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에서/ 박재삼
진주 장터 생어물전에는
바닷밑이 깔리는 해 다 진 어스름을,
울엄매의 장사 끝에 남은 고기 몇 마리의
빛 발(發)하는 눈깔들이 속절없이
은전(銀錢)만큼 손 안 닿는 한(恨)이던가
울엄매야 울엄매
별밭은 또 그리 멀어 우리 오누이의 머리 맞댄 골방 안 되어
손시리게 떨던가 손시리게 떨던가
진주 남강 맑다 해도
오명 가명/ 신새벽이나 별빛에 보는 것을
울엄매의 마음은 어떠했을꼬
달빛 받은 옹기전의 옹기들같이
말없이 글썽이고 반짝이던 것인가
- 시집 <춘향이 마음> (신구문화사,1962)
.......................................................................................
새벽마다 시장 어물전으로 생선을 팔러 나가시는 어머니. 밤늦도록 남은 고기 몇 마리 바닥에 펼쳐놓으시고 ‘은전’이 손에 닿지 않는 돈벌이임에도 쉬 전을 걷지 못한다. 골방에 남겨져 머리 맞댄 채 추위에 오들오들 떨고 있는 자식들 생각하면 당장이라도 달려가야겠지만 생물이란 게 오늘 못 팔면 내일 팔 수 있는 물건이 아니지 않는가. 엄마 눈가에 맺히는 눈물은 그렁그렁 별밭이 되어 또 그렇게 멀리 있다. 문득 여기서 기형도 시인의 <엄마걱정>이란 시가 떠오른다.
진주 남강이 아무리 맑다 한들 이른 새벽과 늦은 별밤 바삐 오가며 들여다볼 겨를이나 있었겠냐. 오로지 자식 위해 그 험한 고생 마다않으시는 당신의 그 마음이 바로 맑은 물이고 빛이었으며, ‘달빛 받은 옹기전의 옹기들 같이’ ‘말없이 글썽이고 반짝이던’ 고귀함이 아니었겠느냐. 하지만 그건 속절없이 쓸쓸한 자식에겐 한이 된 어머니의 눈물방울이었으리. 맺힌 한을 풀 수 있었더라면 한도 아닐뿐더러 이다지 옛 추억을 되짚지도 않았을 것이다.
그렇다고 눈물과 한의 시인에게만 어머니에 대한 한과 그리움이 있는 것은 아니다. 세상에 계시거나 계시지 않거나 사람들에겐 어머니를 향한 애잔함과 그리움만큼 크고 보편적인 것은 없으리라. 어머니는 모든 이의 가장 깊은 사랑의 근원이며 영원토록 변치 않을 그리움의 대상이므로. 다만 박재삼 시인은 가난과 설움 가운데서도 가장 보편적이고 전통적인 한국인의 정서와 서정성으로 아름답게 언어의 그릇에 담았다는 차이가 있다.
질박한 옹기의 볼록한 부분이 달빛을 받아 글썽이고 은은히 빛나는 것에서 엄마의 눈동자와 마음을 보았으니 우리로선 참 어리어리한 정서적 충격이 아닐 수 없다. 국민학교를 졸업한 뒤 가난 때문에 중학교 진학을 못하고 삼천포여중 사환으로 들어가 일할 때 당시 교사였던 시조시인 김상옥을 만나 시에 뜻을 품게 되었다는 박재삼 시인. 이번 주말 박재삼문학제가 열리는 그의 고향 삼천포로 빠져서 그의 시심에 풍덩 한번 빠졌다 오고 싶다.
권순진
첫댓글 자식들이 어머니 마음을 헤아려 잘할려고 할때 그땐 세상에 계시지 안는다는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