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주의 문학
(시 중심으로 문학사의 전개를 공부하려고 하였는데
이왕 발을 담근 김에 조금 어렵더라도 소설도 훑어 보고 ------
어차피 우리는 교양-상식으로 하는 공부이니 두루 살펴봅시다.)
자연주의(自然主義)는 낭만주의에 반대하는 문학사조이다. 문학에서 자연주의는 일반적인 형식이다. 자연주의는 사실주의(realism)의 파생물이며, 19세기 프랑스와 그밖에 다른 지역에서 두드러진 문학 운동이다.
*자연주의와 사실주의
자연주의와 사실주의는 명확히 구분되지 않는다. 이를테면 자연주의의 대표적 작가로 꼽히는 졸라가 이론상으로는 자연주의이지만 작품의 성과 측면에서는 사실주의라는 해석이 있기도 하고, 플로베르는 사실주의 작가로 분류되기도 하면서 자연주의의 선도자로 평가되기도 한다.
그렇지만 두 사조가 완전히 흡사한 것은 아니어서 아우어바흐(Berthold Auerbach)가 스탕달과 발자크의 사실주의를 언급하면서 플로베르의 사실주의와 완전히 대조되는 경향이라고 한 데서 드러나듯이 사실주의 안에서 일정한 구분의 필요성이 있는 문학적 경향으로서 자연주의가 사용되었다.(자연주의는 사실주의 안에 들어 있으나, 사실주의와는 쪼매 차이가 난다는 말입니다.) 자연주의는 사실주의의 한 종류로 본다. 대부분의 경우 이 둘을 혼용하거나 오해하기가 쉽다.
19세기 프랑스의 작가로는, 귀스타브 플로베르, 에밀 졸라. 기 드 모파상(플로베르의 직계 제자이다.). 독일의 작가로는 게르파르트 하웁트만(희곡 작가로 1912년에 노벨 문학상). 미국에서는 시어도어 드라이저 가 있다.
미국에서 자연주의 소설은, 자본주의가 급격히 성장하던 미국에서, 도시 거주자 대부분이 이민자로 중산층 밑의 빈곤 계층에 속했던, 비(非)앵글로색슨 계열 사람들에 자주 집중했다.
(*미국 사람은 인종 차별이 심하다. 유색 인종보다는 백색 인종이 상위이고, 백색 인종(유럽에서 들어온 자들)도 수, 우, 미, 양, 가로 나눈다.
앵글로-색슨 계(영국계)가 최 상위이고, 다음이 독일 등의 게르만 계이고, 하빠리로 이태리 등의 라틴계, 그리고 동 유럽의 슬라브 계이다. 도시의 빈민촌에 사는 사람은 하빠리 백인들이 많다. 이들의 삶은 비참하였으므로 자연주의 계열의 작품에서는 이들의 삶을 많이 다룬다.)
자연주의자들이 산업화 과정에 있던 미국 도시에 처음으로 관심을 둔 것은 아니지만, 그들이 1880년대와 1870년대에 세련된 사실주의적인 도구들을 현실을 재현하는 데에 적당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했다. 자가들은 스스로는 중산층 영어 사용자 집안에 대도시에서 여러 민족 출신들로 이루어진 집안 출신이었다.
(*미국 사회의 중심 세력을 WASP라고 한다. 백인이고, 앵글로-색슨 계(영국계), 프로테스탄트(신교도)를 말하다.)
이 내용을 요약하면, 미국의 자연주의 작가들은 중산층의 삶을 묘사한 사실주의 소설이 보여주는 부르주아의 개인주의 개념에, 회의적이거나 철저히 반대했다. 대부분의 자연주의자들은 인간의 행동이 동물적이거나 비합리적인 동기와 관계가 있다는 점을 설명했고, 때로 성(sexuality)과 폭력의 관계를 명확하게 했다. 이 대목에서 그들은 자신들과 한 쌍을 이루는, 프랑스 자연주의자들과 두드러지게 다르다.
일본에서는 1907년 전후의 수년간에 그 영향이 가장 강하게 나타나서 자연주의 시대라고 불리는 한 시기를 이룩했다. 그러나 일본의 자연주의 문학은 유행 시기가 아주 짧았다. 1910년 경이면 쇠퇴기로 접어든다.
**한국의 자연주의 문학은 이광수 등의 작품이 정치적·사회적 의식을 앞세우기보다는 그의 인생과 현실에 편중된 데에 김동인·전영택 등 젊은 세대가 반발하면서 시작된다. 인생과 현실을 있는 그대로 그리려고 한 이들은 《창조》지를 무대로 하여, 김동인은 〈약한 자의 슬픔〉을, 전영택은 〈천재·천치〉를 각각 써서 자연주의 문학운동을 시도했던 것이다. 이렇게 하여 나타난 자연주의가 무르익은 것은 1924년경이었는데, 주로 《개벽》, 《조선문단》 등 순수문예지를 무대로 하여 염상섭·김동인·현진건 등이 대표적 작가로 활약하였다. 그 중에서도 특히 염상섭의 〈표본실의 청개구리〉는 3·1운동 실패 후의 절망적인 민족적 현실을 엄격하게 관찰하고 해부하려 한 작품으로 자연주의 문학의 대표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