근수축을 하지 못하는 경우
설명
- 치료사의 힘에 대응하도록 환자에게 요구하는 동안 가장 강한 방향으로 시작하면서 환자에게 저항을 가한다. 매우 작은 운동은 허락되어진다. 압축이나 견인은 안정성을 증가시키는데 사용되어져야 한다.
- 환자가 그 힘에 충분히 저항을 할때 치료사는 한손을 움직이고 다른 방향에서 저항을 주기 시작한다.
- 환자가 새로운 저항에 반응한 후에 치료사는 새로운 방향에 저항을 주기 위해 다른 한손을 움직인다.
체간의 안정성
- 환자의 체간굴곡에 저항을 가한다. "내가 당신을 뒤로 밀게 하지 마세요"
- 환자가 자신의 체간 굴곡근을 수축하고 있을때 환자의 체간 신전에 저항하도록 치료사의 다른 손을 움직이는 동안 한손으로 저항을 유지한다. 다른 손은 등에대고 반대로 체간신전에 저항하도록 한다.
- 환자가 새로운 저항에 반응함에 따라 체간신전에 저항을 주기위해 아직 체간굴곡에 저항을 주고 있는 손을 움직인다.
- 환자의 안정을 확실히 하기 위해 필요할때마다 방향을 바꾸어라.
변경
- 느린반전과 함게 시작할 수 있고 환자가 안정될때까지 더 작은 범위로 진행한다.
- 안정화는 더 약한 근육으로 방산시키기위해 더 강한 근육군으로 시작할 수 있다.
- 저항은 모든 근육군이 작용하도록 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반전의 속도는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다. 율동적 안정(rhythmic stabilization)
특성
- 운동이 일어나지 않게 저항에 대응하면서 하는 교대적인 등척성 수축이다.
목표
- 능동 및 수동운동의 범위증가
- 근육강화
- 안정과 균형 증가
- 통증 감소
적응증
- 제한된 운동범위
- 통증 특히 운동을 시작할때 의 통증
- 길항근군의 약증
- 감소된 균형
설명
- 치료사는 주동근군의 등척성 수축에 저항을 가한다. 환자는 움직임을 시도하지 않고 그 부분의 자세를 유지한다.
- 저항은 환자가 대응하는 것에 따라 천천히 증가시킨다.
- 환자가 완전히 반응하고 있을때 치료사는 원위부에 있는 길항근 운동에 저항을 시작하기 위해 한손을 움직인다. 치료사와 환자는 저항의 전환에 의해 이완되지 않는다.
- 새로운 저항은 천천히 증가시킨다. 호나자가 반응함으로써 치료사는 길항근 운동에 저항을 주기 위해 다른 손을 움직인다.
- 환자의 상황에 따라 적응되는 것으로써 견인이나 압축을 사용한다.
- 반전은 필요에 따라 반복된다.
- 정적인 지시를 사용한다.
체간의 안정성
- 환자의 체간 굴곡근의 등척성 수축에 저항을 가한다. "환자 앞에서 내가 가하는 저항에 대항하여 계속 유지하세요" 다음에 치료사의 왼손으로 전방저항을 주도록하고, 오른 손을 환자 등으로 옮겨 체간 신전에 저항을 가하도록 한다. 다시 반대로 시행한다.
- 더 약한 근육군을 촉진하기 위해서 더 강한 근육군에서 기법을 시작할 수 있다.
- 안정시키는 활동은 약한 근육을 위한 강화기법에 선행될 수 있다.
- 이완을 위하여 환자에게 기법의 끝부분에서 모든 근육을 이완하도록 요구할 수도 있다.
3.4 반복신장(repeated stretch. 반복수축)
가. 초기 운동범위에서 반복신장(repeated stretch from beginning of range)
굴곡-외전-내회전 패턴의 신장
- 환자의 하지를 외측으로 회전시키고 나서 발목을 저측 굴곡-내반으로 두고 고관절을 충분히 신전, 내전, 외회전 시킨다.
- 굴곡-외전-내회전 패턴의 모든 근육이 팽팽하게 될때 근육이 재빨리 더 연장되는 동안 "지금"하고 준비지시를 한다. 신장된 후 즉시 "올리고"라고 지시한다.
- 치료사는 환자의 근육이 수축된다고 느낄때 전 패턴에 대해 저항을 가한다.
나. 전운동 범위에서 반복신장(repeated stretch through range)
하지의 굴곡-외전-내회전 패턴의 반복신장
- 환자의 하지를 굴곡-외전-내회전으로 움직이는데 대해 저항을 가한다. "발을 올리고 다리를 당기세요"
- 치료사가 환자의 다리를 신전-내전-외회전 방향으로 짧은 간격으로 뒤로 당기기 위해서 운동에 약간의 과저항을 주면서 "지금"하고 준비지시를 한다. 환자는 신장된 근육의 수축을 유지해야 한다.
- 신장 후 즉시 "다시 당기고, 더 강하게"라고 지시한다.
- 근육의 재신장에 따르는 증가된 수축에 대해 적절한 저항을 즉각 제공한다.
- 치료사가 환자의 근력이 감소되고 있는 것을 느낌에 따라서 신장과 저항을 반복한다.
3.5 수축-이완(contract-relax)
견관절 굴곡, 외전, 그리고 외회전 범위를 증가시키기
- 환자는 굴곡-외전-외회전 범위의 끝까지 팔을 움직인다. "손을 펴고 당신이 할 수 있는 한 높게 팔을 위로 드십시오"
- 치료사는 회전에 대한 강조와 함께 제한된 근육 또는 패턴(길항근)의 등척성 수축을 요청한다.
- 저항을 천천히 증가시킨다.
- 환자 또는 치료사는 운동을 의도하지 않는다.
- 충분한 시간(최소한 5초) 동안 수축을 유지한 후에 치료사는 환자에게 이완하라고 한다.
- 치료사와 환자 모두 점차적으로 이완한다.
- 관절 또는 신체부위는 능동적 또는 수동적으로 새로운 제한 범위로 재위치 된다. 만약 통증이 없다면 능동운동이 더 효과적이다.
- 새로운 제한 범위에서 모든 단계를 반복한다.
오른쪽 견관절의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간접적인 치료
- 환자는 자신의 오른쪽 주관절이 굴곡되고 오른팔이 지지된 채 편안한 자세로 눕는다.
- 환자의 오른손을 잡고 손목의 척측굴곡근의 등척성 수축을 요청한다. "당신의 손과 손목이 움직이지 않게 하십시오. 내 저항에 대응하십시오"
- 척측손목굴곡근과 전완 회내근의 등척성 수축에 저항을 가한다. 저항을 천천히 증가시킨다. 그리고 최소한 5초동안 통증이 없는 수준에서 저항을 유지한다. "내 저항에 계속 대응하십시오"
- 저항을 유지하고 있는 동안 환자의 오른쪽 견관절 특히 내회전에서 근활동을 검색한다.
- 치료사와 환자 둘다 천천히 그리고 완전히 이완한다. 자 천천히 이완하세요. 견관절 근육에 대한 영향에 변화를 주기위해서 전완을 더 많이 회외 또는 회내하거나 또는 더 많은 이완을 획득하기 위해서 같은 자세에서 기법을 반복한다.
3.6 유지-이완(hold-relax)
- 치료사 또는 환자는 수동적인 혹은 통증이 없는 가동범위 끝까지 관절 또는 체절을 움직인다. 능동운동이 더 효과적이다.
3.7 복제(replication)
- 기능적 활동의 운동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기법이다. 운동이나 활동의 결과를 환자에게 가르치는 것은 기능적인 작업(스포츠)과 self 활동에 중요하다.
3.8 PNF기법과 목적
1. 동작개시
# 율동적 개시
# 범위의 시작에서부터 반복신장
2. 동작학습
# 율동적 개시
# 등장성 혼합
# 시작범위에서 반복신장
# 전범위 반복신장
# 복제
3. 운동의 속도변화
# 율동적 개시
# 동적 반전
# 시작범위에서 반복신장
4. 근력증가
# 등장성 혼합
# 동적 반전
# 율동적 안정화
# 안정적 반전
# 시작범위에서 반복신장
# 전범위 반복신장
5. 안정성 증가
# 등장성 혼합
# 안정적 반전
# 율동적 안전
6. 협응력과 조절력 증진
# 등장성 혼합
# 율동적 개시
# 동적 반전
# 안정적 반전
# 율동적 안정
# 시작범위에서 반복신장
# 복제
7. 지구력 증진
# 동적 반전
# 안정적 반전
# 율동적 안정화
# 시작범위에서 반복신장
# 전범위 반복신장
8. 운동범위 증가
# 동적 반전
# 안정적 반전
# 율동적 안정화
# 시작범위에서 반복신장
# 수축-이완
# 유지-이완
9. 이완
# 율동적 개시
# 율동적 안정
# 유지-이완
10. 통증 감소
# 율동적 안정(또는 안정적 반전)
# 유지-이완
4. 환자 치료
- PNF철학은 집중적인 기능훈련을 하는 동안 전인(total human being)을 위한 적극적인 접근을 통하여 환자의 잠재력을 발휘하는 것을 의미한다. 효과적인 치료는 환자의 기능영역과 기능부전 영역을 알기 위한 완전하고 정확한 평가를 하는데 달려있다. 지속적인 사정(assessment)은 치료과정에서 치료를 조절하는 지침이 된다.
4.1 평가
1) 기능영역
- 통증이 없다.
- 강하다
- 움직이고 안정시킬 수 있는 능력
- 동작이 조절되고 협응된다.
2) 기능부전
가. 전반적인(기능적인) 소실
- 정적 : 자세를 유지하는 능력의 소실
- 동적 : 동작을 조절하거나 움직이는 능력의 소실
3) 구체적인 결함(기능적인 소실에 대한 이유)
- 통증
- 가동범위의 감소(관절 제한, 근육의 구축)
- 약화
- 감각 또는 고유수용성 감각의 소실
- 시각, 청각의 결함
- 운동조절 결함
- 지구력 부족
4.2 치료목표
- 일반적인 치료목표와 구체적인 치료목표를 정한다.
사례
1) 정적 기능부전
# 일반적인 목표 : 두부손상으로 균형을 못잡는 환자를 균형을 잡고 서게 한다.
# 구체적 목표 : 환자가 30초동안 팔을 사용하지 않고 유지하게 한다.
2) 통증으로 인한 기능부전
# 일반적인 목표 : 무릎통증 환자가 통증없이 2킬로미터를 10분내에 달리기
# 구체적인 목표 : 환자가 한쪽다리로 30초 동안 서있게 할 수있게 한다.
3) 움직이는 능력의 소실로 인한 동적인 기능부전
# 일반적인 목표 :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가 지팡이를 이용하여 2분이내에 50미터를 걷게 한다.
# 구체적인 목표 : ...
4.3 치료계획과 치료방안
- PNF는 신체에 영향을 주기 위하여 근수축을 사용한다. 근 수축이 환자의 상태에 적절하지 않거나 근 수축의 사용으로 인한 목표를 이루지 못한다면 치료사는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즉 열, 냉치료, 수동적인 관절운동, 연부조직 가동과 같은 방식이 PNF와 함께 사용되어 질 수 있다.
촉진패턴에 대하여
- PNF패턴은 세가지 면 모두에서 운동이 결합된다.
- 시상면 : 굴곡과 신전
- 관상면 또는 전두면 : 외전과 내전 또는 척추의 외측 굴곡
- 횡단면 : 회전
- 위와 같이 세가지 면에서 운동이 결합되므로 우리는 "나선상 그리고 대각선상"운동을 한다. 신장과 저항은 근육의 활동을 증가시킴으로써 패턴의 효과를 강화시킨다. 근활도의 증가는 패턴내에서 원위와 근위로 퍼지고 한 패턴에서 운동과 관련된 패턴으로 퍼진다(방산), 치료는 원하는 기능적 운동을 강화시키거나 또는 원하는 근육군을 강하게 하기 위해 근육(패턴)의 협력적인 결합으로부터 방산을 이용한다.
- 우리가 저항에 대항하여 패턴내에서 운동할때 협력작용을 하는 모든 근육은 수축할것이다. 패턴의 회전성 요소는 효과적인 저항을 위한 열쇠이다. 회전에 대한 올바른 저항은 전패턴을 강화시킬 것이다. 회전에 대한 너무 많은 저항은 안정적 수축을 깨뜨리거나 운동이 일어나는 것을 방해할 것이다.
- 사지의 근위관절에서 일어나는 운동을 기준으로 즉 견관절 굴곡-내전-외회전으로 패턴명이 정해진다. 2개의 길항적인 패턴 예를 들면 견관절 굴곡-내전-외회전과 길항근 패턴인 신전-외전- 내회전은 대각선을 이룬다.
- 체간과 사지는 완전한 협력근의 형태로써 함께 작용한다. 예를들면 견갑골의 전방거상과 함께 견관절 굴곡-내전-외회전 패턴은 전체운동을 완전하게 하기 위해 반대쪽으로 체간이 신전되고 회전된다. 만약 여러분이 협력근 결합을 안다면 패턴을 만들 수 있다. 또한 패턴을 안다면 협력근을 알수 있을 것이다.
- 패턴의 그루브(groove)는 사지가 가동범위내에서 움직임에 따라 손이나 발(원위 구성요소)에 의해 그려진 선이다. 머리와 목에 있어서 그루브는 정수리와 코, 턱이 지나는 면에 의해 그려진다. 상부체간에 대한 그루브는 견관절의 꼭대기 부분에 의해 그려지고, 하부체간에 대한 그루브는 고관절에 의해 그려진다. 체간과 상지가 함께 작용하기 때문에 그것의 그루브는 만나거나 평행한다.
패턴의 전 가동범위를 통해 구심적으로 움직이기 위해서
1. 사지는 "근육이 최대한 연장된 범위"에 위치하게끔 한다.
1) 모든 주동근은 연장되어야
2) 통증이 없고 관절에 스트레스가 없어야
3) 체간이 회전되거나 좌우로 구르지(roll) 않아야
2. 사지는 "근육이 최대한 수축된 범위"루 움직이게 한다.
1) 주동근이 수축범위 끝에 도달하게 한다.
2) 길항근군은 길어여 있다.
3) 통증이 없고 관절 스트레스가 없다.
4) 체간이 회전되거나 좌우로 구르지 않아야
패턴의 정상 타이밍
1. 원위부(손, 손목, 발, 발목)는 우선 충분한 가동범위에 걸쳐 동작이 일어나며 그 자세를 유지한다.
2. 다른 구성요소는 운동이 거의 동시에 완성되도록 하기 위해 함께 부드럽게 움직인다
3. 회전은 운동의 빠뜨릴 수 없는 요소이고 운동의 시작에서부터 끝가지 저항을 받게 한다.
패턴을 바꾸는 방법
1. 기능을 한 사지패턴에서 중간관절의 활동을 바꿈으로써 패턴을 변화시킨다.
- 견관절 굴곡-외전-외회전 패턴에서 팔굽관절을 신전에서 굴곡으로 움직이면서 행한다. 환자의 손은 자신의 머리에 스친다. 다음번에 같은 패턴으로 팔굽관절 굴곡에서 신전자세로 움직여서 환자의 손은 높은 곳에 있는 사물을 향해 뻗을 수 있다.
2. 두개의 관절을 지나는 근육에 대한 효과를 위하여 사지패턴에서 중간관절의 활동을 바꿈에 의해서 패턴을 변화시킨다.
- 고관절굴곡-내전-외회전패턴에서 무긒관절을 신전에서 굴곡자세로 움직이면서 행한다. 이 결합에 있어서 슬괵근은 활발히 짧아진다. 다음에 같은 패턴으로 무릎관절을 똑바로 펴면서 이용한다. 이 결합은 슬괵근을 신장시킨다.
3. 중력의 영향을 바뀌기 위해 환자의 자세를 바꿈으로써 패턴을 변화시킨다.
- 고관절 신전-외전-내회전 패턴은 외전근이 중력에 대항하여 작용하도록 하기 위해 옆으로 누운자세에서 행한다.
4. 환자의 자세를 더 기능적인 자세로 바꿈으로써 패턴을 변화시킨다.
- 상지패턴은 운동기능이 통합된 먹기와 같은 기능적인 활동과 앉은 자세에서 숙달된다.
5. 시각적 역할을 이용하도록 환자의 자세를 바꿈에 의해서 패턴을 변화시킨다.
- 환자가 운동할때 발과 발목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환자는 반쯤 앉은 자세를 취하게 한다.
견갑골과 골반
- 견갑골과 골반의 운동은 목, 체간과 사지의 치료를 위해 중요하다. 상지의 적당한 기능을 위해서는 견갑골의 안정성과 운동성이 둘다 필요하다. 골반의 운동성과 안정성은 체간과 하지의 적절한 기능을 위해서 요구된다.
상지
하지
목
체간
매트활동
보행훈련
중추기능
- 안면근
- 혀운동
- 삼키기
- 언어장애
- 호흡
일상생활활동
치료적 운동의 원리와 실제
11.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 신체의 여러부위에서 구심성 수용기로부터 원하는 동작을 일으키기 위하여 자극신호를 사용한다. 이 기법의 하나인 길항근의 역전은 스포츠재활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된다. 왜 그런가하면 이 기법이 매일의 생활과 스포츠활동 수행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 신경생리학자 Sherrington박사는 1950년대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 운동법을 발전시키기 위해서 Herman Kabat 박사가 사용했던 기본개념을 제시했다. 이 방법은 처음에는 신경근장애의 치료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시간이 지나 정형외과적 장애에 적용시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PNF는 손상된 근육과 관절의 유연성 및 근력, 조정력을 회복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1) 촉진
- PNF는 운동신경세포로부터의 반응을 촉진하는 피부신경세포, 근육신경세포, 건신경세포, 언어적 신경세포, 청각신경세포 등의 구심성 감각기관으로부터 억제성 및 흥분성 자극을 결합하여 결과적으로는 원하는 동작을 할 수 있게 해준다.
- 예를들어 환자의 다리위에 위치한 운동사의 손은 피부감각을 자극하고, 해당 근육에 대해 운동사가 적용하는 신장력은 근방추, 골기건기관을 자극하고, 다리가 움직이는 방향을 볼 수 있는 환자의 능력은 청각을 자극하고, 운동사의 지시는 언어적 자극을 준다. 이러한 구심성 자극은 운동신경반응에 영향을 미친다.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테스트
- 반듯하게 누워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한손은 햄스트링, 한손은 사두근위에 놓는다. 다리를 들어 근력을 평가한다. 이번에는 양손을 사두근에만 두고 근력검사를 시행한다. 사두근에만 양손을 둔 테스트에서 근력이 향상된다. 이유는 사두근에만 손을 둔 경우 햄스트링 표면의 지각신경에서 발생하는 억제작용없이 동작을 수행하는 근육으로의 촉진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 운동직전에 PNF 동작에서 제공되는 신속한 스트레칭은 근방추 및 골지건기관 기관들의 자극으로부터 신장반사를 생성해낸다. 이것은 근육의 보다 증가된 반응을 야기한다.
- 실제적인 운동을 시행하기에 앞서 활동을 통해서 수동적으로 환자의 다리를 잡아주는 것은 환자에게 자신의 다친 다리가 좌우로 움직여야 하는 방향 및 패턴을 깨닫게 해주는 시각적인 피드백을 제시해준다. 이러한 pnf가 생략되면 환자는 자신이 무엇을 해야하는지 혼란스러워하고, 근육의 치료성과가 저하됨을 알게 될것이다. 환자가 이 패턴을 올바르게 수행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한 확신이 확고할수록 이러한 운동이 보다 더 강한 동작이 이루어진다.
- 언어적 자극은 일반적으로 운동선수에 사용된다. pnf에서 언어자극도 환자가 원하는 활동 패턴을 올바르게 수행하도록 만들어주기 위해 필수적이다. 간결하면서도 시기 적절한 말을 이용한 자극은 향상된 근육반응을 용이하게 해준다.
2) 동작패턴
- 기본적으로 PNF는 중추신경계 자극이 단면적인 동작(straight-plane movement)이 아닌 대면동작(mass movement pattern)을 만들어 낸다는 사실을 전제로 한다. 자연적인 동작은 직선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나선형으로 움직이면서 동시에 대각선 동작을 병행하는 다면 동작패턴으로 나타난다.
- 다시말해 모든 주요 신체부위가 3가지 다면 요소를 갖는 패턴으로 움직인다. 굴곡-신전, 외전-내전, 회전으로 구성된다. PNF는 팔다리 뿐만 아니라 체간에 대해서도 응용할 수 있지만 스포츠의학에서는 주로 사지로 범위를 제한한다.
- 상지에서는 외회전이 항상 굴곡과 함께 일어나고(내회전은 신전과 함께), 하지에서는 내전과 함께 이루어진다. 예를들어 상지의 경우, 어께가 신장에서 굴곡으로 나아갈때 해당동작이 내전 혹은 외전하는지에 관계없이 항상 외부로 회전한다. 따라서 팔이 신전될때 어께가 안쪽으로 회전하고, 이렇게 변화하는 동작은 D1패턴에서의 내전이거나 D2패턴에서의 외전이 된다.
- 이것은 스포츠와 일상동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자연적인 패턴이다. 예를들어 공을 오버핸드로 던질때, 팔은 외전에서 시작하여 굴곡, 외회전으로 진행된다. 공을 던지는 동시에 신전, 내전, 외회전 상태로 팔을 움직이면서 팔로우스루가 된다. 축구공을 찰때는 신전, 외전, 내회전에서 굴곡, 내전, 외회전의 팔로우스루 상태가 된다.
- 각각의 자세에서 관절은 끝나는 시점마다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으로 움직인다. 예를들어 환자가 어깨를 신전, 외전, 내회전하면서 팔꿈치를 신장하고, 전완을 회내시키고, 손목을 척골쪽으로 신전하고, 손가락을 신전한다면 그 마무리자세는 D1 굴곡자세 즉 어깨 굴곡, 내전과 함께 외회전, 팔꿈치 굴곡, 전완 회외, 손목요골쪽으로 굴곡, 손가락은 굴곡되고 내전된다. 이때 어떤 패턴을 이용하던지, 팔꿈치와 무릎이 굴곡에서 신장으로 또는 신장에서 굴곡으로 움직일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팔꿈치와 무릎이 동작의 마지막에 있는 자세는 그 동작의 시작에서의 자세와 정반대가 된다.
- 271페이지 PNF패턴 그림 참조.
- 본질적으로 최근에 PNF에 대해 쓰여진 모든 내용들은 Knott와 Voss(1968)의 연구에 기반을 두고 있다.
3) 원리
가. 운동사가 손을 대는 것은 심부압력수용체의 적절한 촉진을 제공하는데 중요한 정보가 된다. 양손은 환자의 근육을 자극하기 위하여 사지가 움직이는 쪽을 향해 근육표면상에 놓아야 한다. 적절하게 적용되는 압력을 이용한 도수접촉 또한 올바른 방향을 환자의 사지가 움직이도록 인도하여 준다.
나. 환자가 최대로 노력을 보이고 있는 경우에는 중간정도의 목소리톤으로 언어적 신호를 준다. 추가적인 힘이 더 요구될때에는 비교적 강하고 날카로운 언어적 명령을 사용한다. "미세요, 당기세요, 고정하세요, 긴장을 푸세요, 돌리세요, 교차하세요"
다. 테크닉이 환자에게 통증을 주어서는 안된다. 통증은 반사적 이탈을 만들고 촉진작용보다는 활동의 억제를 야기한다.
라. 운동을 시작하기 전 PNF 패턴에서의 적절한 지시는 근육이 최적의 촉진을 받을 것인가의 여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환자는 활동의 순서, 대각선형 패턴, 활동의 알맞은 속도 등을 포함하는 간단한 지시를 받아야 한다. 환자가 운동전에 예정되어 있는 사항을 알고 운동을 이해하고 있다면 그 환자는 보다 적극적으로 운동을 소화해낼 수 있을 뿐 아니라 근육으로부터 더 강한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마. 회전은 대각선형 동작의 중요 구성요소이다.
바. 관절표면을 분리하기 위한 견인이나 관절 표면을 압박하기 위한 접근을 하는 것은 관절의 고유수용신경 말단을 자극한다. 일반적으로 견인은 잡아당기는 동작에 사용되며, 접근은 밀어내는 동작에 사용된다.
사. 동작패턴의 시작 직전에 실시한 신속한 스트레칭은 근육을 보다 강한 초기반응으로 촉진하기 위해 스트레치 반사작용을 일으킨다.
아. 유연한 동작범위에 걸쳐 정확하게 동작이 세심하게 수행된다. 갑작스럽게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환자의 근육이 최대 근력이 발휘될때까지 등척성 수축을 시켜준다. 등척성운동시 운동지속시간을 유지(hold)시켜 준다.
자. 운동사는 적합한 신체 메카니즘을 사용해야 한다. 자신의 몸을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이용하면서 에너지를 보존해야 한다.
4) 테크닉
- 고정-이완, 수축-이완, 느린 역전고정-완화 등과 같은 PNF의 스트레칭법은 제 5장에서 논의한다.
- 근력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테크닉에는 반복수축, 리드미컬한 시작, 느린역전, 느린역전-고정, 리드미컬한 안정화 등이 있다.
가. 반복수축은 동작의 범위내에서 특정영역에서 취약점을 갖는 근육이나 매우 약한 근육에 적용되는 테크닉이다. 약한근육의 반복적인 등장성 활동은 피로가 발생할때까지 수행시킨다. 등척성활동을 추가할 수 있다.
나. 리드미컬한 시작은 동작을 시작할 수 있는 근육의 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것은 수의적인 이완과 수동적 움직임, 주동근의 반복적인 등장성활동을 포함한다. 이 테크닉은 파킨슨병과 같은 신경근육계질환의 경우 환자들이 동작을 시작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사용된다. 길항근의 역전을 수반하는 이 테크닉은 스포츠재활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이 테크닉의 대부분은 일상적인 활동을 모방하고 있는데....
다. 느린역전(SLOW REVERSAL)은 동작범위 전반에 걸쳐 운동사가 최대의 저항력을 제공하는 길항근의 역전 테크닉(Reversal of antagonist technique)이다. 이것은 반대동작에 가해지는 저항력이 뒤따른다. 예를들어 운동사는 굴곡으로 진행하고 있는 상지의 D2패턴에 저항을 가한다.
라. 리드미컬한 안정화는 주동근군과 길항근의 등척성 활동을 이용한다. 운동사는 길항근의 등척성활동을 중단시키지 않을 정도의 저항을 가한 다음 주동근군의 등척성활동에 저항을 가한다. 사지를 움직이지 않은 상태에서 여러차례 이 테크닉을 반복한다. 동작 범위내의 여러지점에서 이것을 반복할 수 있다.
- 이상의 테크닉은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12. 근력강화의 원칙
- SNAP원칙을 따른다.
Specific exercise(특수한 운동), No pain, Attainable goals, Progressive overload.
Specific exercise(특수한 운동)
- SAID원칙이 필요하다. Specific adaptation to imposed demands 즉 근육은 근육에 주어진 요구에 따라 적응하고 움직이게 된다. 예를들어 환자가 가벼운 물체를 많이 반복해서 들어올리면 근 지구력이 높아진다. 환자가 근력을 높이고자 한다면 중략을 1RM에 가깝게하고 운동은 6회이하로 반복한다.
- 근피로의 회복이 30-90초에 가장 빠르게 회복되므로 반드시 휴식시간을 60초정도 갖는다.
- 근육의 반사억제는 손상이나 운동을 하지 않음으로써 일어나는데 또한 수술후에도 즉시 근육의 약화가 나타난다. 이러한 근육의 급격한 쇠약은 신경활동의 감소때문이다. 근력은 근섬유와 신경조절로 결정된다. 근력이 초기에 급속도로 증가한 것은 근신경의 동원, 효율성, 조정력, 운동단위, 길항근 억제, 주동근 움직임의 촉진에 대한 능력과 감도가 증가된 것에 기인한다고 한다.
No pain(무통)
첫댓글 이제 개념은 알거 같다. pnf 패턴 운동동작 자료만 구하면 되겠는데..........
동작도 대충 알거 같다. 몸에 익히는 것이 더 중요하다. 정확하게 익히는 것이 중요한가 실천해서 익혀 사용하는 것이 중요한가의 문제가 다시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