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의 환자에서 고관절 치환술 후 발생한 섬망
Original Article : Postoperative Delirium after Hip Arthroplasty in the Elderly
- 저자명
- 황성관, 이창호
- 문서유형
- 학술논문
- 학술지
- 대한고관절학회지 22권 2호 151-158 1226-9409 KCI 등재
- 발행처
- 대한고관절학회
- 발행년도
- 2010
- 발행언어
- 한국어
- 서지링크
- 한국학술정보 , 의학연구정보센터
서론:
본 연구는 65세 이상의 환자에서 고관절 치환술 후
섬망이 고관절 치환술의 경과에 끼치는 영향과 섬망의 위험인자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3월부터 2008년 3월까지 본원에서 고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65세 이상의 환자 중 총 19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섬망이 발생하지 않은 131명과 섬망이 발생한 환자 62명을 두 군으로 나누어 수술의 임상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섬망의 발생유무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진 인자들을 조사하였다.
결과:
수술 당시 재원기간은 섬망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보였다.
수술 전의 축적 보행 점수는 섬망군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치를 보였다.
탈구에 있어서는 비섬망군 2명, 섬망군은 4명에서 탈구를 경험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원인질환 중 고관절부 골절에서 섬망의 발생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기저질환 중 정신질환, 알코올 남용, 간경화증, 뇌혈관질환이 섬망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빈도를 보였다.
중환자실 재원기간도 섬망군에서 길었으며,
혈액 검사상 혈중 나트륨 및 알부민 수치가 섬망군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치를 보였다.
결론:
고관절 치환술 후 섬망은 수술의 결과를 악화시키므로
수술 전 섬망에 관련된 위험인자에 대한 평가 및 처치를 시행해야 한다.
Delirium(섬망)
정의 : 다양한 정신기능 이상으로 나타나는 급성 또는 아급성의 발병을 보이며, 일시적이고, 대개는 가역적인 뇌 대사의 장애를 말한다. 정신기능은 주로 의식 및 인지기능의 손상으로 나타난다.
섬망은 질병이라기 보다는 하나의 증후군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원인은 다양하지만 비교적 급격히 나타나는 의식 및 인지기능 장애를 보이는 일련의 증상군을 섬망이라고 한다.
역학
수술 후-고관절(40-45%), 심장수술(90%), 각종 중질환(15-20%), 화상(20%), AIDS(30%)
유발요인 1) 노인 : 가장 위험한 요인
2) 소아
3) 기존의 뇌손상(특히 치매, 중풍, 뇌종양 등)
4) 과거에 섬망이 있었던 경우
5) 알콜 중독
6) 당뇨병
7) 암
8) 감각 기능 소실(특히 실명)
9) 영양결핍
원인
중추신경계 질환
전신질환
약물 중독이나 금단 (알콜 금단 섬망이 흔하다)
진단
1. 병력
1) 증상이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것이 특징
2) 기존의 신체질환
3) 과거 두부손상
4) 약물 남용이나 의존
2. 정신상태검사
-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ace-Hand Test, Trail Making Test 등이
인지기능 장애의 평가에 유용하다.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 치매(2)강의 참조
- 지남력(10점),
기억력(3*2점)
주의력(100-5 또는 삼천리강산, 5점),
언어(이름*2점, 반복-간장공장공장장*1점,
이해(종이를 들어서, 접어서, 내려놓기)*3점),
시각적 구조능력*1점
- 간단한 선별 검사로 환자의 시간에 따른 변화양상도 추적할 수 있는 실용적 검사법임
- 30 points 만점
- <25 : 장애를 시사함
- <20 : 명백한 장애
3. 신체검사 및 각종 검사 : 뇌파 등
임상양상
섬망 수일 전 : 불안, 졸음, 불면, 일시적 환각, 악몽, 초조 등의 증상
주 증상 : 의식 장애, 주의력 장애가 오락가락하며, 의식이 명료해지는 기간도 있음
각성상태 : 활동과민형(hyperactive) vs 활동저조형(hypoactive)
지남력 장애 : 시간 - 장소 - 사람 순으로 장애가 온다
언어 장애 : 두서 없다. 문장의 논리가 맞지 않고(incoherent),
부적절한 대답(irrelevant)을 하며 이해력이 저하된다.
기억력 장애 : 대개 단기기억의 이상
지각 : 환시와 환청이 가장 흔하다. 환촉도 가끔씩
정동 : 분노, 격분, 공포, 무감정, 우울, - 감정이 하루에도 몇 번씩 변한다.
수면장애 : 낮에 자고 밤에 자주 깬다. 악몽
신경학적 이상 : 구음장애, 진전, 소변 저림,..
경과 및 예후
대개 갑자기 발생
선행증상
기간 : 대기 1주일 이내, 원인을 제거하면 3-7일 지나면 좋아진다.
예후 : 대개는 완전회복, 일부는 사망(6개월 내 사망률 20%이상)
치료
일차적 목표 : 신체적 상태의 회복
다음 목표 : 신체적, 감각적, 환경적 도움
(친근한 가족이 옆에 있고, 달력과 시계를 두어 지남력이 유지되도록 돕고
안경과 적절한 조명 및 창문을 열어 감각의 유지 및 심리적 안정을 유도)
약물치료
첫댓글 교통사고로 와상상태에서 요양원에 계시는 어머니는 누워서도 아픈이들에게 많은 메세지를 들려준다 섬망이나 치매초기증세에 녹두를 먹으면 탁월한 진전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