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보일러 일산화탄소중독 사고
사고유형별 원인분석
1.보일러연도 이탈로인한 사고
1) 겨울철 연도끝부분에 고드름이 아래층으로 떨어지면서 연도가찌그러 지거나 이탈
2) 건물외부 차량이나 물건 충돌로인하여 연도가찌그러 지거나 이탈
2.보일러 연도 내부 이물질로 배기불량
1) 하절기에 연도에 새집, 쥐집을 지어놓은 것을 모르고 보일러가동 할때
2) 연도가 U자나 V자 형태로 굽어져 빗물이나 응축수가 고여있을때
3) 배기팬 고장으로 배기불량 사례도 있음
3. 연도 시공불량으로 이탈
1) 연도접속부 겹치는부위가 짧을 때 호칭지름이 다를 때(규격외제품)
2) 연도 접속부 마감제 석고자재사용 균열또는 부서져 틈새발생
일산환탄소(CO)중독 사고예방
사고예방 주요점검항목
▶ 배기가스가 새고 있는가를 확인 합니다.
• 보일러 사용전에 배기연통 이탈 유무 확인
• 연통이 부식 또는 충격으로 구멍난 곳은 없는가
• 연통이 찌그러지거나 꺽어진 곳은 없는가(건물내부/외부)
• 보일러실에서 배기가스 냄새가 나는가를 확인
l 이상발견시 보일러가동을중단하고 해당보일러 서비스센터로 연락하여 정비후 사용함
CO중독 예방법
일산화탄소 중독의 예방법은 우선 보일러의 폐가스에 CO가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하여야 합니다.
보일러의 종류 즉 CF(반밀폐형 자연배기식), FE(반밀폐형 강제배기식), FF(밀폐형 강제급배기식)에 따라
폐가스의 CO발생은 다를 수 있으나 연소에 필요한 충분한 공기를 공급하여 주고 배기가 외부로 잘 되도록
하여야만 합니다.
그러므로 보일러를 설치하는 장소는 환기가 잘되고 배기가 양호한 장소에 설치하여야 합니다.
두번째는 배기가스가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야 합니다. 배기통 연결부가 연결이 잘 안된 경우,
연결부의 기밀이 안된 경우 등을 예방하기 위하여 보일러 설치기종에 따라 적합하게 시공하여야 합니다.
배기통 설치시는 다음사항을 특히 유의하여야 합니다.
배기통 연결부의 연결불량
연결부위의 기밀유지가 안됨
배기통의 재질, 부식
배기통의 변형 등에 의한 막힘
배기통의 굴곡 등에 의한 응축수 고임으로 배기통 막힘
배기통내 쥐집, 새집 등으로 막힘
응축수에 의한 열교환기 부식
배기통의 풍압대내에 설치에 의한 배기가스 역류
새로 설치한 보일러, 수리한 보일러, 장기간 방치하던 보일러를 가동하기 전에는 가스누출뿐 아니라
배기가스가 외부로 잘 배출되는지
실내로 유입, 누출되는 곳은 없는지
점검을 철저히 하여 CO가스를 예방하여야 할 것이며
CO 가스 중독사고는 평상시는 이상 없다가도 바람이나 저기압, 추위 등에 의하여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항상 조심하여야만 합니다
Ø 최근 가스보일러 설치기준개정내용
밀폐식(FF) 보일러 거주공간내 설치금지(2006년8월시행)
밀폐식 보일러는 방 거실 그밖에 사람이 거처하는곳과 목용탕 사워장그밖에 환기가 잘되지 않아 배출가스가
누출되는경우 사람이 질식할 우려가 있는곳에는 설치하지 아니하여야한다
가스보일러 배기통 접속부 마감조치(2006년2월시행)
가스보일러 호칭지름은 가스보일러의 배기통접속부의 호칭지름과 동일하여야 하며 배기통과 가스보일러의
접속부는 내열실리콘등( 석고붕대는 제외한다) 으로 마감하여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여야한다
시공기록 및 완공도면의 보존방법(2007년3월시행)
가스보일러를 설치한후 시공자는 도시가스사업자와 사용자에게 시공기록
(가스보일러설치시공 및 보험가입확인서)을 7일이내에 교부하여야한다
[사고사례]
일 시 : 2007.01.31 11:00분경
장 소 : 서울 서초구 방배동
인명피해 : 사망 2명
사고내용
가스보일러 배기통이 “V”형태로
설치되어 응축수가 배출되지 않
은 상태에서 배기가스가 실내로
유입되어 중독된 사고임 |

|
일 시 : 2006.04.04 02:00분경
장 소 : 경기 시흥시 매화동
인명피해 : 사망 2명, 부상 1명
사고내용
방조망이 없는 배기통 내부로 새
들어가 둥지를 만들어 배기가스
가 실내로 유입되면서 CO에 중
독된 사고임 |

|
일 시 : 2004.03.14 17:30분경
장 소 : 경기 중원구 금광동
인명피해 : 사망 1명
사고내용
강제배기식 강제배기팬이 작동되
지 않아 배기가스가 실외로 배출
되지 못하고 실내로 유입되어 CO
중독된 사고임 |

|
일 시 : 2007.01.09 16:40분경
장 소 : 경기 구리시 인창동
인명피해 : 사망 2명, 부상 3명
사고내용
보일러의 배기통 말단부의 석고붕
대 일부가 이탈되면서 배기가스가
실내로 유입되면서 CO중독된 사
고임 |

|
일 시 : 2012년 1월 03일 11:1분경
인명피해 : 사망 3명,
사고내용
보일러의 배기통 말단부의 석고붕
대 일부가 이탈되면서 배기가스가
실내로 유입되면서 CO중독된 사
고임 |

|
일 시 : 2012년11월30일21:30분경
장 소 : 부산 해운대구 반송동
인명피해 : 사망 2명,
사고내용
보일러의 배기통 외충격으로
찌그러짐되면서 배기가스가
실내로 유입되면서 CO중독된 사
고임
공동연도(‘06년이후폐쇄됨)를관통하여
설치된가스보일러의배기통이외부충격
(2/3정도 찌그러짐)에의해배기통연결부
가이탈되었고,외부충격에의해찌그러진
부분에응축수가고여있어보일러폐가스
가외부로방출되지못하고이탈된부분으
로누출되어일산화탄소중독으로1명이
사망하였고,
누출된보일러폐가스가화장실
환기구를따라확산되어 6층에살고있던1명도폐가스에의한일산화탄소중독으로
사망하였다
가스중독 2명 사망 보일러 시공업자 구속.[2013-03-04] 아래기사내용참고
|

|
일 시 : 2014년12월22일09:30분경
장 소 : 경남 의령군 부림면
인명피해 : 사망 2명, 부상 4명
사고내용
보일러의 배기통 말단부의 석고붕
대 일부가 이탈되면서 배기가스가
실내로 유입되면서 CO중독된 사
고임
딸 가족은 지난 21일 김장을 하고
잠을자다 장인(70) 과 사위나모(42)씨
가 숨져 있는 것을 이웃 주민이 발견
해 경찰에 신고했다.
|


|
가스중독 2명 사망 보일러 시공업자 구속
아파트 보일러 공사를 잘못하는 바람에 입주민 2명이 가스중독으로 숨진 사실이 경찰수사로 밝혀졌다.
부산 해운대경찰서는 부실공사로 주민 2명을 가스 중독으로 사망 한 혐의(업무상 과실치사)로 주택설비업자 임모(48)씨를 구속했다고 2013-3-4일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임씨는 2012년 5월 12일 부산 해운대구 반송동 모 아파트 5층에서 보일러실 굴뚝 철거공사를 하면서 벽돌과 잔해물 등을 도시가스 공동 배출구로 떨어뜨려 1층의 배출구를 파손하고도 복구하지 않은 혐의를 받고 있다.
이 때문에 가스가 내부로 배출돼 이 아파트 1층에 사는 이모(52)씨가 지난해 11월 27일 보일러를 가동하고 나서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숨졌다. 또 이 가스가 화장실 환기구를 통해 확산하는 바람에 제일 윗층인 6층에 사는 김모(69)씨가 중독돼 이틀뒤인 11월 29일 숨지게 한 혐의를 받고 있다. 30년이상된 소규모 노후 아파트인 이 곳에는 다행히 보일러 배관통로의 1층 및 6층에 이씨 등이 가족없이 각각 1명씩만 거주해 추가 피해자가 없었다.
경찰은 당시 이씨 등이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잇따라 숨지자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가스안전공사와 함께 보일러 배관, 가스이동경로 및 성분조사 등의 정밀감식을 통해 이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경찰은 “임씨가 노후 아파트를 공사하면서 1층 배출구가 파손되면 틈새가 생겨 폐가스가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내부로 확산되는 사실을 알면서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은 과실이 드러났다”고 밝혔다.[2013-03-04]
문화일보
[아차사고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