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09년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인건비 기준(안) 검토 |
|
|
|
|
|
|
1. 주요 개정 내용
❍ ’09년도 종사자 기본급 ’08년도 대비 3% 인상 ❍ 생활복지사 근무수당 40천원→50천원으로 10천원인상 ❍ 생활복지사, 생활지도원의 직위분류 세분화 ❍ 급여체계 개편(기본급+수당체계 → 연봉제 체계로 개편) |
1) 종사자 기본급 인상
○ 개정내용
- ’09년도 종사자 기본급을 ’08년도 대비 3%인상
○ 개정사유
- 임금인상을 통한 종사자의 처우 개선
※ 정부 예산편성지침 중 인건비 가이드라인 준수(인건비 3%이하 인상)
2) 생활복지사 수당인상
○ 변경내용
- 근무수당을 ’08년 40천원→’09년 50천원으로 10천원인상
○ 변경사유
- 생활복지사의 사기진작을 위해 10천원 인상(생활지도원수당은 60천원임)
3) 생활복지사·생활지도원의 직위분류 세분화
○ 변경내용
- ‘과장 및 생활복지사’ → 과장급, 선임, 직원생활복지사로,
생활지도원 → 선임, 직원 생활지도원으로 분류체계 세분화
○ 변경사유
- 생활복지사 및 생활지도원은 근무연수, 직위가 세분화 되어 있는 현실 반영
4) 기본급 급여체계 개편
○ 변경내용
- ‘기본급+수당체계’ → ‘연 급여체계로 변경, 상여수당 등을 기본급으로 전환하여 매월 봉급수령액 차이를 없앰
○ 변경사유
- 매월 종사자 급여 변동폭 감소로 생활안정 유도 및 지자체·시설 회계담당자의 행정업무 감소
2. 2009년 사회복지생활시설 종사자 인건비 기준(안)
2009년 사회복지생활시설 종사자 기본급 가이드라인
(단위 : 천원/월)
직위 (호봉) |
원장 |
사무 국장 |
생활복지사 |
생활지도원 |
기능직 |
관리인 |
촉탁 의사 | |||
과장급 |
선임 |
직원 |
선임 |
직원 | ||||||
1호봉 |
1,764 |
1,509 |
1,473 |
1,456 |
1,438 |
1,388 |
1,339 |
1,189 |
1,319 |
2,107 |
2호봉 |
1,820 |
1,564 |
1,527 |
1,500 |
1,490 |
1,435 |
1,381 |
1,233 |
1,363 |
|
3호봉 |
1,877 |
1,618 |
1,579 |
1,544 |
1,542 |
1,483 |
1,426 |
1,277 |
1,404 |
|
4호봉 |
1,935 |
1,672 |
1,633 |
1,588 |
1,594 |
1,532 |
1,469 |
1,321 |
1,449 |
|
5호봉 |
1,993 |
1,726 |
1,687 |
1,633 |
1,648 |
1,581 |
1,513 |
1,366 |
1,493 |
|
6호봉 |
2,091 |
1,822 |
1,782 |
1,762 |
1,741 |
1,670 |
1,599 |
1,453 |
1,578 |
|
7호봉 |
2,151 |
1,878 |
1,837 |
1,816 |
1,796 |
1,719 |
1,645 |
1,498 |
1,623 |
|
8호봉 |
2,212 |
1,935 |
1,892 |
1,871 |
1,851 |
1,769 |
1,688 |
1,545 |
1,668 |
|
9호봉 |
2,272 |
1,992 |
1,949 |
1,927 |
1,904 |
1,820 |
1,735 |
1,591 |
1,714 |
|
10호봉 |
2,333 |
2,050 |
2,005 |
1,983 |
1,960 |
1,871 |
1,781 |
1,638 |
1,759 |
|
11호봉 |
2,405 |
2,118 |
2,073 |
2,049 |
2,027 |
1,932 |
1,839 |
1,697 |
1,817 |
|
12호봉 |
2,454 |
2,166 |
2,120 |
2,097 |
2,073 |
1,976 |
1,877 |
1,737 |
1,856 |
|
13호봉 |
2,504 |
2,214 |
2,166 |
2,143 |
2,120 |
2,018 |
1,914 |
1,775 |
1,893 |
|
14호봉 |
2,552 |
2,262 |
2,214 |
2,190 |
2,166 |
2,060 |
1,953 |
1,815 |
1,931 |
|
15호봉 |
2,601 |
2,310 |
2,261 |
2,237 |
2,213 |
2,102 |
1,991 |
1,856 |
1,968 |
|
16호봉 |
2,661 |
2,368 |
2,319 |
2,293 |
2,269 |
2,154 |
2,038 |
1,905 |
2,017 |
|
17호봉 |
2,710 |
2,416 |
2,365 |
2,340 |
2,316 |
2,196 |
2,077 |
1,944 |
2,056 |
|
18호봉 |
2,761 |
2,464 |
2,413 |
2,387 |
2,362 |
2,238 |
2,115 |
1,984 |
2,092 |
|
19호봉 |
2,811 |
2,511 |
2,460 |
2,434 |
2,407 |
2,281 |
2,154 |
2,023 |
2,131 |
|
20호봉 |
2,860 |
2,559 |
2,506 |
2,480 |
2,454 |
2,322 |
2,190 |
2,064 |
2,170 |
|
21호봉 |
2,930 |
2,627 |
2,574 |
2,547 |
2,520 |
2,385 |
2,249 |
2,124 |
2,228 |
|
22호봉 |
2,979 |
2,675 |
2,621 |
2,592 |
2,565 |
2,426 |
2,288 |
2,162 |
2,265 |
|
23호봉 |
3,029 |
2,723 |
2,667 |
2,587 |
2,612 |
2,468 |
2,324 |
2,202 |
2,303 |
|
24호봉 |
3,078 |
2,771 |
2,715 |
2,686 |
2,658 |
2,511 |
2,363 |
2,243 |
2,342 |
|
25호봉 |
3,128 |
2,819 |
2,762 |
2,733 |
2,705 |
2,552 |
2,400 |
2,282 |
2,381 |
|
26호봉 |
3,177 |
2,867 |
2,808 |
2,780 |
2,751 |
2,595 |
2,439 |
2,321 |
2,417 |
|
27호봉 |
3,227 |
2,915 |
2,856 |
2,826 |
2,798 |
2,637 |
2,477 |
2,361 |
2,456 |
|
28호봉 |
3,278 |
2,963 |
2,903 |
2,873 |
2,844 |
2,679 |
2,514 |
2,400 |
2,493 |
|
29호봉 |
3,327 |
3,011 |
2,951 |
2,920 |
2,889 |
2,721 |
2,553 |
2,441 |
2,531 |
|
30호봉 |
3,377 |
3,059 |
2,997 |
2,967 |
2,936 |
2,765 |
2,592 |
2,481 |
2,570 |
|
2009년 사회복지생활시설 종사자 수당 가이드라인
(단위 : 천원)
수당의 종류 |
지급대상 |
근무경력 |
지급액 |
지급회수 및 지급일 | |
(1) 상여금 |
|
|
|
|
|
명절휴가비 |
전 종사자 |
|
봉급액의 |
100% |
봉급액의 50%씩 연 2회, 설과 추석이 속한 달의 보수지급일 (또는 설과 추석 전 15일이내에 시설장이 정한 날) |
(2) 특수근무수당 |
|
|
|
|
|
가)생활복지사 수당 |
생활복지사 |
|
정액 |
50 |
매월 보수 지급일 |
나)생활지도원 수당 |
생활지도원 |
|
정액 |
60 |
매월 보수 지급일 |
다)조리․위생수당 |
기능직 |
|
정액 |
40 |
매월 보수 지급일 |
(3) 연장근로수당 |
규정된 근무시간 외에 연장근로를 한 종사자 |
연장근로시간당 통상임금(보수월액) ×1/209×1.5] |
연장근로를 한 다음달 보수 지급일 | ||
(4) 가족수당 |
전종사자 |
정액 20 (배우자 30) |
세부기준은 공무원기준 참조 |
※ 각 시설이 근로기준법 등을 준수할 수 있도록 지도요망.
※ 주 44시간 근무제 시설의 연장근로시간당 통상임금(보수월액)*1/226*1.5 적용
※ 공무원 대비 생활복지사 인건비 수준 비교
(단위 : 천원)
구분 |
1호봉 |
10호봉 | ||||
생활복지사 |
공무원 |
급여율 |
생활복지사 |
공무원 |
급여율 | |
월평균급여 (연평균급여) |
1,613 (19,356) |
1,630 (19,556) |
99% |
2,159 (25,902) |
2,425 (29,098) |
89% |
주) 1. 공무원은 사회복지직 8급기준으로 기준급여 계산
2. 시간외 수당은 임금총액계산시 제외
3. 가족수당은 배우자가 있는 것으로 가정(월 5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