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로 왈(曰)자는 입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말을 하는 입이라는 듯으로 입 구(口)자 가운데에 한 일(一)자를 했습니다.

曰
가질 압(曱)자는 가로 왈(曰)에 뚫을 곤(丨)자를 해서 입에 문 모양을 했습니다. 입에 물었다는 것은 자기가 가졌다는 뜻이지요. 가진 것 중에서 가장 확실하게 가진 것은 바로 입에 넣은 것 아니겠습니까?

+
= 曱
굽을 곡(曲)자는 가로 왈(曰)자에 뚫을 곤(丨)자를 두 개 했습니다. 굽을 곡(曲)자의 옛 글자를 보면 구부러진 모양을 표시한 글자임을 알 수 있습니다. 굽을 곡(曲)자는 굽은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曲
끌 예(曳,曵)자는 가로 왈(曰)자에 파임 불(乀)자를 하고 삐침 별(丿)자를 했습니다. 그러나 여기서는 가로 왈(曰)자가 입을 뜻하지 아니하고 손(手) 둘을 뜻합니다. 두 손으로 물건을 끄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파임 불(乀)자와 삐침 별(丿)자는 물건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曳 
+
+
= 曳
잠깐 유(㬰,臾)자는 사람 인(人)자에 절구 구(臼)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절구 구(臼)자는 손을 두 개 표시한 글자입니다. 잠시 사람을 붙잡고 있는 그림입니다. 사람을 잡고 있기가 어렵지요. 그래서 잠깐 동안 잡고 있는 것입니다.
+
= 㬰,臾
고칠 경(更)자는 한 일(一)자 아래에 가로 왈(曰)자를 하고 삐침 별(丿)자에 파임 불(乀)자를 했습니다. 고칠 경(更)자는 물고기꼬리 병(丙)자에 칠 복(攴)자를 했습니다. 물고기 꼬리를 때려서 고친다는 뜻이지요. 왜냐하면 살아 있는 물고기의 꼬리는 때리면 색깔이 변하기 때문에 ‘변한다.’ ‘바뀐다.’는 뜻이 생겼습니다. 병(丙)자는 물고기 꼬리 모양을 그린 글자라고도 하고, 한 일(一)자 아래에 안 내(內)자를 했다고도 합니다. 그러나 안 내(內)자는 사람이 지붕 밑에 들어 있는 모양을 그린 글자입니다. 물고기 꼬리 모양과는 전혀 상관이 없습니다. 또 고칠 경(更)자에 대하여 설명하기를 책상 다리에 기우러지지 않게 보충을 한 것을 그린 글자라고도 하지만 고대에 무슨 책상이 있었을까요?
更
새벽 물(曶)자는 의부(義符)로 가로 왈(曰)자에 성부(聲符)로 말 물(勿)자를 했습니다. 새벽 물(曶)자는 새벽에 잠이 깨이기도 전에 하는 말이 잘 나오지 않고 꼬이는 것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새벽 물(曶)자는 새벽 물(昒)자와 같은 글자입니다.
曶
어찌 갈(曷)자는 가로 왈(曰)자 아래에 쌀 포(勹)자를 하고 그 안에 망할 망(亡)자를 했습니다. 빌 개(匃)자는 죽은 사람 앞에서 명복을 비는 글자입니다. 어지 갈(曷)자도 죽어서 어찌하느냐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曷
쓸 서(書)자는 붓 율(聿)자 아래에 가로 왈(曰)자를 해서, 말을 기록한 것이 글이라는 표시를 한 글자입니다.
書
성 조(曺)자는 마을 조(曹)자와 구별합니다. 마을 조(曹)자는 동녘 동(東)자 두 개를 합하여 놓고 아래에 가로 왈(曰)자를 했습니다. 해가 뜨는 쪽이며 나무가 있는 곳이라는 뜻이겠지요. 가로 왈(曰)자는 그렇게 부른다는 말이니, 동쪽 마을이라는 뜻을 표시하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동쪽에 있는 마을에는 마음이 가고, 생각해야 할 일이 많습니다. 마음이 거기에 가 있기 때문입니다. 옛날 이웃 마을에 대한 관심과 배려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그래서 관아(官衙) 조(曹)자로도 읽습니다. 성씨로 쓸 때에는 성씨 조(曺)자를 써야 합니다. 그러나 성 조(曺)자는 마을 조(曹)자의 變形으로 보아야 합니다.
曹자에서 曺가 구별하여 생겼다고 보입니다.
관아 조(曹)자는 한 일(一)자 아래에 굽을 곡(曲)자를 하고 가로 왈(曰)자를 했습니다. 그러나 옛 글자를 보면 동녘 동(東)자를 두 개 나란히 하고 그 아래에 가로 왈(曰)자를 했습니다. 아침에 날이 밝아지기 시작하면 조정(朝廷)에 모여 조회(朝會)를 하고 일단 퇴궐해서 아침을 먹고 다시 입궐을 하여 나라 일을 보는 것이 옛날 관리들의 출근 방식이었습니다. 고을에서 나라 일을 보는 곳을 동헌(東軒)이라고 하고 나라에서 나랑 일을 보는 곳을 조정(朝廷)이라고 합니다. 아침은 동쪽과 관련이 있습니다.
曹
끌 만(曼)자는 가로 왈(曰)자 아래에 그물 망(罒)자를 하고 또 우(又)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그물 망(罒)자는 그물을 뜻하지 아니하고 눈 목(目)자의 변형입니다. 끌 만(曼)자는 눈길을 끈다는 뜻입니다.
曼
일찍 증(曾)자는 시루에 떡을 찌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일찍 증(曾)자에서 제일 위에 여덟 팔(八)자는 시루에 떡을 찔 때 오르는 김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曾
가장 최(最)자는 의부(義符)로 가로 왈(曰)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취할 취(取)자를 했습니다. 가장 최(最)자에서 가로 왈(曰)자는 말한다는 뜻이 아니라, 쓰개 모(冃)자의 변형입니다. 취할 취(取)자는 귀 이(耳)자에 또 우(又)자를 해서 귀를 잡아당기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가장 최(最)자는 첫째로 뽑혔다는 표시를 한 글자입니다. 가장 최(㝡), 송곳 최(鋷)자는 취할 취(取)자가 들어 있어서 ‘최’로 읽습니다.
最
바꿀 체(替)자는 함께 갈 반(㚘)자 아래에 가로 왈(曰)자를 했습니다. 바꾼다는 말은 함께 있는 것 중에서 역할을 바꾼다는 뜻입니다. 남편 부(夫)자가 둘인 것은 바꿀 수도 있게 둘을 한 것입니다. 남편 부(夫)자는 꼭 남편만을 듯하는 글자가 아니라, 신분이 확실한 성인 남자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남편 부(夫)자는 큰 대(大)자에 모자를 슨 것처럼 윗부분에 획을 더하였는데, 옛날에는 모자가 그 사람의 신분을 표시했습니다.
替
일찍이 잠(朁)자는 목멜 기(旡)자를 두 개하고 아래에 가로 왈(曰)자를 했습니다. 목멜 기(旡)자는 밥을 많이 먹어서 다시 먹지 않으려고 얼굴을 돌린 외면한 모양입니다. 목멜 기(旡)자는 곧 배부른 모양이지요. 일찍이 잠(朁)자는 배부른 글자입니다.
朁
힘쓸 욱(朂)자는 가장 최(最)자에서 성부(聲符)의 부분인 취할 취(取)자에서 또 우(又)자 부분에 힘 력(力)자를 한 글자입니다. 귀 이(耳)자와 또 우(又)자의 배열은 귀를 잡아당기는 표시로써 취한다는 뜻인데, 귀 이(耳)자와 힘 력(力)자는 힘쓸 욱(勖)자를 참고하여 힘을 쓴다는 의부(義符)를 나타낸다고 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곧 힘쓸 욱(朂)자는 가로 왈(曰)자와 귀 이(耳)자를 한 글자를 가로 왈(曰)자와 눈 목(目)자를 한 글자로 보아서 뜻이 같은 힘쓸 욱(勖,朂)자로 이해해야 할 것입니다. 귀와 눈은 모두 사람 얼굴에 있는 감각 기관들이기에 공통점이 있다고 보아야 할 것입니다.
+
+
= 朂
모일 회(會)자는 일찍 증(曾)자에 한 일(一)자를 한 획 더한 글자입니다. 시루떡을 쪄다 놓고 삥 둘러앉아 모인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모일 회(會)자는 모일 집(亼)자 아래에 일찍 증(曾)자의 아래 글자와 같은 글자를 했습니다.
會
작은 북 인(朄)자는 펼 신(申)자에 가릴 간(柬)자를 했습니다. 펼 신(申)자도 자루가 위아래에 달린 작은 북을 그린 글자이고, 가릴 간(柬)자도 북에 자루를 단 작은 북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朄
갈 걸(朅)자는 간다는 뜻을 표시하는 의부(義符)로 갈 거(去)자에 성부(聲符)로 어찌 갈(曷)자를 했습니다. 향풀 걸(藒)자도 어찌 갈(曷)자가 들어 있어서 ‘걸’로 읽습니다.
朅
일찍이 아니할 물(朆)자는 의부(義符)로 일찍 증(曾)자에 성부(聲符)로 말 물(勿)자를 했습니다. 일찍이 아니한다는 뜻은 일직 증(曾)자와 말 물(勿)자가 모두 나타내고 있습니다.
+
= 朆
대신할 체(㬱)자는 먼저 선(先)자 두 개 아래에 가로 왈(曰)자를 했습니다. 순서를 표시하는 먼저 선(先)자를 두 개나 한 것은 교체할 수 있다는 표시를 한 것입니다. 대신한다는 말은 바꾼다는 말입니다.
㬱
더할 첨(㬲)자는 다시 갱(更)자에 더할 익(益)자를 했습니다. 다시 갱(更)자도 더한다는 뜻이 있고, 더할 익(益)자도 더한다는 뜻이 있습니다. 마치 날 일(日)자와 달 월(月)자를 합하여 밝을 명(明)자를 만들 듯이, 다시 갱(更)자와 더할 익(益)자를 합하여 더할 첨(㬲)자를 만들었습니다. 더할 첨(㬲)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더할 익(益)자는 그릇 명(皿)자 위에 여덟 팔(八)자를 하고 한 일(一)자를 하고 다시 여덟 팔(八)자를 해서 마치 켜켜로 시루떡을 만들 듯이 여러 겹 쌓아놓은 모양입니다.
+
= 㬲
더할 비(朇)자는 의부(義符)로 모일 회(會)자에 성부(聲符)로 낮을 비(卑)자를 했습니다. 낮을 비(卑)자는 갑옷을 들고 시중을 드는 사람을 표시하여 신분이 낮음을 나타냈습니다.
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