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의 무게 단위sssss ㆍ면방식에서는 181.44kg의 실을 1곤이라 한다. ㆍ생사 37.5kg을 1곤이라 한다. ㆍ마사 65.4kg을 1곤이라 한다.
면사
면솜을 원료로 한 실
모사
양모를 원료로 한 실
수봉사
손바느질에 사용하는 실
심사
연사에서 중심이 되는 실
연사
1올 또는 2올 이상의 실에 꼬임을 준 실
원사
방적 또는 방사 직후의 가공되지 않은 실
위사
위사(나비) 방향의 씨실
은사
은박을 사용한 실
제연사
연사한 2올 이상의 실을 합쳐 반대 방향으로 꼰 실
코머사
정소면기를 거쳐서 된 실(주로 면사인 경우에 사용됨)
콘
실을 원뿔 모양으로 감은 것
타래
실을 물레에 감아 내어 일정하게 묶은 것
합사
2올 이상을 합사하고 꼬임을 주시 않은 실
혼방사
2가지 이상의 섬유를 혼방한 실
행크
방적사 길이의 단위로 방적사의 번수 표시 ㆍ면사 840yd ㆍ소모사 560yd ㆍ방모사 256yd
갑사
경사, 위사 모두 생사로 짠 견사 직물
개버딘
능선이 위 방향에 대하여 45° 또는 63°가 되도록 경사 밀도 를 높게 한 2/2 또는 3/1의 능직물
거니
일반적으로 황마사를 경사, 위사에 사용한 마대용 평직물 또는 능직물
거즈
약연사로, 평조직으로 짜고 표백 후 풀을 먹이지 않고 다듬 질한 것으로 위생용 재료, 내의 등에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가제라고도 함
정의
견
견사로 제직한 직물 장단점 : 양모보다 가벼우며 가늘고 부드러운 촉감이 있다 탄성이 좋으며, 광택이 뛰어나다 마모에 약하며, 표면에 잔털이 생기기 쉽고 일과에 황변하고 취화한다
용도 : 한복, 스카프, 여성의류, 넥타이 등 관리 : 물세탁은 중성세제를 사용하며, 염소계 표백제를 사용할 경우 변색되고 손상되므로 산소계 표백제를 쓰는 것이 좋고, 가능한 드라이크리닝이 안전하다, 건조는 직사광선을 피하는 것이 좋다
견사포
체 등에 사용되는 견직물
고사
경사는 생사, 위사는 생사 또는 숙사로 된 사직물
공단
두껍고 무늬가 없는 주자직의 윤기 있는 비단
광목
조포의 일종으로 경사, 위사에 18Ne 이하(면의 번수)의 단사를 사용한 면직물
교
섬유의 종류가 다른 실을 사용하여 짠 직물
금릉직
정사각형 의장지에 능선과 위사의 각도가 45°를 넘는 능직
기포
모사를 성글게 짜서 깃발감으로 사용하는 직물
나이론
미국의 듀퐁사는 1938년 폴리아미드 섬유인 나일론을 발명하였음
장단점 : 신장, 마찰등에 강하여 내구성이 좋다 흡수성이 낮아 오염이 쉽게 제고도고, 빨리 건조된다 염색성이 좋고 색상이 선명하다 정전기 발생이 많으며, 필링현상이 발생된다 자외선에 약하며 흰 것은 황색으로 변한다 특수 나이론(아라미드)은 강력이 우수하고, 열에 강하다
용도 : 스타킹, 양말, 스포츠의류, 레저용품, 카펫트, 커튼, 벨트, 배낭 등 피복 및 산업용소재
관리 : 나이론은 열가소성이 있기 때문에 세탁온도는 40℃이하가 적당 오염이 쉽게 되므로 흰색은 유색제품과 분리 세탁
능직
조직점이 대각선으로 배열된 조직. 사문 조직이라고도 함
담요
양모, 면 또는 인조 섬유나 그 외 혼방사를 사용한 능직 또는 평직의 기모 직물. 모포라고도 한다
데님
경사에 20Ne 이하(면 번수)의 색사, 위사에 표백사, 또는 색사를 사용 하는 2/1, 3/1의 두꺼운 직물(아동복, 작업복감 등)
드레이프
선염한 두꺼운 실내 장식용 직물
정의
디머티
경사, 위사에 30~40Ne(면 번수) 또는 60~80Ne 단사를 사용하여 평직으로 제직한 것으로서, 바닥실 이외에 평행사 또는 굵은 실로서 경줄무늬 또는 바둑무늬를 나타낸 직물(여름철 부인복, 아동복 등)
론
경사, 위사에 60Ne(면 번수) 이상의 면사를 사용한 밀도가 낮은 평직 물로서, 표백 후 약간 다듬질하여 마직물과 같은 느낌을 주는 면직물 (손수건, 블라우스, 조화, 자수 가공 공생지 등)
레이온
재생셀룰로오스를 주성분으로 한 인조섬유를 레이온 또는 인견이라 한다
장단점 : 흡수성이 크다 염색성이 좋지만 습윤시 강도는 현저하게 떨어진다 신장회복성이 좋지 못하며, 구김이 생기기 쉽다 레이온은 고강도, 저신도로서 면섬유에 가깝고, 건습강도가 크다. 또한 팽윤성이 적기 때문에 형태안전성이 좋다
용도 : 양복안감, 넥타이, 잠옷 및 여성의류에 많이 사용한다 면과 혼방하였을 때 순면제품 보다 촉감과 외관이 좋아 면 대용으로 많이 쓰인다 나이론,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등 합성섬유와 혼방에 많이쓴다 관리 : 알카리성 용액에서 크게 팽윤되고 강도가 줄어들므로 세탁 탈수시에 주의를 요하며 심하게 비비지 않아야 한다
마
여름철 피복소재로 많이 사용되는 모시(저마), 삼베(대마)를 말한다
장단점 : 광택이 있으며 강도는 크지만 신도는 적다 수분의 흡수, 발산이 빠르다 용도 : 하절기용 피복, 스카프, 로프(대마) 등
관리 : 세탁시 심하게 비비지 말아야 하며, 형광증백제가 함유된 세제를 사용할 경우 광택이 좋지 않다
멜턴
축융 가공하여 바닥 조직을 보풀로 덮은 방모 직물 또는 이와 비슷한 직물
면
면사를 사용한 직물로 섬유소비량의 50% 가까이 차지할 만큼 가장 많이 사용되는 섬유이다
장단점 : 촉감이 부드럽고 광택이 있다 속이 비어있기 때문에 가볍고, 보온성이 크다 흡수성이 있으므로 염료의 침투가 쉽고, 위생적이다 알카리에는 강하나 산에는 약하며, 쉽게 구김이 발생한다
용도 : 내의류, 침구류, 양말, 이불솜, 케주얼복 등 위생관련 제품 내구성을 고려하여 대부분 폴리에스테르와 혼방된 원단으로도
많이 사용된다
정의
양모
면양의 털을 양모라 하여 다른 동물모와 구별한다
장단점 : 따뜻한 섬유이며 습기를 쉽게 흡수하고 발산한다 탄력성이 우수하며, 불에 잘타지 않는 난연성이다 염색성이 우수하고, 쉽게 더러워지지 않는다 표면에 스케일이 있어 축융성이 있다
용도 : 정장복지, 내의, 양말, 모포, 카펫트, 스웨터, 실내장식 등
관리 : 양모는 축융성 때문에 세탁시 수축되는 결점이 있어 수축 방지가공(방축가공) 되지 않은 제품은 드라이크리닝을 하는 것이 안전하며 비비거나 심하게 짜면 수축이 많이 발생된다
장기간 보관시에는 방충제와 함께 밀폐된 용기에 보관하는 것 이 좋다
바바리
면 개버딘으로 두둑이 잘 나타나도록 짠 다음, 방수 가공한 것
법단
주자 바탕에 단일색이고 비교적 작은 무늬가 있는 모본단보다 얇은 견직물
사조직
경사는 1조의 지경사와 익경사로 구성되고 위사 1올을 삽입할 때마다 익경사가 지경사의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교차되어 투공 효과를 내는 조직
삼원조직
평직, 능직, 주자직을 말함
샴브레이
경사에 20~40Ne(면 번수) 의 색사, 위사에 20~40Ne의 백사를 사용 하여 경위사 합계 밀도 180~300올/5cm 정도의 평직으로 하고, 일종 의 이색 효과를 나타낸 직물(아동복, 부인복, 블라우스, 셔츠감 등)
서지
능선이 위사 방향에 대하여 거의 45°각도를 가진 2/2 능직물
선염 직물
염색한 섬유로 만든 실이나 선염사로 제직한 직물
소창직
1) 이색 면사 또는 선염 면사를 사용하여 평직, 능직, 주자직 또는 변화조직 등으로 한 뚜꺼운 직물(주로 면포)
2) 주로 하급 선염 면사를 사용하여 줄무늬 또는 바둑무늬를 나타낸 직물
심지
의복용 심에 사용되는 직물의 총칭
아세테트섬유
셀룰로우스를 아세탈화하여 얻어지는 초산셀룰로우스로 만든 섬유
장단점 : 견과 유사한 촉감과 광택을 가지고 있다 수분율이 적으며, 건습강도가 적으며 염색성이 좋지 못하다 신장회복율이 크기 때문에 구김이 잘 생기지 않는다
용도 : 여성용 의류, 넥타이, 양복안감, 자수용, 라벨용 등
관리 : 물세탁시 광택이 저하되므로 중성세제를 사용하여 35℃이하 에서 세탁하는 것이 좋다
용어
정의
양단
주자 바탕에 무늬를 나타낸 문직물, 무늬 부분은 위이중직이다
융단(카펫)
파일 직물로서 마루에 까는데 사용
아크릴섬유
나일론, 폴리에스테르와 함께 3대 합성섬유 중의 하나이며 주로양모 대용으로 사용되는 섬유
장단점 : 촉감이 부드럽고 가벼우며 보온성이 좋고 일광에 강도변화 가 거의 없으며, 염색성이 좋고 색상이 화려하다 연소시 유독성 가스를 많이 발생하고 흡수성이 나쁘며 정전기 발생이 많다
용도 : 양모 대용으로 많이 사용되며 모포, 스웨터, 카펫트, 인조잔디 등
관리 : 세탁시 온도(40℃이하)에 유의해야 한다
저지
연사 방향이 다른 방모 단사 등을 1올씩 사용해서 축융하여 편성물과 같은 느낌이 나는 직물
주자직
경사, 위사의 교착점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고 경 또는 위사의 푸로팅이 많은 조직으로 종광수에 따라서 몇 매 주자직이라 함
캐시미어
캐시미어모를 사용한 모직물의 일종
크레이프직
조직에 의하여 직물면에 모래를 뿌려 놓은 석 같은 겉모양을 나타낸 직물
파일직물
한 면 또는 양면에 파일을 가진 직물의 총칭
평직
경사, 위사가 1올씩 교대로 교차한 조직
포플린
경사의 밀도를 위사보다 높게 하여 위사 방향에 두둑을 나타낸 평직물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는 외형적으로 나일론과 유사하지만 면섬유나 양모섬유 등과 혼방성이 우수하다
장단점 : 신장, 마찰 등에 강하여 내구성이 좋고 열에 강하다 흡수성이 적어 정전기가 많이 발생하며 염색성이 좋지 않다 필링현상이 발생나 내후성이 좋고 구김이 적다 일광에 강도변화가 거의 없으며, 내약품성이 좋다 용도 : 이불솜, 방한복용 패드, 자동차 안전벨트, 커튼 등
관리 : 세탁시 온도는 40℃ 이하가 좋다. 고온세탁시에는 열가소성이 있기 때문에 구김이 고정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헤링본능직
파릉직의 일종으로 능선에 의하여 산 모양의 무늬를 나타내는 직물 (일명 HBT라고 칭하며 과거 전투복지로 사용)
후염직물
제직한 다음에 염색한 직물
후직물
합사 또는 연사를 사용한 두꺼운 직물(운동화감, 공업용 재료 등)
용어
정의
가연성
직물 등의 불붙기 쉬운 정도
강연도
직물 등의 굴곡 변형에 대한 저항의 정도
내화도
직물 등의 불에 대한 저항의 정도
내수도
직물에 대한 물의 통과, 침투 등에 대한 저항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물이 직물의 한 면으로부터 통과하여 다른 면으로 나오는 경우에 필요로 하는 압력, 또는 통과에 걸리는 시간으로 나타냄
누수도
직물에 대한 물의 통과, 침투 등에 대한 저항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일정 시간 내에 직물을 통과하는 물의 부피로 나타냄
밀도
1) 직물을 구성하고 있는 경사 및 위사의 단위 간격 사이의 올수 2) 편직물을 구성하고 있는 웨일 및 코스의 단위 간격 사이의 올수
발수도
직물에 대한 물을 튀기는 정도
방수도
내수도, 누수도, 발수도의 총칭
방염도
가연도와 내화도의 총칭
방추도
직물 등이 가지고 있는 주름의 회복 능력 및 주름에 대한 저항의 정도
번수
실의 굵기를 나타내는 단위
변동계수
표준 편차의 평균값에 대한 백분율
섬도
섬유 및 필라멘트사의 굵기
수축률
실이나 직물을 습윤 처리한 후, 줄거나 늘어난 길이의 처음 길이에 대한 백분율
신장률
시료가 늘어났을 때의 길이와 원래 길이의 차를 후자에 대한 백분율 로 나타낸 것
유지 함유량
섬유에 부착되어 있는 유지분
인열 강도
직물 등을 찢을 때의 강도
인장 강도
시료를 잡아당겼을 때의 강도
파열 강도
직물 등의 파열에 대한 강도
혼방률
2종 이상의 섬유를 섞어서 방적한 실의 각 조성 섬유 무게의 전 조성 섬유 무게에 대한 백분율
혼용률
2종 이상의 섬유가 혼용(혼방, 교직)되었을 때 각 조성 섬유 무게의 전 조성 섬유 무게에 대한 백분율
크레이핑
강연 직물을 물 또는 알칼리액 등으로 처리하여 직물 표면에 잔주름 이 생기게 하는 것
용어
정의
워시앤드웨어가공
세탁 후 다림질 없이 착용할 수 있는 성직을 셀룰로스 섬유에 부여 하는 가공
오건디 가공
박지 직물을 마와 같은 느낌이 들도록 하는 가공
오팔 가공
내약품성의 차를 이용하여 혼방 교직물의 한쪽 섬유만을 제거함으로써 투명 효과를 내는 가공
의마 가공
마와 같은 촉감과 겉모양을 부여하는 가공
염소 처리
주로 방축을 목적으로 한 양모 제품을 염소제로 처리하는 것
코팅
천에 합성 수지 등을 도포하는 것
유연 가공
유연제를 사용하여 섬유 제품을 유연하게 하는 가공
수지 가공
합성 수지에 의해서 섬유 제품의 주름 방지와 방축성 등을 부여하는 가공
실켓 가공
주로 면섬유 제품을 진한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긴장 상태에서 처리하여 광택을 부여하는 가공
슬립방지 가공
약제를 사용하여 직물의 경사와 위사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가공
세팅
열처리 또는 화학 처리에 의한 열, 습윤 등에 대해 형태 안정성을 부여하는 것
대전방지 가공
섬유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방지하는 가공
발수 가공
섬유 제품에 물을 튀기게 하는 성질을 부여하는 가공
발유 가공
섬유 제품에 기름이 튀기게 하는 성질을 부여하는 가공
필링방지 가공
합성 섬유 제품 등에 필링 생성을 적게 하는 가공
방오 가공
세유 제품의 오염을 방지하거나 오염 물질이 쉽게 떨어지도록 하는 가공
방축 가공
직물, 편성물 등이 세탁시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는 가공
방수 가공
직물 등에 물이 잘 통과하지 않도록 하는 가공
방충가공
양모 등에 벌레 등으로 인한 피해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가공
본딩
천과 천을 접착시키는 것
래미네이팅가공
직물 위에 플라스틱 필름 등의 층을 형성하는 가공
압축수축가공
방축 가공의 일종으로 천을 기계적으로 강제 수축시켜 방축 효과를 얻는 방법
이면 가호
직물 등의 뒷면에만 풀을 먹이는 방법
엠보싱
직물 등에 요철이 있는 롤러로 모양을 주는 것
용어
정의
기모
천에 잔털이 나오게 하는 것
유포
옷감을 다듬질하여 유연하게 만드는 것
염기성 염료
양모, 견 또는 탄닌 매염한 것 등을 염색시킬 수 있는 카티온성 염료
카티온 염료
염기성 염료로 주로 아크릴 섬유에 이용되는 염료
산성 염료
산성욕에서 양모, 견, 나이론 등과 염착성을 가지는 것으로 셀롤로스 계 섬유와는 거의 염착성이 없는 음이온성 염료
배트 염료
히드로슐파이트 등의 환원 작용에 의해서 류코 화합물이 되어 알칼리성 용액에 녹고 공기 산화에 다시 불용성 화합물이 되는 염료
안료 수지염료
합성 수지 등으로 안료를 섬유 위에 고착시켜 염색하는 착색 재료
땀 견뢰도
땀에 대한 염색 견뢰도
염색 견뢰도
염색물의 제조 및 사용 중 각종 작용에 대한 색의 저항성
세탁 견뢰도
세척, 세탁에 대한 염색 견뢰도
일광 견뢰도
각종 광에 대한 염색 견뢰도의 총칭
견뢰 색상
세탁, 마찰 및 일광 견뢰도 시험의 일정 표준에 합격된 섬유 제품에 부여하는 표시
변퇴색
색상, 농도, 채도를 종합한 색의 변화
마찰 견뢰도
마찰에 대한 염색 견뢰도
매직테이프
파일을 이용하여 쉽게 부착토록 된 테이프
스테이 테이프
양복류 봉제에 사용하는 마, 면 테이프
심바인딩 리본
심 접합용 얇은 직의 리본
웨이스트니퍼
허리를 가늘게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고무사를 넣은 넓은 허리띠
흐름방지 밴드
바지 등에 흐름을 방지코자 고무사를 표면에 부착시킨 직물
능직테이프
제복 또는 모자 주변의 장식용으로 사용하는 평형 끈
브레이드
마, 종이, 짚, 인조섬유 등을 원료로 한 심사를 넣은 평형끈으로서 모자, 조화, 핸드백, 실내장식 등에 사용
한국산업규격 모직물(KS K2610)
품종
인장강도(kg)
수축률(%)
인열 강도 (kg)
필링 (급)
PH
염색견뢰도(급)
필링
경
위
경
위
일광
세탁
드라이 크리닝
땀
마찰
슈트,바지(소모)
18
15
±3
±3
1.1 이상
3이상
5~9
4(3) 이상
4 이상
4 이상
4 이상
3 이상
3급 이상
재킷,코트(소모)
13.6
13.6
슈트,바지(방모)
13.6
12
경,위 한쪽:±3 다른방향:±5
재킷,코트(방모)
11.6
9.1
구 분
혼용률 허용범위(%)
소모 직물
방모 직물
순모직물
-3
-5
혼방 모직물
±5
±5
작업복 감(KS K2612)
구 분
품 종
조성 섬유
혼용률 (%)
조직
무게 (g/㎡)
밀도(올/5cm)
인장강도(kg)
수축률(%)
비섬유질 (%)
필링 (급)
경
위
경
위
경
위
C 165(2/1)
면
100-3
2/1 좌능직
165
220
120
45
18
±4
±4
5이하
4이상
C 235(2/1)
면
100-3
2/1 우능직
235
190
100
45
25
C 290(2/1)
면
100-3
2/1 좌능직
290
220
105
65
35
P/C 155(1/2)
폴리에스테르 면
65±5 35±5
1/2 좌능직
155
245
125
65
25
±3
±3
5이하
3이상
P/C 215(3/1)
폴리에스테르 면
40±5 60±5
3/1 좌능직
215
235
110
80
40
P/C 235(1/2)
폴리에스테르 면
65±5 35±5
1/2 좌능직
235
215
110
90
50
P/C 288(2/1H)
폴리에스테르 면
50±5 50±5
2/1 HBT
288
142
91
100
65
P/R 135(1/1)
폴레에스테르 레이온
65±5 35±5
평직
135
142
122
40
30
±3
±3
5이하
3이상
P/R 165(1/1)
폴레에스테르 레이온
65±5 35±5
평직
165
130
105
55
40
P/R 185(1/1R)
폴레에스테르 레이온
65±5 35±5
변화 평직
185
150
120
55
45
P/R 190(1/1)
폴레에스테르 레이온
65±5 35±5
평직
190
160
97
65
35
P/R 220(1/1)
폴레에스테르 레이온
65±5 35±5
평직
220
115
100
60
45
P/R 235(1/2)
폴레에스테르 레이온
65±5 35±5
1/2 좌능직
235
195
110
85
50
P/R 270(2/2)
폴레에스테르 레이온
65±5 35±5
2/2 우능직
270
240
115
100
45
P/R 270(3/1)
폴레에스테르 레이온
65±5 35±5
3/1 우능직
270
170
115
95
55
P/R 285(5S)
폴레에스테르 레이온
65±5 35±5
5매 주자직
285
200
127
95
55
P/R 295(1/2)
폴리에스테르 레이온
65±5 35±5
1/2 좌능직
295
160
95
105
65
구분
품종
염색 견뢰도(급 : 견뢰염색)
염색 견뢰도(급 : 보통염색)
PH
발수도
내수도 (cm)
일광
세 탁
땀
마 찰
일광
세 탁
마 찰
변퇴
오염
변퇴
오염
건
습
변퇴
오염
건
습
C형
5
4
4
4
4
3
3
4
4
3
3
2
5~9
90 90 90
18
P/C형
5
4
4
4
4
4
3
4
4
3
4
3
P/R형
5
4
4
4
4
4
3
4
4
3
4
3
※ 면 직물(C형), 면혼방 직물(P/C형). 레이온 혼방 직물(P/R형)으로 분류하고, 가공방법에 따라 1종(일반가공), 2종(발수 가공)으로 구분하며 발수도 및 내수도는 발수 가공 표시 제품에 한하여 표시 및 적용하고 별도로 규정되지 않은 한 일반 가공 제품으로 간주한다.
실의 무게 단위sssss ㆍ면방식에서는 181.44kg의 실을 1곤이라 한다. ㆍ생사 37.5kg을 1곤이라 한다. ㆍ마사 65.4kg을 1곤이라 한다.
면사
면솜을 원료로 한 실
모사
양모를 원료로 한 실
수봉사
손바느질에 사용하는 실
심사
연사에서 중심이 되는 실
연사
1올 또는 2올 이상의 실에 꼬임을 준 실
원사
방적 또는 방사 직후의 가공되지 않은 실
위사
위사(나비) 방향의 씨실
은사
은박을 사용한 실
제연사
연사한 2올 이상의 실을 합쳐 반대 방향으로 꼰 실
코머사
정소면기를 거쳐서 된 실(주로 면사인 경우에 사용됨)
콘
실을 원뿔 모양으로 감은 것
타래
실을 물레에 감아 내어 일정하게 묶은 것
합사
2올 이상을 합사하고 꼬임을 주시 않은 실
혼방사
2가지 이상의 섬유를 혼방한 실
행크
방적사 길이의 단위로 방적사의 번수 표시 ㆍ면사 840yd ㆍ소모사 560yd ㆍ방모사 256yd
갑사
경사, 위사 모두 생사로 짠 견사 직물
개버딘
능선이 위 방향에 대하여 45° 또는 63°가 되도록 경사 밀도 를 높게 한 2/2 또는 3/1의 능직물
거니
일반적으로 황마사를 경사, 위사에 사용한 마대용 평직물 또는 능직물
거즈
약연사로, 평조직으로 짜고 표백 후 풀을 먹이지 않고 다듬 질한 것으로 위생용 재료, 내의 등에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가제라고도 함
정의
견
견사로 제직한 직물 장단점 : 양모보다 가벼우며 가늘고 부드러운 촉감이 있다 탄성이 좋으며, 광택이 뛰어나다 마모에 약하며, 표면에 잔털이 생기기 쉽고 일과에 황변하고 취화한다
용도 : 한복, 스카프, 여성의류, 넥타이 등 관리 : 물세탁은 중성세제를 사용하며, 염소계 표백제를 사용할 경우 변색되고 손상되므로 산소계 표백제를 쓰는 것이 좋고, 가능한 드라이크리닝이 안전하다, 건조는 직사광선을 피하는 것이 좋다
견사포
체 등에 사용되는 견직물
고사
경사는 생사, 위사는 생사 또는 숙사로 된 사직물
공단
두껍고 무늬가 없는 주자직의 윤기 있는 비단
광목
조포의 일종으로 경사, 위사에 18Ne 이하(면의 번수)의 단사를 사용한 면직물
교
섬유의 종류가 다른 실을 사용하여 짠 직물
금릉직
정사각형 의장지에 능선과 위사의 각도가 45°를 넘는 능직
기포
모사를 성글게 짜서 깃발감으로 사용하는 직물
나이론
미국의 듀퐁사는 1938년 폴리아미드 섬유인 나일론을 발명하였음
장단점 : 신장, 마찰등에 강하여 내구성이 좋다 흡수성이 낮아 오염이 쉽게 제고도고, 빨리 건조된다 염색성이 좋고 색상이 선명하다 정전기 발생이 많으며, 필링현상이 발생된다 자외선에 약하며 흰 것은 황색으로 변한다 특수 나이론(아라미드)은 강력이 우수하고, 열에 강하다
용도 : 스타킹, 양말, 스포츠의류, 레저용품, 카펫트, 커튼, 벨트, 배낭 등 피복 및 산업용소재
관리 : 나이론은 열가소성이 있기 때문에 세탁온도는 40℃이하가 적당 오염이 쉽게 되므로 흰색은 유색제품과 분리 세탁
능직
조직점이 대각선으로 배열된 조직. 사문 조직이라고도 함
담요
양모, 면 또는 인조 섬유나 그 외 혼방사를 사용한 능직 또는 평직의 기모 직물. 모포라고도 한다
데님
경사에 20Ne 이하(면 번수)의 색사, 위사에 표백사, 또는 색사를 사용 하는 2/1, 3/1의 두꺼운 직물(아동복, 작업복감 등)
드레이프
선염한 두꺼운 실내 장식용 직물
정의
디머티
경사, 위사에 30~40Ne(면 번수) 또는 60~80Ne 단사를 사용하여 평직으로 제직한 것으로서, 바닥실 이외에 평행사 또는 굵은 실로서 경줄무늬 또는 바둑무늬를 나타낸 직물(여름철 부인복, 아동복 등)
론
경사, 위사에 60Ne(면 번수) 이상의 면사를 사용한 밀도가 낮은 평직 물로서, 표백 후 약간 다듬질하여 마직물과 같은 느낌을 주는 면직물 (손수건, 블라우스, 조화, 자수 가공 공생지 등)
레이온
재생셀룰로오스를 주성분으로 한 인조섬유를 레이온 또는 인견이라 한다
장단점 : 흡수성이 크다 염색성이 좋지만 습윤시 강도는 현저하게 떨어진다 신장회복성이 좋지 못하며, 구김이 생기기 쉽다 레이온은 고강도, 저신도로서 면섬유에 가깝고, 건습강도가 크다. 또한 팽윤성이 적기 때문에 형태안전성이 좋다
용도 : 양복안감, 넥타이, 잠옷 및 여성의류에 많이 사용한다 면과 혼방하였을 때 순면제품 보다 촉감과 외관이 좋아 면 대용으로 많이 쓰인다 나이론,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등 합성섬유와 혼방에 많이쓴다 관리 : 알카리성 용액에서 크게 팽윤되고 강도가 줄어들므로 세탁 탈수시에 주의를 요하며 심하게 비비지 않아야 한다
마
여름철 피복소재로 많이 사용되는 모시(저마), 삼베(대마)를 말한다
장단점 : 광택이 있으며 강도는 크지만 신도는 적다 수분의 흡수, 발산이 빠르다 용도 : 하절기용 피복, 스카프, 로프(대마) 등
관리 : 세탁시 심하게 비비지 말아야 하며, 형광증백제가 함유된 세제를 사용할 경우 광택이 좋지 않다
멜턴
축융 가공하여 바닥 조직을 보풀로 덮은 방모 직물 또는 이와 비슷한 직물
면
면사를 사용한 직물로 섬유소비량의 50% 가까이 차지할 만큼 가장 많이 사용되는 섬유이다
장단점 : 촉감이 부드럽고 광택이 있다 속이 비어있기 때문에 가볍고, 보온성이 크다 흡수성이 있으므로 염료의 침투가 쉽고, 위생적이다 알카리에는 강하나 산에는 약하며, 쉽게 구김이 발생한다
용도 : 내의류, 침구류, 양말, 이불솜, 케주얼복 등 위생관련 제품 내구성을 고려하여 대부분 폴리에스테르와 혼방된 원단으로도
많이 사용된다
정의
양모
면양의 털을 양모라 하여 다른 동물모와 구별한다
장단점 : 따뜻한 섬유이며 습기를 쉽게 흡수하고 발산한다 탄력성이 우수하며, 불에 잘타지 않는 난연성이다 염색성이 우수하고, 쉽게 더러워지지 않는다 표면에 스케일이 있어 축융성이 있다
용도 : 정장복지, 내의, 양말, 모포, 카펫트, 스웨터, 실내장식 등
관리 : 양모는 축융성 때문에 세탁시 수축되는 결점이 있어 수축 방지가공(방축가공) 되지 않은 제품은 드라이크리닝을 하는 것이 안전하며 비비거나 심하게 짜면 수축이 많이 발생된다
장기간 보관시에는 방충제와 함께 밀폐된 용기에 보관하는 것 이 좋다
바바리
면 개버딘으로 두둑이 잘 나타나도록 짠 다음, 방수 가공한 것
법단
주자 바탕에 단일색이고 비교적 작은 무늬가 있는 모본단보다 얇은 견직물
사조직
경사는 1조의 지경사와 익경사로 구성되고 위사 1올을 삽입할 때마다 익경사가 지경사의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교차되어 투공 효과를 내는 조직
삼원조직
평직, 능직, 주자직을 말함
샴브레이
경사에 20~40Ne(면 번수) 의 색사, 위사에 20~40Ne의 백사를 사용 하여 경위사 합계 밀도 180~300올/5cm 정도의 평직으로 하고, 일종 의 이색 효과를 나타낸 직물(아동복, 부인복, 블라우스, 셔츠감 등)
서지
능선이 위사 방향에 대하여 거의 45°각도를 가진 2/2 능직물
선염 직물
염색한 섬유로 만든 실이나 선염사로 제직한 직물
소창직
1) 이색 면사 또는 선염 면사를 사용하여 평직, 능직, 주자직 또는 변화조직 등으로 한 뚜꺼운 직물(주로 면포)
2) 주로 하급 선염 면사를 사용하여 줄무늬 또는 바둑무늬를 나타낸 직물
심지
의복용 심에 사용되는 직물의 총칭
아세테트섬유
셀룰로우스를 아세탈화하여 얻어지는 초산셀룰로우스로 만든 섬유
장단점 : 견과 유사한 촉감과 광택을 가지고 있다 수분율이 적으며, 건습강도가 적으며 염색성이 좋지 못하다 신장회복율이 크기 때문에 구김이 잘 생기지 않는다
용도 : 여성용 의류, 넥타이, 양복안감, 자수용, 라벨용 등
관리 : 물세탁시 광택이 저하되므로 중성세제를 사용하여 35℃이하 에서 세탁하는 것이 좋다
용어
정의
양단
주자 바탕에 무늬를 나타낸 문직물, 무늬 부분은 위이중직이다
융단(카펫)
파일 직물로서 마루에 까는데 사용
아크릴섬유
나일론, 폴리에스테르와 함께 3대 합성섬유 중의 하나이며 주로양모 대용으로 사용되는 섬유
장단점 : 촉감이 부드럽고 가벼우며 보온성이 좋고 일광에 강도변화 가 거의 없으며, 염색성이 좋고 색상이 화려하다 연소시 유독성 가스를 많이 발생하고 흡수성이 나쁘며 정전기 발생이 많다
용도 : 양모 대용으로 많이 사용되며 모포, 스웨터, 카펫트, 인조잔디 등
관리 : 세탁시 온도(40℃이하)에 유의해야 한다
저지
연사 방향이 다른 방모 단사 등을 1올씩 사용해서 축융하여 편성물과 같은 느낌이 나는 직물
주자직
경사, 위사의 교착점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고 경 또는 위사의 푸로팅이 많은 조직으로 종광수에 따라서 몇 매 주자직이라 함
캐시미어
캐시미어모를 사용한 모직물의 일종
크레이프직
조직에 의하여 직물면에 모래를 뿌려 놓은 석 같은 겉모양을 나타낸 직물
파일직물
한 면 또는 양면에 파일을 가진 직물의 총칭
평직
경사, 위사가 1올씩 교대로 교차한 조직
포플린
경사의 밀도를 위사보다 높게 하여 위사 방향에 두둑을 나타낸 평직물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는 외형적으로 나일론과 유사하지만 면섬유나 양모섬유 등과 혼방성이 우수하다
장단점 : 신장, 마찰 등에 강하여 내구성이 좋고 열에 강하다 흡수성이 적어 정전기가 많이 발생하며 염색성이 좋지 않다 필링현상이 발생나 내후성이 좋고 구김이 적다 일광에 강도변화가 거의 없으며, 내약품성이 좋다 용도 : 이불솜, 방한복용 패드, 자동차 안전벨트, 커튼 등
관리 : 세탁시 온도는 40℃ 이하가 좋다. 고온세탁시에는 열가소성이 있기 때문에 구김이 고정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헤링본능직
파릉직의 일종으로 능선에 의하여 산 모양의 무늬를 나타내는 직물 (일명 HBT라고 칭하며 과거 전투복지로 사용)
후염직물
제직한 다음에 염색한 직물
후직물
합사 또는 연사를 사용한 두꺼운 직물(운동화감, 공업용 재료 등)
용어
정의
가연성
직물 등의 불붙기 쉬운 정도
강연도
직물 등의 굴곡 변형에 대한 저항의 정도
내화도
직물 등의 불에 대한 저항의 정도
내수도
직물에 대한 물의 통과, 침투 등에 대한 저항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물이 직물의 한 면으로부터 통과하여 다른 면으로 나오는 경우에 필요로 하는 압력, 또는 통과에 걸리는 시간으로 나타냄
누수도
직물에 대한 물의 통과, 침투 등에 대한 저항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일정 시간 내에 직물을 통과하는 물의 부피로 나타냄
밀도
1) 직물을 구성하고 있는 경사 및 위사의 단위 간격 사이의 올수 2) 편직물을 구성하고 있는 웨일 및 코스의 단위 간격 사이의 올수
발수도
직물에 대한 물을 튀기는 정도
방수도
내수도, 누수도, 발수도의 총칭
방염도
가연도와 내화도의 총칭
방추도
직물 등이 가지고 있는 주름의 회복 능력 및 주름에 대한 저항의 정도
번수
실의 굵기를 나타내는 단위
변동계수
표준 편차의 평균값에 대한 백분율
섬도
섬유 및 필라멘트사의 굵기
수축률
실이나 직물을 습윤 처리한 후, 줄거나 늘어난 길이의 처음 길이에 대한 백분율
신장률
시료가 늘어났을 때의 길이와 원래 길이의 차를 후자에 대한 백분율 로 나타낸 것
유지 함유량
섬유에 부착되어 있는 유지분
인열 강도
직물 등을 찢을 때의 강도
인장 강도
시료를 잡아당겼을 때의 강도
파열 강도
직물 등의 파열에 대한 강도
혼방률
2종 이상의 섬유를 섞어서 방적한 실의 각 조성 섬유 무게의 전 조성 섬유 무게에 대한 백분율
혼용률
2종 이상의 섬유가 혼용(혼방, 교직)되었을 때 각 조성 섬유 무게의 전 조성 섬유 무게에 대한 백분율
크레이핑
강연 직물을 물 또는 알칼리액 등으로 처리하여 직물 표면에 잔주름 이 생기게 하는 것
용어
정의
워시앤드웨어가공
세탁 후 다림질 없이 착용할 수 있는 성직을 셀룰로스 섬유에 부여 하는 가공
오건디 가공
박지 직물을 마와 같은 느낌이 들도록 하는 가공
오팔 가공
내약품성의 차를 이용하여 혼방 교직물의 한쪽 섬유만을 제거함으로써 투명 효과를 내는 가공
의마 가공
마와 같은 촉감과 겉모양을 부여하는 가공
염소 처리
주로 방축을 목적으로 한 양모 제품을 염소제로 처리하는 것
코팅
천에 합성 수지 등을 도포하는 것
유연 가공
유연제를 사용하여 섬유 제품을 유연하게 하는 가공
수지 가공
합성 수지에 의해서 섬유 제품의 주름 방지와 방축성 등을 부여하는 가공
실켓 가공
주로 면섬유 제품을 진한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긴장 상태에서 처리하여 광택을 부여하는 가공
슬립방지 가공
약제를 사용하여 직물의 경사와 위사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가공
세팅
열처리 또는 화학 처리에 의한 열, 습윤 등에 대해 형태 안정성을 부여하는 것
대전방지 가공
섬유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방지하는 가공
발수 가공
섬유 제품에 물을 튀기게 하는 성질을 부여하는 가공
발유 가공
섬유 제품에 기름이 튀기게 하는 성질을 부여하는 가공
필링방지 가공
합성 섬유 제품 등에 필링 생성을 적게 하는 가공
방오 가공
세유 제품의 오염을 방지하거나 오염 물질이 쉽게 떨어지도록 하는 가공
방축 가공
직물, 편성물 등이 세탁시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는 가공
방수 가공
직물 등에 물이 잘 통과하지 않도록 하는 가공
방충가공
양모 등에 벌레 등으로 인한 피해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가공
본딩
천과 천을 접착시키는 것
래미네이팅가공
직물 위에 플라스틱 필름 등의 층을 형성하는 가공
압축수축가공
방축 가공의 일종으로 천을 기계적으로 강제 수축시켜 방축 효과를 얻는 방법
이면 가호
직물 등의 뒷면에만 풀을 먹이는 방법
엠보싱
직물 등에 요철이 있는 롤러로 모양을 주는 것
용어
정의
기모
천에 잔털이 나오게 하는 것
유포
옷감을 다듬질하여 유연하게 만드는 것
염기성 염료
양모, 견 또는 탄닌 매염한 것 등을 염색시킬 수 있는 카티온성 염료
카티온 염료
염기성 염료로 주로 아크릴 섬유에 이용되는 염료
산성 염료
산성욕에서 양모, 견, 나이론 등과 염착성을 가지는 것으로 셀롤로스 계 섬유와는 거의 염착성이 없는 음이온성 염료
배트 염료
히드로슐파이트 등의 환원 작용에 의해서 류코 화합물이 되어 알칼리성 용액에 녹고 공기 산화에 다시 불용성 화합물이 되는 염료
안료 수지염료
합성 수지 등으로 안료를 섬유 위에 고착시켜 염색하는 착색 재료
땀 견뢰도
땀에 대한 염색 견뢰도
염색 견뢰도
염색물의 제조 및 사용 중 각종 작용에 대한 색의 저항성
세탁 견뢰도
세척, 세탁에 대한 염색 견뢰도
일광 견뢰도
각종 광에 대한 염색 견뢰도의 총칭
견뢰 색상
세탁, 마찰 및 일광 견뢰도 시험의 일정 표준에 합격된 섬유 제품에 부여하는 표시
변퇴색
색상, 농도, 채도를 종합한 색의 변화
마찰 견뢰도
마찰에 대한 염색 견뢰도
매직테이프
파일을 이용하여 쉽게 부착토록 된 테이프
스테이 테이프
양복류 봉제에 사용하는 마, 면 테이프
심바인딩 리본
심 접합용 얇은 직의 리본
웨이스트니퍼
허리를 가늘게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고무사를 넣은 넓은 허리띠
흐름방지 밴드
바지 등에 흐름을 방지코자 고무사를 표면에 부착시킨 직물
능직테이프
제복 또는 모자 주변의 장식용으로 사용하는 평형 끈
브레이드
마, 종이, 짚, 인조섬유 등을 원료로 한 심사를 넣은 평형끈으로서 모자, 조화, 핸드백, 실내장식 등에 사용
한국산업규격 모직물(KS K2610)
품종
인장강도(kg)
수축률(%)
인열 강도 (kg)
필링 (급)
PH
염색견뢰도(급)
필링
경
위
경
위
일광
세탁
드라이 크리닝
땀
마찰
슈트,바지(소모)
18
15
±3
±3
1.1 이상
3이상
5~9
4(3) 이상
4 이상
4 이상
4 이상
3 이상
3급 이상
재킷,코트(소모)
13.6
13.6
슈트,바지(방모)
13.6
12
경,위 한쪽:±3 다른방향:±5
재킷,코트(방모)
11.6
9.1
구 분
혼용률 허용범위(%)
소모 직물
방모 직물
순모직물
-3
-5
혼방 모직물
±5
±5
작업복 감(KS K2612)
구 분
품 종
조성 섬유
혼용률 (%)
조직
무게 (g/㎡)
밀도(올/5cm)
인장강도(kg)
수축률(%)
비섬유질 (%)
필링 (급)
경
위
경
위
경
위
C 165(2/1)
면
100-3
2/1 좌능직
165
220
120
45
18
±4
±4
5이하
4이상
C 235(2/1)
면
100-3
2/1 우능직
235
190
100
45
25
C 290(2/1)
면
100-3
2/1 좌능직
290
220
105
65
35
P/C 155(1/2)
폴리에스테르 면
65±5 35±5
1/2 좌능직
155
245
125
65
25
±3
±3
5이하
3이상
P/C 215(3/1)
폴리에스테르 면
40±5 60±5
3/1 좌능직
215
235
110
80
40
P/C 235(1/2)
폴리에스테르 면
65±5 35±5
1/2 좌능직
235
215
110
90
50
P/C 288(2/1H)
폴리에스테르 면
50±5 50±5
2/1 HBT
288
142
91
100
65
P/R 135(1/1)
폴레에스테르 레이온
65±5 35±5
평직
135
142
122
40
30
±3
±3
5이하
3이상
P/R 165(1/1)
폴레에스테르 레이온
65±5 35±5
평직
165
130
105
55
40
P/R 185(1/1R)
폴레에스테르 레이온
65±5 35±5
변화 평직
185
150
120
55
45
P/R 190(1/1)
폴레에스테르 레이온
65±5 35±5
평직
190
160
97
65
35
P/R 220(1/1)
폴레에스테르 레이온
65±5 35±5
평직
220
115
100
60
45
P/R 235(1/2)
폴레에스테르 레이온
65±5 35±5
1/2 좌능직
235
195
110
85
50
P/R 270(2/2)
폴레에스테르 레이온
65±5 35±5
2/2 우능직
270
240
115
100
45
P/R 270(3/1)
폴레에스테르 레이온
65±5 35±5
3/1 우능직
270
170
115
95
55
P/R 285(5S)
폴레에스테르 레이온
65±5 35±5
5매 주자직
285
200
127
95
55
P/R 295(1/2)
폴리에스테르 레이온
65±5 35±5
1/2 좌능직
295
160
95
105
65
구분
품종
염색 견뢰도(급 : 견뢰염색)
염색 견뢰도(급 : 보통염색)
PH
발수도
내수도 (cm)
일광
세 탁
땀
마 찰
일광
세 탁
마 찰
변퇴
오염
변퇴
오염
건
습
변퇴
오염
건
습
C형
5
4
4
4
4
3
3
4
4
3
3
2
5~9
90 90 90
18
P/C형
5
4
4
4
4
4
3
4
4
3
4
3
P/R형
5
4
4
4
4
4
3
4
4
3
4
3
※ 면 직물(C형), 면혼방 직물(P/C형). 레이온 혼방 직물(P/R형)으로 분류하고, 가공방법에 따라 1종(일반가공), 2종(발수 가공)으로 구분하며 발수도 및 내수도는 발수 가공 표시 제품에 한하여 표시 및 적용하고 별도로 규정되지 않은 한 일반 가공 제품으로 간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