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CHECK POINT ◈
* 불안정하게 적재한 화물이 떨어져 재해가 발생할 수 있다. * 적재물에 의한 시야방해로 보행자와의 접촉 및 충돌위험이 있다. * 화물의 과적재, 노면정비불량, 급가속, 급선회, 급정지에 따라 지게차가 넘어 질 수 있다. |
1.지게차 안전작업수칙
◎ 작업자는 작업계획서를 충분히 숙지한 후 이에 따라 운반작업을 실시한다.
◎ 포크 위에 사람을 태워서 들어올리거나 하지 않는다.
◎ 허용하중을 초과하여 화물을 적재하지 않는다.
◎ 포크에 와이어 등을 걸어서 짐을 매달지 않는다.
◎ 작업장소 및 지반형태에 적합하게 정해진 운반제한속도를 준수한다.
◎ 작업지휘자나 유도자의 지휘에 따르고 지반의 침하나 노면의 붕괴에 유의하면서 운전한다.
◎ 작업에 필요한 신호방법을 익히고 이에 따른다.
◎ 지게차는 반드시 유자격자가 운전하여야 하고, 운전자는 지게차에서 이탈시에는 반드시 포크를 가장 낮은 위치에 두고 시동을 끄고 운전열쇠를 지참한다.
◎ 지정승차석 외에는 탑승을 금지시킨다.
■ 작업시작전 점검
◎ 작업시작전에 지게차의 주요 부분을 점검한다.
- 마스트 및 리프트체인의 손상은 없느가.
- 전조등, 방향지시등, 후조등은 점등되는가.
- 백레스트 및 포크는 손상되거나 결함이 없는가.
- 제동장치의 기능은 적정한가.
- 경보장치의 기능은 적정한가.
- 차바퀴는 이상이 없는가.
◎ 포크를 올리고 점검시에는 포크의 불시하강에 대비해서 안전지주 또는 안전블록을 받쳐 놓는다.
■ 주행운전 안전작업
◎ 비포장도로, 좁은통로, 언덕 등에서는 급출발, 급정지 등은 피한다.
◎ 항상 전후좌우에 주의한다.
◎ 창고의 출입구, 건널다리 등 요철이 있는 곳에서는 세심한 주의를 요한다.
◎ 적재화물이 크고 시계를 방해할 경우는 유도자의 유도에 의해서, 후진으로 경적을 울리면서 서행한다.
◎ 경사면을 오를 때는 포크의 선단 또는 팔레트의 아랫부분이 노면에 접촉되지 않을 정도로 가능한 한 낮게 놓고 운행한다.
◎ 경사면을 내려갈 때는 후진 운전을 하고 엔진브레이크를 사용한다.
■ 화물의 적재 안전작업
◎ 화물에 포크를 직각으로 댄다.
◎ 포크의 삽입위치를 확인하고 서서히 포크를 삽입한다.
◎ 화물이 한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적재하고 화물의 낙하에 대비해서 로프 등으로 견고히 묶는다.
◎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눈 높이 밑으로 화물을 적재한다.
◎ 팔레트에 적재된 화물이 안전하며, 확실하게 쌓여 있는가를 확인한다.
◎ 화물을 적재할 때는 포크 안에 깊숙히 적재하여 화물의 안정성을 높인다.
◎ 운전원은 운반하여야 할 화물을 점검하고 기준중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 포크의 발은 화물의 크기보다 긴 것을 사용하여 하역작업의 안정성을 높인다.
◎ 화물의 폭에 따라 포크의 간격을 조절하여 무게의 중심을 중앙에 오도록 한다.
■ 지게차를 이용한 설비작업안전
◎ 지게차를 이용한 설비작업은 가능한 한 금지토록 하고 꼭 필요한 경우는 반드시 안전난간이 설치된 작업대를 사용하여 작업한다.
◈ 지게차의 작업상태별 안정도 ◈
첫댓글 첨부파일을 열기 또는 다운받으시면 온전한 파일을 얻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