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간호>>
Airway obstruction
1)원인
의식이 없는 사람: 혀
의식이 있는 사람: 음식물이 가장 흔한 원인
2)사정
완전 폐색: 숨쉬거나 말할수 없고 청색증. 무의식
불완잔폐색: 불안정. 천명음.,의식이 있음
3)치료
①응급상황의 우선순위
②Heimlich maneuver 수행
③기도를 열기위해 고개를 뒤로 젖히고 턱을올리는 방법을 쓴다.
Head tilt chin lift
④경추의 손상이 의심될 경우는 턱을 밀어 기도를 유지한다.
jaw thrust technique
⑤구강내에 이물질이 있다면 제거한 후에 대상자를 환기시키고
호흡과 맥박이 측정되지 않는다면 심폐소생술을 실시한다.
⑥CPR 방법
-구강내의 이물질을 확인하고 제거한다.
-머리를 뒤로 젖히고 턱을 앞으로 당긴다.
-구강대 호흡법 어른 12회(분). 소아 20회(분)
-심장압박을 실시한다. 어른 60~80(분). 소아80~100회(분)
-1분마다 5초간의 경동맥의 맥박을 확인하며 CPR
-Ambu Bag을 한손으로 사용시 400cc의 공기를 전달하게 된다.
익사(near drowning)
1)증상
청색증. 폐부종. 저체온 가능성. 심정지 가능성
2)치료
CPR
100% 산소와 PEEP으로 환기
정맥주사. 유치도뇨관. 비위관의 삽입
심전도의 관찰.
보온유지
V/S, mental. CVP, I/O. ABGa, E 관찰
출혈(Hemorrhage)
내적이나 외적으로 빠르게 다량의 혈액을 손실하는 것
1)증상
반상출혈. 혈뇨., 객혈. 혈변 .
차고 축축한 피부., 불안감. 저혈압. 빈맥. 핍뇨
2)간호중재
-출혈부위의 직접압박
-대상자를 똑바로 눕히고 손상받은 부위를 상승시키고 부동시킴
-정맥수액의 실시
-MAST 바지를 입는다.(military anti shock trousers)
-쇼크의 증상 관찰
빠르고 약한 맥박. 빠르고 얕은 호흡. 허약. 어지러움.
안절부절 못함. 오심. 구토. 오한. 차고 축축한 피부
의식의 혼미
-지혈대의 사용
출혈부위의 정맥을 차단한다.
15분 간격으로 1분간 풀어주고 다시 매준다.
-출혈과 관련된 동맥을 지혈한다.
머리: 측두동맥(Temporal)
안면: 안면동맥(facial)
팔: 상박동맥(Brachial)
손: 요골동맥(Radial)
다리: 대퇴동맥(Femoral)
어깨의 상박이나 전박의 출혈: 쇄골동맥(Clavicle)
머리, 경부: 총경동맥(common carotid)
비출혈: 비골압박(nasal bone)
흉부의 외상(Chest trauma)
1)증상
-타박성 흉부외상
바른 호흡. 천명음. 청색증. 찰과상. 멍. 저혈량. 쇼크증상
-관통성 흉부의 외상
갑작스럽고 날카로운 흉통을 동반한 호흡곤란과 빈맥.
흉부의 타진시 공명음.
손상부위의 호흡음의 감소
-긴장성 기흉
쇼크. 심각한 호흡곤란.
흉부의 타진시 기관지의 위치이동
2)진단
X-ray
ABGa
3)간호중재
-타박성 흉부환자
VS. EKG. mental, ABGa. 관찰.;
호흡음의 청진. 호흡곤란의 사정
기도의 유지.,
필요하다면 산소를 공급해 준다
-관통성 흉부환자
High Fowler position
산소 공급
필요하다면 흉관을 삽입한다.
VS. EKG. mental, ABGa. 관찰.
복부의 외상(Abdominal trauma)
1)증상
복부의 멍. 찰과상. 관통상의 상처. 복부의 팽만& 통증
장음의 감소. 쇼크를 동반하는 저혈압
2)진단
X-ray
대변의 잠혈검사
3)간호중재
필요시 CPR
복부의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무릎을 구부리고 ABR
NPO
L- tube 삽입(위감압 목적으로)
Foley catheter insertion
장기의 노출시 젖은 거드로 덮어준다
예방적인 항생제와 파상풍 주사
장음의 청진
필요시 수술이나 복막세척
약물중독(DI: drug intoxication)
1)증상
중추신경계의 억제나 자극. 환각. 발작. 체온의 변화
호흡의변화 . 핍뇨& 다뇨 N/V
비정상적인 동공의 크기변화
2)진단 검사
BUN/Cr. ABGa
3)간호중재
기도를유지하고 산소공급
필요시 intubation
정맥내 수액의 공급
Lavage
위세척후에는 Charcoal 를 쓴다.
필요시 복막투석이나 혈액투석을 한다.
열사병(Heat strokre)
지나친 열로 인해 비정상적으로 체온이 상승
1)원인
인체의 열조절 기전의 파괴
2)증상
고열. 의식의 변화. 땀이 없이 뜨겁고 건조한 피부 .빈맥.
빠른 호흡. 저혈압. 구토와 설사.
3)진단검사
SGOT..LDH CPK 상승
4)간호중재
-체온을 떨어트려 열성경련을 예방한다.
차가운 생리식염수로 세척.
해열제 투여
저체온의 담요 사용
-순환을 증진시키기 위해 마사지 한다.
-정맥주사
-ABR
-VS, EKG, CVP. I/O checked
열성경련(heat cramp)
1)원인
뜨거운 환경에서 장시간 근무
수분이나 염분의 결핍으로 심한 탈수증상
저나트륨혈증
심박출량의 감소
피부 표면 혈관의 확장
심하면 열사병으로 진행
2)증상
피로 쇠약. 오심. 구토, 불안. 근육의경련. 축축한 피부 저혈압
3)간호중재
수분이나 염분보충을 위해 수액요법의 수행
시원한 환경으로 대상자 이동
VS 관찰
전해질의 보충
뱀에 물린 상처 (snake bite)
1)증상
교상 부위의 이빨자국. 통증. 부종
2)진단검사
잠혈. 응고. 소변검사.
3)구급처치
-교상부위를 심장보다 낮게한다.
-교상 부위 바로 위에 지혈대를 맨다( 심혈관의 순환을 방해하지
않을 만큼 표면의 혈관을 차단하고 지혈대를 맨다.)
-이빨 자국이 있는 부위에 0.5mm 십자절개를 한다.
-입안에 상처가 없는 처치자가 절개부위를 빨아낸다.
4)병원처치
-정맥수액공급
-항사독소(antivenin)를 피부반응 검사 후 정맥주사한다.
-교상주위 둘레를 측정한다.
-항사독소의 혈청반응을 관찰
(얼굴이 팽창된 느낌. 두드러기, 소양증. 전신권태., 빈맥, 호흡곤
란. 저혈압. 쇼크의 증상)
-혈청의 반응시 항사독소 주입을 중단하고 항히스타민제를 투여
(diphenhydramine)
-VS 관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