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배경 : 도시 인구 급증, 대동법 실시로 인한 관수품 수요의 증가 → 상품 화폐 경제의 진전
2. 민영 수공업의 발달 상황
(1) 수공업 형태의 변화 : 관영 수공업 쇠퇴 → 민간 수공업자들은 장인세 부담 후 자유롭게 생산 활동에 종사
(2) 점(店) : 민간 수공업자들의 작업장을 의미 → 도시를 중심으로 발달, 농촌에도 출현
3. 농촌 수공업의 변화 : 자급 자족을 위한 부업의 형태 → 소득 증대를 위한 상품 생산 형태로 변화
→ 전문적 생산 농가 출현(옷감ㆍ그릇 중심)
4. 선대제 수공업
(1) 내용 : 민간 수공업자들이 공인이나 상인에게서 주문과 함께 자금과 원료를 미리 받아 제품을 생산
(2) 의미 : 수공업자들이 상업 자본에 예속됨 → 종이, 화폐, 철물 등의 제조 분야에서 두드러짐
5. 독립 수공업자 출현 : 18세기 후반 독자적으로 생산하고 직접 판매하는 수공업자 등장 → 수공업자들의 독립 현상
조선 후기에는 상품 화폐 경제가 진전되면서 시장 판매를 위한 수공업 제품의 생산이 활발해졌다. 이 시기는 도시의 인구가 급증하여 제품의 수요가 크게 늘어났고, 대동법의 실시로 관수품의 수요도 적지 않았기 때문이다.
종래의 관영 수공업이 쇠퇴하면서 발달하고 있었던 민영 수공업이 증가하는 수요를 거의 충족시켰다. 민간 수공업자들은 장인세만 부담하면 비교적 자유롭게 생산 활동에 종사할 수 있었으며, 그들의 제품은 품질과 가격면에서 관영 수공업장에서 만든 제품과 비교할 때 경쟁력도 높았다.
민간 수공업자의 작업장은 흔히 점(店)으로 불려져 철기 수공업체는 철점, 사기 수공업체는 사기점이라 하였다. 판매를 위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민영 수공업은 주로 도시를 중심으로 하여 발달하였지만, 점차 농촌에서도 나타났다.
농촌의 수공업은 지금까지 자급자족을 위한 부업의 형태로 제조하였으나, 점차 소득을 올리기 위하여 상품으로 생산하는 경우가 늘었고, 더 나아가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농가도 나타났다. 농촌에서는 주로 옷감과 그릇 종류가 생산되었다.
그런데 민간 수공업자들은 대체로 작업장과 자본의 규모가 소규모여서 원료의 구입과 제품의 처분에서 상업 자본의 지배를 받았다. 대부분 공인이나 상인들에게 주문을 받는 데에 그치지 않고, 자금과 원료를 미리 받아서 제품을 생산하는 선대제가 성행하였다. 이로 인하여 수공업자들은 상업 자본에 예속되었다. 특히 종이, 화폐, 철물 등의 제조 분야에서 그런 현상이 두드러졌다.
그러나 18세기 후반에 이르면서 수공업자 가운데서도 독자적으로 제품을 생산하고 이를 직접 판매하는 사람들이 나타났다.
대장간(김홍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