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도기행 / 열하일기(熱河日記)를 생각하며 남도를 가다
1.젓갈에서 남도(南道)의 향기를 맡다
열하일기는1780년 연암 박지원이 종형 박명원을 따라 청나라에 가면서 보고, 듣고 교류한 것을 기록한 연행록이다. 그의 연행록은 단순히 여행에서 보고 들은 것을 기록한 것에서 벋어나, 청나라의 문물을 접하며 조선의 현실문제를 객관적으로 비춰보고 개혁의 방향과 방법을 논하였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여행은 목적에 따라 다양할 수밖에 없지만 필자는 연암과 같은 여행을 꿈꾼다.
지난 연말 우리고장의 문화를 생각하는 몇몇 지인들에게 남도여행을 제안했다. 남도의 멋과 맛을 여행하면서 평택지방의 문화를 생각해보자는 것이 취지였다. 우여곡절을 겪은 뒤 나를 포함하여 다섯 명으로 팀이 꾸려졌다. 우리는 남도답사일번지로 알려진 해남, 강진, 순천으로 여행일정을 잡았다. 다들 바쁜 일정으로 금요일 저녁 여섯시가 넘어서야 길을 떠났다. 캄캄한 호남평야를 달려 영산강 하구둑을 건너니 영암과 해남이다. 여독을 풀 겸 간단하게 한 잔 하자고 들어간 곳은 남도의 멋과 거리가 있는 주몽식당. 주모에게 해물탕과 낚지 반 접시에 덤으로 젓갈과 매생이 국을 시켰다. 기대처럼(?) 해물탕은 그저 그랬지만 덤으로 나온 밴댕이젓, 꼴뚜기젓, 낙지젓과 매생이국은 몽롱한 정신을 확 깨웠다. 몇 십 년 전만해도 김에 달라붙던 잡초쯤으로 천대받던 매생이는 최근 건강에 좋은 웰빙식품으로 알려지면서 전라도의 특산음식으로 자리 잡았다. 젓갈이 식탁에 오르자 가장 먼저 손을 뻗은 것은 장순범씨. 여행 내내 젓갈에 사족을 못 썼던 씨는 밴댕이젓을 물에 말아 게 눈 감추듯 밥 한 그릇을 먹어치웠다.
2.해남 유선여관은 아직도 건재하다
대흥사 앞 유선여관에 여장을 풀었다. 유선여관은 40여 년의 역사, 전통한옥, 깔끔한 밥상, 등산 안내견으로 유명한 누렁이 그리고 영화 장군의 아들과 서편제, 천년학의 촬영지로 유명하다. 새벽 한 시가 다 되어서야 여관에 들어서니 기다리다 막 잠이 들었다는 주인장은 툴툴대며 방으로 안내했다. 유선여관은 전통한옥의 멋을 유지하면서도 숙박에 불편함이 없도록 개선한 점이 눈에 띄었다. 여름철 방문을 열어 놓고 밥을 먹으면 좋은 것 같은 앞마루, 달구경하기에 안성맞춤인 툇마루, 시냇물이 흐르는 뒤 켠, 방 안에 걸려 있는 그림과 병풍, 당호에 이르기까지 어느 하나 버릴 것이 없다. 전통이 오랜 생명력을 간직하려면 유선여관에서 배워야하지 않을까 싶다.
여명이 밝아오기 전 대흥사에 올랐다. 대흥사는 임진왜란 때 서산대사의 유언에 따라 발우와 금란가사를 모시면서 거찰로 성장하였다. 이 절을 더욱 유명하게 한 것은 19세기의 고승 혜장과 초의가 주석하면서다. 특히 초의는 훌륭한 선(禪)지식을 갖추고 다산, 추사와 교류한 고승이면서 조선후기 다도(茶道)문화를 일으킨 인물로 유명하다. 그가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차(茶)를 예찬하며 쓴 ‘동다송’이라는 시(詩)는 지금도 한국 차(茶)의 성전처럼 일컬어진다. 대흥사 경내의 찻집 ‘동다실’은 전통차의 포교원이며 맛을 음미할 수 있는 곳이다. 우리는 차를 나눠 마신 뒤 녹우당으로 발걸음을 돌렸다.
고산 윤선도의 고택 녹우당은 해남제일가다. 녹우당은 15세기에 처음 지어졌고, 효종의 사부(師父)였던 윤선도가 하사받은 과천 집 일부를 옮겨 지으면서 유명해졌다. 해남 윤씨가의 인물로는 어부사시사를 지은 윤선도와 정선, 심사정과 함께 조선후기 3재로 이름을 날린 공재 윤두서가 있다. 그래서인지 고택 옆 기념관에는 온통 윤선도와 윤두서의 흔적들뿐이다. 몇 권의 저작들조차 갖춰놓지 못한 안재홍 고택과 비교되어 한동안 그 자리에 서 있었다.
3.아지매 참 꼬막 있어라!
다산초당이 있는 강진은 동행한 양용동 기자의 고향이다. 강진군이라는 이정표가 보이자 양기자의 말 수가 부쩍 많아진다. 실학사상가 정약용의 삶에서 강진에서의 18년 유배생활은 학문의 깊이를 더하고 사상의 정수가 형성된 시기다. 그의 대표작인 목민심서, 흠흠심서, 경세유표가 이곳에서 쓰여졌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진 이야기다. 다산초당은 문화재복원과 관광자원의 활용에 대하여 많은 시사점을 준다. 1980년대 초 다산유적보존회에서 복원한 초당은 본래의 모습과 거리가 멀고, 구강포의 수 백 만평에 이르렀던 갈대밭과 갯벌은 간척지로 변하여 경관이 크게 훼손되었기 때문이다. 문화유산은 본래의 위치와 원형보존이 필수적이고, 경제적 가치로도 간척지보다는 갯벌과 갈대밭이 훨씬 유용하리라는 생각을 하였다.
남녘교회 방문은 잊은 수 없는 추억이었다. 이 교회는 ‘참꽃 피는 마을’ ‘종소리’와 같은 책을 쓴 수필가이며, ‘여행자의 노래1, 2’를 만든 음악가이고, 여행가로도 유명한 임의진 목사가 목회하였던 교회다. 교회에는 낮은 자리에서 민중들을 보듬고, 종교 간의 벽을 허물어 참 평화의 세상을 꿈꾸었던 흔적이 곳곳에 배어 있었다.
강진에서 2번 국도를 따라 동쪽으로 달리면 장흥을 지나 보성에 이른다. 우리는 ‘보성차밭’은 거들떠보지 않고 벌교로 향했다. 해방직후에는 ‘여수에서 돈 자랑하지 말고, 벌교에서 주먹자랑 하지 마라’고 하였던 벌교. 허지만 지금의 벌교는 주먹보다도 ‘꼬막’이 유명하다. 근래에 벌교꼬막을 유명하게 한 것은 조정래의 태백산맥이다. 빨치산 남편을 두었던 외서댁에게 치근덕거리던 청년단장 염상구의 질펀한 농지꺼리에 전국의 독자들이 벌교로 몰려들었기 때문이다. 꼬막은 겨울이 제철이다. 아낙들은 겨울철 널빤지와 바구니를 끼고 순천만 갯벌에 나가 한쪽 무릎으로 널빤지를 밀면서 꼬막을 잡는다. 꼬막은 참꼬막과 새꼬막으로 구분된다. 싼 값에 참 꼬막을 먹으려면 시장에 가야한다는 양기자의 꼬드김에 벌교시장으로 갔다. 우리는 시중의 반값도 안 되는 가격에 꼬막과 새조개를 사가지고 근처식당에서 삶아 먹었다. 뜨거운 불에 살짝 데친 꼬막은 짭짤하면서도 쫄깃한 맛이 과연 명불허전이다.
4.전통식당의 남도 한정식
벌교 꼬막과 새조개로 배를 채우고 낙안읍성에 여장을 풀었다. 낙안은 삼국시대 이후 남해안의 큰 고을이었다. 읍성(邑城)은 왜구침략을 방어하기 위해 조선 초 토성으로 축조하였던 것을 나중에 석성(石城)으로 다시 쌓았다고 한다. 이곳에 민속마을이 조성된 것은 놀랍게도 1983년부터다. 1970년대 새마을사업과 1980년대 경제성장으로 낙안읍성의 전통가옥들이 허물어지고 경관이 훼손되자 주민들과 관청이 팔을 걷어 부친 것이다. 이들은 유적을 보존하되 관광자원으로 개발하여 주민들에게 이익이 돌아가도록 방침을 정하였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상인들 중에는 외지인이 없고, 역할분담이 분명하며, 풍경은 옛 모습인데 내부시설은 현대의 편리함을 갖춘 조화로운 마을이 되었다.
낙안읍성에서 승주방향으로 15㎞를 달리면 선암사다. 신라 말 도선이 창건하였다는 선암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청정도량이다. 선암사는 전통과 문화유산에 대한 스님들의 철학을 느낄 수 있는 곳이다. 한참을 걸어야 하는 진입로에서는 조금 불편해도 자연과 더불어 살려는 넉넉한 마음이 읽혀지며, 작년 말 신축된 전통야생차체험관에서는 경관을 거스르지 않으려는 세심한 배려를 엿볼 수 있었다.
남도여행의 화룡점정은 음식이었다. 음식문화는 생산활동이나 사회구조와 결부된 문제다. 우리가 선택한 곳은 담양의 전통식당이었다. 전통식당 음식의 진미는 감칠맛 나는 장맛에서 온다. 음식은 장맛이 결정한다는 격언을 몸으로 체험할 수 있는 집이라는 말이다. 방안에 앉아 10여 분 노닥거리는데 수 십 가지 음식이 올려 진 교자상 두 개가 들어온다. 술 한 잔은 해야 한다며 왁자지껄하던 좌중은 상이 들어오자 젓가락질에 여념이 없다. 토란탕, 청국장, 홍어삼합을 비롯하여 네댓 가지가 넘는 장아찌, 성게알젓, 갈치속젓으로 이어지는 젓갈류, 홍어찜, 굴비와 같은 생선류 등 40가지가 넘는 반찬은 배부른 사람의 손에서도 숟가락을 놓지 못하게 한다. 음식상을 물리며 일어서는데 포만감과 함께 아쉬움이 밀려든다. 전통은 계승에도 가치가 있지만 발굴하고 발전시키는 것도 의미가 있는데 평택에도 이런 식당 하나쯤 만들면 안 될까! (김해규, 한광중학교 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