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 채취시기 는 언제가 가장 적합할까요????
[산약초 채취 시기 와 효능] : 산약초 채취시기 자료을 옮긴글 입니다.
주의 : 약초식물은 유사한 종류가 매우 많고, 사용량, 혼합비율, 개인적 체질에 따르는 효과 등 이 다르므로 사용시에는 반드시 인가된 전문가 상담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산약초 채취 시기 주의 : 산야초나 나물은 함부로 채취할 수 없으며, 허가가 있어야 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37B984F54E8056C35)
산약초 채취시기
산약초 채쥐시기 는 중부지방 기준이며 지형과 날씨 , 채취 부위, 등의 요인에 의해 1~2개월의 차이가 있습니다.
산약초 채쥐시기 4월
곰보배추, 냉이, 돌미나리, 말냉이, 머위꽃, 민들레, 방풍, 쑥, 엄나무순(개두릅), 진달래꽃, 취나물(곰취, 참취, 개미취, 등), 홋잎나물순(회잎나무), 찔레순. 무릇.
산약초 채쥐시기 5월
가락지나물, 가죽나무순, 감잎순, 개옻나무순, 거북꼬리, 고들빼기, 고추나무순, 광대나물, 구기자잎, 기름나물, 까치수영, 꾸지뽕잎, 꿩의 비름, 꿩의 다리, 노루발풀, 노루오줌, 노박덩굴순, 누리장나무순, 느릅순, 다래순, 다릅나무순, 단풍취, 달개비, 달맞이순, 달래, 당귀잎, 도꼬마리순, 도라지, 도토리나무순, 돌나물, 돌미나리, 돼지감자순,더덕, 두충잎, 둥글레순, 들깨나물, 등골나물, 땅두릅, 망초순, 머위, 명아주, 물냉이, 물봉선, 물푸레나무순, 미나리, 미나리냉이, 민들레, 미역취, 박쥐나무순, 박쥐나물, 보리수나무순, 부채마, 부추, 붉나무순, 벌깨덩굴, 병꽃나무순, 비듬나물, 비수리, 뽀리뱅이, 사철숙, 산뽕순, 산사잎, 산초순, 삼백초, 삽주싹, 새은행잎, 생강나무순, 선밀나물, 솔순, 쇠무릎(우슬), 쇠별꽃,수영, 쉽싸리, 싸리순, 씀바귀, 아카시아꽃, 양지꽃, 얼레지, 엄나무잎, 엉컹퀴, 오가피순, 오미자순, 우산나물, 원추리, 으름덩굴순, 익모초(약간), 인동초, 자운영, 잔대. 접골목순, 조팝나무순, 족제비싸리순, 주름잎, 죽순, 쥐오줌풀, 질경이, 찔래꽃, 참나물, 참나리, 참당귀순, 참마(산약), 칡순, 청가시덩굴, 청미래덩굴순, 층층나무순 토끼풀꽃, 활량나물, 해당화순, 홀아비꽃대, 회잎나무순,
산약초 채쥐시기 6월
감꽃, 감잎, 갯질경이, 고삼, 금전초, 나문재, 대사초전초, 등나무꽃, 등나무순, 두릅잎, 마디풀, 맑은대쑥, 매실, 맥문동열매, 머루덩굴, 박주가리. 뱀딸기, 버찌, 벌나무, 보리수잎, 보리수열매, 붓꽃, 사위질빵, 산딸기(복분자), 산비장이, 산죽, 삼지구엽초, 새솔잎, 생강나뭇잎, 생열귀나무순, 쇠비름, 쉬땅나무꽃, 쑥, 쑥부쟁이, 씀바귀, 신나무순, 앵두, 오디, 왕고들빼기, 우슬, 익모초, 인동넝쿨. 은행잎, 질경이, 참싸리, 천마, 하늘수박덩쿨, 하수오, 화살나무(참빗살나무), 환삼덩굴, 헛개나무순,
산약초 채쥐시기 7월
개복숭아, 까마중전초, 능소화꽃잎, 다래, 당근전초, 담배풀, 달맞이꽃, 대나물, 들깨잎, 달뿌리풀, 딱지꽃, 머루, 메꽃, 박하, 보리수열매잎, 복숭아, 부처손, 비름나물, 살구, 생강나무, 솔나물, 솔방울, 수국, 순비기나무, 신선초, 엄나무, 어성초, 엉겅퀴, 연잎. 원추리, 인진쑥, 자두, 잔대, 정향나무, 조뱅이, 중대가리풀, 지느러미엉겅퀴, 쥐똥나무 열매, 질경이, 차조기, 참깨순, 창출, 칡꽃, 타래난초, 한련초, 해당화열매,
산약초 채쥐시기 8월
가지, 갈대뿌리, 갈퀴나물, 개머루덩굴, 개복숭아. 꽃사과, 꾸지뽕잎, 고욤잎, 낭아초전초, 달맞이꽃, 댑싸리, 도라지전초, 동자꽃 전초, 두충잎, 마타리전초, 물봉선, 며느리밥풀꽃, 배초향, 벌노랑이, 부처꽃, 부추꽃, 비단풀, 뽕잎, 산초, 새삼, 속새, 수영, 수세미. 씀바귀, 왕고들빼기, 어저귀전초, 연잎, 오동열매, 우슬, 자귀나무, 장미, 줄풀전초, 차조기, 차풀, 청머루, 칡꽃, 푸른하늘수박, 풋고추. 하늘말나리, 함초,
산약초 채쥐시기 9월
감국, 감잎, 개다래, 고욤열매, 구절초, 도라지, 더덕순, 망개, 맨드라미꽃, 달맞이꽃열매, 방울토마토, 배. 산국, 석류, 수세미열매, 알로에베라, 애기풀, 오배자, 접시꽃, 제비꽃전초, 창포, 천문동, 탱자, 톱풀
산약초 채쥐시기 10월
감, 구기자, 국화, 꽃사과, 꾸지뽕열매, 노박덩굴열매, 노란하늘수박, 당귀뿌리, 둥글레뿌리, 대추, 도꼬마리천초, 돌배, 뚱딴지, 마가목, 모과, 민들레뿌리, 산사열매,산수유열매, 석류, 오미자,
유자, 탱자, 해국,
산약초 채쥐시기 11월
늙은호박, 도라지, 더덕, 모과, 산수유, 생강, 쑥뿌리, 야생갓, 엉컹퀴, 오가피열매, 우슬뿌리,
잔대, 청미래뿌리, 칡뿌리, 케일, 하늘타리(과루인),
산약초 채쥐시기 12월~3월
겨우살이, 돼지감자, 말굽버섯, 버섯, 상황, 영지, 유자, 운지, 양파
*** 피해야 하는 산약초
개구리자리, 고사리, 고비, 꽁애장군(으아리), 피마자잎, 관중, 광대싸리, 담쟁이덩굴, 삿갓나물, 은방울꽃순, 애기똥풀, 컴프리, 자리공, 족두리풀. 산괴불주머니. 옻나무, 갯메꽃, 금낭화, 철쭉
*** 독성의 우려가 있는 것
꼭두서니, 담쟁이넝쿨, 짚신나물, 쇠뜨기, 소루쟁이, 참죽나무, 천남성, 헛개나무(심재있는 것), 만병초, 앉은부채, 초오(돌쩌귀), 미치광이풀, 박새, 여로, 독말풀, 대극, 협죽화
관절에 좋은 약초
오가피순, 엄나무순, 두릅나무순, 청미래덩굴순, 접골목순, 칡순, 우슬
첫댓글 좋은정보감사합니다^^*~~철마다꺼내서보고 채취해야겠네요
그러다 약초꾼 되겠어요
@강프로 정년하고 약초꾼해보려구요^^*~~
@산야신 오~~멋진생각이에요...
잘보고 갑니다
네 수고했어요
채취 시기는 내 눈에 띨적에 ㅎ
정답입니다요
우왕~~약초 종류 많네요
저는 몰라서 못캐겠네요~~
다할려고하지말고 꼭 필요한거 몇개만 기억해둬요
ㅋ 자기가 자주먹는 약초만 기억했다가 하면됩니다 저걸 어떻게 다 할까요??
ㅎㅎ 글게요...잡마니가 되어야 가능하고 직업이 되어야 가능한 얘기지요..
산에 갈때마다 보이면 채취하면 됩니다.
맞는말씀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