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3년 7월 18일 화요일(癸卯년 己未월 丁丑일)
坤
□丁己癸
□丑未卯
丁丙乙甲癸壬辛庚
卯寅丑子亥戌酉申
서울의 저 높은 빌딩 속에는 과연 사람이 있을까? 밖에서 보이지 않으니 알 수가 없지만 비워두었을 리는 없다. 분명히 두뇌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건물을 가득 채우고 있을 터이다. 서울 강남 쪽 대로변이 아니고라도 강북의 광화문 앞이나 종로나 명동에는 얼마나 많은 높은 빌딩들이 숲을 이루고 있는가? 또 지방 대도시 중심가는 어떤가?
블룸버그 통신에 의하면 2024년 아시아 1위 부자는 인도 석유·통신 대기업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를 지배하는 암바니 가문이라고 한다. 2위는 인도네시아 담배회사인 자룸과 BCA은행 등을 소유한 하르토노 가문이고, 3위는 인도 건설업체 사푸르지 팔론지 그룹을 운영하는 미스트리 가문이라고 한다. 나는 들어보지 못한 가문들이 아시아 부자들이다. 이어 4위는 홍콩 최대 부동산 개발업체인 순훙카이를 운영하는 궈(郭) 가문이고, 5위는 태국 대기업 CP그룹을 이끄는 체라와논 가문이라고 하니 한국 일본 중국은 아시아 등 부자 안에 없다. 가문이라는 단어를 쓰는 것을 보니 삼성가(三星家)처럼 아시아 부호들은 재벌 가문 중심인 모양이다.
어제는 구글 코리아가 있는 건물로 들어가 볼 기회가 있었다. 근처에 페이스북 코리아도 있다고 한다. 한국 마이크로소프트는 광화문 쪽에 있는가 보다. 내가 아는 몇 개의 세계적 기업 말고도 정말 얼마나 많은 기업들이 있는가? 일류 직원들이 출퇴근 시간이나 복장 등에 얽매이지 않고 생활하면서도 서로 모든 다양한 경험과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미팅이 많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학문은 공유되어야 한다고 일찍부터 말해 온 나다. 나보다 1초라도 먼저 발표된 내용이 있다면 1초 늦은 나의 이론은 표절이 된다. 대만의 TSMC를 모르는 사람 많을 것이다.
“TSMC는 대만의 세계 최대 파운드리 foundry (반도체 수탁생산) 기업이다. 애플, 퀄컴, 삼성전자, VIA, NVIDIA 등과 같은 전 세계 내로라하는 기업들을 주요 고객으로 두고 있다. TSMC는 아이폰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AP)인 ‘A13’을 독점 생산하고 있다. TSMC는 세계 최대 반도체 시장인 중국과 글로벌 시가총액 1위 업체인 애플을 등에 업고 기술력까지 꾸준히 고도화하며 1위 자리를 공고히 할 기세다.” 인터넷에 나온 설명이다.
검색을 해보니 파운드리는 이렇게 저렇게 만들어주라는 주문을 받아 만든 반도체를 말하는 듯 하다. 반면 삼성이 만든 반도체는 자동차 부품과 같이 제품이 들어가는 반도체인 듯 하고... 기본이 탄탄할 때 생기는 응용력이 만들어 내는 반도체는 파운드리일 것 같다.
음이 양을 지배한다. 양이 음을 무시하는 한국의 문화로는 기본적인 학문의 발전은 요원(遼遠)하다. 기초 과학 등은 돈이 되지 않는 학문이다. 인문학도 마찬가지이다. 노벨상 수상은 돈으로 되는 일이 아니다.
坤
□丁己癸
□丑未卯
丁丙乙甲癸壬辛庚
卯寅丑子亥戌酉申
연간 癸水는 더 확산 더 상승, 월간 己土는 더 응축 더 하강, 이러한 경우는 확산일까? 응축일까? 이따금 받는 질문이다. 또 있다. 천간에 음간과 양간이 동시에 있으면 두뇌를 써야 할까? 아니면 손발을 써야 할까? 이때 필요한 것이 기본이다. 질문을 들으면 상대방의 수준을 알 수 있다. 음과 양의 비율은 5:5이고 음이 양을 통제하니 상대방의 언행 표정 제스처 등에는 보이지 않는 음이 들어있다. 보이는 양을 통해 보이지 않는 음을 읽을 수 있어야 한다.
연간 癸水 편관은 음간이므로 손발보다는 두뇌를 더 확산 더 상승하는 모습으로 써야 한다. 월간 식신 己土는 역시 음간이므로 손발보다는 두뇌를 더 응축 더 하강하는 모습으로 써야 한다.
양간이면 두뇌보다는 손발을 사용하면 좋고, 음간이면 손발보다는 두뇌를 사용하면 좋다. 그러나 세상일이 뜻대로 되지 않는다. 불교에서는 사는 일이 고(苦)라고 했다. 팔자대로 하고 싶은 일을 하며 살면 고(苦)일 리가 없다. 팔자대로 살기가 쉽지 않다. 개인적 가정적 사회적 외부 강한 힘 때문에 팔자대로 사는 것이 쉽지 않다.
대학교수보다 유치원 아이들이 인생의 정답을 더 잘 알고 있다. 삶의 모든 것은 유치원에서 배운다. 정답은 단순한 데 있기 때문이다. 자연의 법은 간단 단순 명료하다. 봄 여름 가을 겨울의 변화 그리고 아침 낮 저녁 밤의 변화가 자연의 법이다. 명리학은 자연의 법을 배우는 학문이다.
****
적천수 자평진전 난강망 등 명리학 3대 보서라는 책을 새로운 명리학 이론에 근거해서 재해석해 본다.
****
寅월 丁火
□丁□□
□□寅□
正月 丁火 甲木當權 乃為母旺 非庚不能劈甲 何以引丁 姑用庚金。
寅월 丁火는 甲木이 당권(當權)하여 모왕(母旺)한바, 庚金이 아니면 벽갑할 수 없어 인정(引丁)이 어려우니 庚金을 고용한다.
해설) 寅월에 丁火는 병(病)이고 甲木은 건록이다. 난강망은 甲木 정인이 건록으로 모왕(母旺)하니 庚金으로 다듬어야 한다고 한다. 난강망이 좋아하는 甲庚丁 벽갑인정(劈甲引丁)이 다시 등장했다. 甲木을 庚金으로 다듬고 丁火로 불을 붙여야 한다는 웃기는 이야기이다.
또 庚金을 쓰려면 반드시 丁火로 제련해야 한다. 그래서 寅월 丁火에 甲庚이 있으면 대체로 상격(上格)이다.
해설) 庚金이 무쇠와 같으니 丁火로 제련(製鍊)해야 한다고 한다. 甲木에서 사용했던 甲庚丁이 나왔다. 지지도 모르고 운도 모르면서 甲庚丁만 있으면 상격(上格)이라고 한다. 앞으로 나올 庚金에서도 甲庚丁은 등장한다. 도끼로 장작을 패서 丁火로 불을 붙인다는 벽갑인정(劈甲引丁)이다. 앵무새처럼 같은 말 반복이다.
或一派甲木 無庚制之 非貧即夭。
혹 한 무리의 甲木이 있는데 庚金이 없어 이를 제(制)하지 못하면 가난하거나 요절(夭折)에 이른다.
해설) 寅월 丁火에 甲木이 많을 때 庚金이 없으면 가난하거나 요절한다고 한다. 웃긴다. 팔자에서 가장 강한 세력을 격(格)이라고 한다. 寅월 丁火에 甲木이 몇 개 투하면 정인격이다. 왜 강한 세력을 사용해야지 庚金을 사용해서 금극목 해야 하는가? 몇 건의 주변 사람 사례를 보고 운도 보지 않고 이렇게 단정하는 것은 옳지 않다.
或只一甲木 多見乙木者 必離鄉之客 焉問妻兒。
혹 단지 하나의 甲木과 여러 乙木이 있으면 필시 고향(故鄕)을 떠나고, 처와 자식은 온전하지 못하다.
해설) 庚金이 없이 甲木 하나와 乙木이 많으면 고향을 떠나게 되고 남자가 고향을 떠나니 처(妻)와 자식은 물어 볼 것 없이 좋지 않다고 한다. 역시 웃긴다.
丁火 일간에게 甲木은 정인이고 乙木은 편인이다. 인성이 강하면 식상과 재성이 약해진다. 만일 처(妻)가 재성이 아니고 자식은 식상이 아니라면 어떻게 되는가? 재성은 마음대로 다룰 수 있는 대상이고, 식상은 하고 싶은 일이다.
寅월 丁火에 많은 甲木이 있을 때 庚金의 제(制)가 없으면 가난하거나 요절한다.
해설) 寅월 丁火에 많은 甲木이 있다면 정인격이다. 寅월에는 절대로 庚金이 甲木을 금극목할 수 없다. 寅월에 庚金은 절(絶)이고 甲木은 건록이기 때문이다. 오행은 서로 극하고 생하는 관계가 아니다. 그냥 독자적으로 존재한다. 오행의 상생상극은 십신 정할 때만 사용한다.
或見甲乙 生庚子時 又主妻早子早 且可採芹。
혹 寅월 丁火에 甲乙木이 있고 庚子시에 태어나면 처자를 일찍 두고 채근(採芹)은 한다.
해설)
庚丁□□
子□寅□
寅월 丁火에 甲乙木이 있고 庚子시에 태어나면 처자를 일찍 두고 채근은 한다고 한다. 채근은 먹고 산다는 의미이다. 이 설명도 웃긴다. 자꾸 甲乙木이라고 하는 이유는 甲木과 乙木을 구분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庚金이 금극목으로 木을 다스린다고 한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寅월에 庚金은 절(絶)이고 甲木은 건록이다. 어떻게 절(絶)이 건록을 다스릴 수 있겠는가? 주변에서 본 한두 명의 사주를 가지고 단정한다. 같은 사주라도 시대 환경 주변 인물에 따라 다른 삶을 산다. 같은 날 태어나도 전라도에 살면 전라도 말을 하고, 경상도에 살면 경상도 말을 한다. 부모의 교육 정도나 직업이 다르면 다르게 성장할 가능성이 크다. 팔자 탓이 아니고 환경 탓이다.
得壬化木 弱極復生 合此必主大貴 但此化合 反以不見庚破格為妙。
寅월 丁火가 壬水를 만나 木으로 화(化)하는 화격(化格)이 되면 대귀하게 된다. 이때는 화(化)의 기운인 木을 극하는 庚金을 보면 않아야 묘(妙)하다.
해설) 천간합의 글자는 천간에서 반대편 글자의 조합이다. 丁壬합木이라고 하는데 이때 木이 甲木인지 乙木인지 모른다. 丁壬합木에서 木은 인성이 된다. 丁壬합으로 인성을 얻으면 대귀하게 된다고 하고 이때는 木을 극하는 庚金이 있으면 안 된다고 한다. 그러나 천간합에 대한 눈금이 정확하지 않는데 그다음 설명을 믿을 수 있을까? 저울의 눈금을 다듬을 때이다.
或有庚金壬癸 得己土出干制之 此命不由科甲 亦有異途。
혹 寅월 丁火에 庚金과 壬癸水가 있고 己土가 출간하여 水를 제(制)하면 과거급제는 아니어도 이로(異路)로 공명을 이룬다.
해설) 壬水와 癸水를 구분하지 못하니 壬癸水라고 하였다. 천간과 지지가 아닌 오행으로 설명하는 책들은 보지 않는 것이 좋다. 오행의 상생상극을 휘두르는 책도 마찬가지이다. 寅월 丁火에 壬癸水는 수극화로 일간 丁火를 극하니 좋지 않다고 한다. 이때 己土가 있어서 壬癸水를 토극수로 제(制)하면 과거급제는 아니어도 이로(異路)로 공명을 이룬다고 한다. 오행의 상생상극으로 돌리고 돌리는 수법을 쓴다.
或一派壬癸 不得寅時 又無庚金 必主窮困。
혹 寅월 丁火에 壬癸水가 많을 때 寅시도 아니고 庚金도 없다면 반드시 곤궁하다.
해설) 寅월 丁火에 壬癸水가 많다면 수극화로 일간을 극하여 반드시 곤궁하다고 한다. 여기서도 壬癸水라고 하여 壬水와 癸水가 같은 것처럼 설명하고 있다. 일간 丁火에게 壬癸水는 관성이 된다. 관살이 강하면 일간이 극을 당하여 괴롭다고 하는 경우가 있다. 웃긴다. 다른 곳에서는 관살이 강하면 정관격이나 편관격이 되니 좋다고 상황을 보며 이랬다저랬다 한다. 만일 寅이 있거나 庚金이 있으면 곤궁을 면한다고 한다. 그때 그때 사주와 사는 모습을 보고 우왕좌왕한다. 이런 책으로 배우니 지금도 팔자를 수년간 공부해도 우왕좌왕하는 경우가 많다. 다시 말하자면 팔자 원국은 운의 영향을 받고, 팔자 원국과 운은 주변 환경의 영향을 강력하게 받는다. 또 오행의 상생생극은 십신을 정할 때만 사용한다. 천간과 지지 구분없이 오행의 상생상극으로 돌리고 돌리는 수법을 쓰면 안 된다.
或丁年 壬月 丁日 壬時 男主大貴; 女則不宜。但子女艱難。女命合此 淫賤 刑夫剋子。
혹 寅월 丁火의 천간이 壬丁壬丁이면 남자는 대귀하나 여자는 그렇지 않다. 여명(女命)이 이와 같으면 자녀를 두기 어렵고 음천(淫賤)하고 남편과 자식을 형극(荊棘)한다.
해설)
壬丁壬丁
□□寅□
더 응축 더 하강하는 글자로만 모여있다. 寅월에 丁火와 壬水는 병(病)이다. 병사묘는 퇴근하기 위해 일을 점차 마무리해 갈 시기이다. 원문은 丁壬합으로 木 인성을 얻어 명예를 취할 것으로 본다. 인성이 강해지면 식상과 재성이 약해진다. 인성이 강해지니 남자는 명예를 얻어서 좋고 여자는 식재가 약해지니 남편과 자식이 좋지 않다고 보고 있다. 남자라면 대운이 역행하여 水와 金 즉 관성과 재성으로 흘러가고, 여자라면 대운이 순행하니 木을 거쳐 火와 金으로 가니 비겁과 재성으로 간다. 그러나 난강망이 그것까지 생각했을 리는 없다.
명리 고전은 종교 경전처럼 무조건 옳다고 여겨서는 안 된다. 명리학은 그냥 학문이다. 자연의 법에 기준을 두어 더욱 연구하고 시대에 맞게 발전시켜야 한다. 몇백 년 전 고서를 신주 모시듯이 보듬고 있으면 안 된다.
或支火局 無滴水解 僧道之命。見甲出略可。
혹 寅월 丁火의 지지에 화국이 있을 때 水가 한 방울도 없다면 승도의 팔자이다. 이때 甲木이 출(出)하면 대략 좋다.
해설) 寅월이면 화국이 될 수 없으니 나머지 설명은 무효이다. 寅월은 이제 막 겨울을 지나고 봄의 시작된 때이다. 양력 2월쯤이니 火가 강할 리가 없다. 화국이 되어 火가 강할 때 한 방울 물도 없다면 승도의 팔자라고 한다.
寅월에 壬水는 병(病)이고 癸水는 장생이다. 한 방울 水가 없는 팔자는 없다. 모든 지지에는 모든 천간이 들어있다. 난강망은 丁火는 약해서 甲木의 도움이 있어야 한다고 한다. 웃긴다. 여기에 영향을 받은 많은 사람이 丁火와 甲木을 연결하여 좋은 관계라고 한다. 장작에 불을 붙인다고 한다. 초보자나 입문자는 그대로 속는다. 한번 입력된 정보는 사라지지 않는다. 몇 년을 배워도 더욱 혼란만 가중되는 이유이다. 팔자의 글자들은 돕고 도움을 받는 관계가 아니다. 모든 글자는 출근해서 일하고 퇴근해서 잠자는 과정을 독자적으로 반복한다. 다른 글자를 괴롭히거나 도움을 받지 않는다.
總不可無水。水多亦不宜。
결론적으로 寅월 丁火는 水가 없으면 불가하고, 水가 지나쳐도 문제가 된다.
해설) 寅월 丁火는 목생화가 되니 火가 강해진다. 그래서 水가 수극화를 해주어야 한다고 소설을 쓴다. 壬水인지 癸水인지도 구분하지 못하고 丙火인지 丁火인지도 구분하지 못한다. 천간과 지지도 구분하지 못하고 寅월 丁火를 목생화가 되어 강하다고 한다. 한심하고 답답한 설명이다. 寅월 丁火는 일을 줄여가며 퇴근을 준비하는 병(病)의 상태이다.

첫댓글 해설 아홉번째 중간 :일간 정화에게 임"세"수 》"계"로 고쳐야겠습니다^~^
수정하였습니다.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기본이 탄탄하면 응용력이 생긴다 ~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