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감을 가진 사람이라면 인사실패다...깊이 반성하고 책임져야
몸통은 자르지 않고 꼬리만 잘라서는 미래가 없다
인사담당자 책임은 크다
인사가 만사라고 한다. 사람의 일, 즉 모든 일이라는 뜻으로 알맞은 인재를 적재적소에 잘 써야 모든 일이 잘 풀린다는 말이다.
적재적소에 적임자를 써야 정부나 기업체가 발전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정부나 기업체는 인사를 잘 못해서 파산위기에 몰린다.
인재등용, 역사적으로 살펴보면 인사가 만사라는 인사만사의 인재등용에 신경을 쓴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중국의 삼국지를 보면 유비가 제갈량이라는 걸출한 인물을 얻기 위해 세 번이나 찾아갔다는 ‘삼고초려(三顧草廬)’ 가 유명하다. 그만큼 인재등용을 중요시하고 훌륭한 인물을 앉혀 정사를 보려했던 유비었다.
또한 율곡 이이(李珥)는 세 가지 타입의 현명한 신하를 꼽았는데 하나는 도덕성을 잘 갖춘 사람, 즉 도덕이 몸에 배 임금을 섬기는 자이다. 하나는 백성을 잘 섬기는 사람, 즉 백성을 편하게 하며 정도를 행하는 신하인 대신이다. 하나는 백성을 보호하고 국가 안위를 생각하는 충신, 즉 간절히 나라를 걱정하면서 자기를 돌보지 않고 정성을 다하여 백성을 보호하고 국가를 편하게 하는 신하인 충신으로 항상 자기 직분과 능력을 생각하여 그릇 크기는 경국에 미치지 못해도 재능이 하나의 관직은 능히 맡을만한 신하인 간신이다.
조선조 실학자 순암 안정복(安鼎福)은 고을을 다스리는 수령이 멀리해야할 세 가지 타입의 관리로 ‘세리(勢吏), 능리(能吏), 탐리(貪吏)’ 를 들었다. 권세를 믿고 멋대로 조종해서 자기 명리(名吏)를 쫓는 자인 세리, 윗사람을 능숙하게 섬겨 총애를 잡고 재주를 부려 명예를 일삼고 자기 몸만 살찌게 하는 자인 능리, 백가지 계교로 교묘히 사리(私利)를 구하고 자기 몸만 살찌게 하는 자인 탐리를 경계한 것이다.
인사가 만사라는 말은 백번 천 번 말해도 잘 못됨이 없다. 옳은 말로 인재등용에는 적절한 인사를 해야 만이 만사가 잘 풀린다.
인사의 권한을 가지고 원칙을 따라 재능을 따라 적제적소에 신바람 나게 일하도록 하는 일이 지도력을 발휘한다. 이러한 인사가 원칙을 무시하고 혈연, 지연, 학연에 얽매여 선심성 인사를 행하게 되면 당연히 원칙이 무너지게 된다. 이에 집권자와 관련된 사람이 요직에 발령 나면 ‘낙하산 인사’ 라고 한다. 이러한 인사발령이 나면 나오는 말들로는 ‘코드인사, 보은인사, 회전문인사’ 라는 말까지도 있다. 심한 경우 ‘X판 인사’ 라는 말까지 한다.
인사가 만사라고 하면 좋은 인재를 잘 뽑아서 적재적소에 배치하는 것이 모든 일을 잘 풀리게 하고 순리대로 돌아가게 한다는 것을 알면서도 그렇지 않는 게 우리 사회다.
원칙과 정도를 벗어난 인사는 큰 재앙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우리는 지금 사회 다방면에 걸쳐서 얼마니 뼈저리게 겪고 있는지 모른다.
축구에서 명장이라고 칭송을 받는 경우는 물론 우승을 하는 성적도 중요하지만 야생마 같은 선수들의 재능들을 발굴하고 자신의 실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전략적으로 배치하는 일도 명장의 요건에 속한다.
다신 정약용(丁若鏞)은 ‘간쟁(諫諍)’ 을 좋아하는 신하는 배반하지 않는다고 했다. 기탄없이 자기가 믿는 바를 말할 수 있는 ‘직언(直言)자’ 가 있어야한다는 얘기다.
인사에 있어서 먼저 사람과 인격이 된 사람, 그리고 그의 삶의 여정에서 윤리적으로 사회적으로 청렴한 삶을 살아온 이, 그리고서 정말 실력 있는 전문성을 갖춘 이를 원칙을 따라 등용하고 일을 맡기는 일은 지도자에게 있어서 모든 일을 잘 감당하기 위해 가장 우선되는 고민이다.
인사가 만사라는 말은 예나 지금이나 변함없는 금언이다. 이번 모임 사회단체의 사무업무를 본 분이 1년도 못 채우고 몇 개월 만에 도중하차했다. 부끄러운 인사실패로 기록됐다. 긍정 평가가 30% 아래로 떨어진 운석열 대통령의 직무 수행평가에서도 부정 평사 이유의 가장 큰 요인으로 인사 문제가 꼽히고 있다. 알맞은 인재를 자리에 써야 모든 일이 잘 풀린다는 인사만사의 금언을 조모임 단체를 이끌고 있는 분이 다시 한 번 새겨봐야 하지 않을까싶다.
모임 단체 모든 업무를 담당한 분이 물러나는 일은 인사등용 실패다. 인사등용에 대한 책임을 물어야한다. 모임 단체가 인사기능이 조직담당자에게 맡기는 만큼 인사등용의 총괄책임을 맡고 있는 조직담당자는 이번 사태에 대해 직접적인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
누가 그런 사람을 기용했는지를 분명히 밝힐 필요가 있고, 왜 그런 사람을 신뢰하며 업무를 맡기려했는지에 대해 소상히 설명해야한다. 모임 단체를 이끌고 있는 리더자는 제대로 검증하지 못하고 기용했던 것은 그만큼 어느 특정인의 말만 믿고 일을 보고 있다는 증거다.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인사를 하여 미숙한 면이 드러난 불안정한 상태를 보여준 인사에 대해 단체 큰 어른으로 모시고 믿고 따르는 모든 분들에게 머리 숙여 사과해야한다. 그런 사람을 알아보고 소개하고 쓰게 한 분은 그냥 나둬서는 안되며 더 이상 일을 맡겨서는 안 된다.
인사기용에 관여한 담당자는 몰염치한 인사발굴에 마땅한 책임을 져야한다. 반감을 불러들일 만한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직의 안정을 깨뜨리는, 모임의 분위기를 흐리게 하는, 사람들을 기분 나쁘게 하는 분을 사무업무 직으로 일을 맡기게 됐는지 답변해야한다.
사람 하나 잘 못 두어 여러 사람들과 감정을 사게 했다. 이미지가 실추됐고 창피한 일로 떳떳하지 못한 단체로 비치게 됐다. 이 모두가 인재등용이라며 기용한 게 잘 못이며, 오로지 책임이 따른다. 책임을 지고 더 이상 인사문제에 나서서는 안 된다.
최근 윤석열 정부가 정순신 변호사를 검찰청 국가수사본부장에 임명 된지 하루 만에 자식의 학교폭력 전력으로 낙마하는 등 윤석열 정부의 고위공직자 검증 시스템이 도마에 올랐다. 정 변호사가 검증 기초가 되는 사전질문 작성 과정에 허위 답변을 제출한 사실을 걸러내지 못했다는 점을 여당에서는 책임을 요구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정 변호사에 대한 인사 참사는 1차 검증을 담당하는 법무부 장관의 책임이다 라고 단호한 책임을 묻고 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소속 위원 일동은 국민을 대신해서 아래와 같이 요구한다. 첫째 윤석열 대통령은 정순신 변호사에 대한 인사 검증 실패에 대해 즉각 사과하라. 그리고 둘째 반복되는 인사 참사에 대한 책임을 물어 한동훈 법무부 장관을 즉각 경질하라고 주장한다.
단체 수장은 인사책임, 사람을 알아본 인사담당자를 문책해야한다. 그냥 지날 칠 수 없는 일이다. 진정한 화합과 단합을 도모하려한다면, 벌전과 활성화를 기하려한다면, 미래를 밝게 열려면, 진정으로 단체 회원들을 사랑한다면 수족을 자를 용기가 필요하다.
인사문제로 일들이 그릇치고 있다. 정치권 국민의힘이 연이은 인사 실패로 빈축을 사고 있다. 김성태 전 의원, 함익병씨에 이어 공동선대위원장을 맡았던 노재승씨도 사흘 만에 물러났다. 이는 인사가 잘못됐다는 얘기다. 인사검증은 언론들이 했다. 거의 다 아는 사실인데도 국민의힘 지도부만 몰랐던지 알고서도 그랬는지 잘 모르겠지만 어쨌든 문제의 인사에 대한 정리는 했지만 후유증을 낳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문제가 있으면 물러나는 게 맞다. 그러나 물러나는 것으로 끝났다고 보는 것도 옳지 않다. 누군가는 책임을 지고 고개를 숙여야한다. 인사실패에 지금껏 진정으로 사과한 적이 없는 것 같다. “나는 직접 관여하지 않았다” 고 빠져나가는 듯 하는 모습을 보이면 안 된다. “나는 그저 시키는 대로 했을 뿐이다” 라는 자신은 책임이 없는 것처럼 하면 정말 나쁘다. 누가 추천했든 대표로서 머리를 숙여야한다. 앞으로는 많은 사람을 영입할 것으로 본다. 같은 우(愚)를 범하지 않도록 최소한의 검증은 필요하다는 점을 잊지 말라.
김대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