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v.media.daum.net/v/20161118211653100
꽂힌[꼬친]에는 음절의 종성에 파찰음이 올 경우 파열음의 예사소리로 교체되는 음운 변동이 있다고 한 1번은 틀렸다는 겁니다.
하지만, 국립국어원은 홈페이지에서 1번도 정답이 될 수 있다는 답변을 해온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지난 6월 ‘꽂히다’에 대한 표준발음법 적용을 묻는 질문에 대해 축약이 아닌 음절의 끝소리 규칙이 적용되는 '꼳히다-꼬티다-꼬치다'의 음운 변동 과정을 거친다고 밝히는 등 수차례 같은 답변을 반복해서 달았습니다.
이에 근거하면 국어 12번 문항의 1번도 정답이 될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꽂힌'은 음절의 끝소리 규칙이 적용되면 '꼳힌'으로 바뀌고, 축약을 거쳐 구개음화 현상으로 이어지면서 보기 (가)에서 설명한 "종성인 파찰음 ‘ㅈ’ 이 파열음의 예사소리인 ‘ㄷ’ 으로 교체된다”는 내용에 해당되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서울 A고등학교 교사
"가르치는 사람에 따라서 오해의 소지는 있을 것 같아요. 음절의 끝소리 규칙이 적용될 것인가 축약이 적용될 것인가 문제에 있어서 음운론적 환경까지 생각을 안 하면 오해의 소지는 있을 것 같아요."
논란이 불거지자 국립국어원은 자신들의 실수로 답변을 잘못한 것이라며, 표준발음법 적용에 따라 1번은 오답이라는 입장을 전해왔습니다.
인터뷰: 국립국어원 관계자
"저희가 답변을 잘못한 건 분명히 있지만, 이거는 잘못한 거지 그렇다고 해서 '꽂히다'의 구개음화를 인정해야 한다라고는 할 수 없는 얘기입니다."
하지만, 국립국어원이 수능 시험 전부터 해당 답변을 수차례 제시하면서 이를 통해 공부한 수험생들은 1번을 답으로 했을 가능성이 커 복수정답 논란은 더욱 거세질 전망입니다.
------------------------------------------------------------
1번이랑 5번 둘다 복수정답 가능이 아니라
5번만
복수정답 안될거야 학교문법을 따라야하니까...ㅜ
국립국어원 답변 다 믿으면 안 됨...어쩔때는 물을때마다 다를때도 있고 여러사람이 답변다는거라서..국립국어원도 저렇게 설명한적있으면 진짜 논란여지 있을수밖에
삭제된 댓글 입니다.
ㅈㄴㄱㄷ 복수정답인정되면 1번한사람 점수가 오르데 되니까... 근데 복수정답 ㄴㄴ라해서 다행이라는듯
오시발다행이다 후....등급컷올라갈까봐 존나불안했
시발년 왜 1번했냐 나년아
당연... 표준발음법이란 게 괜히 있는 게 아닙니다...
아 깜짝놀랬다 진짜
5번 답이 뭐였는지 아는사람ㅠㅠㅠㅠㅠㅠㅠㅠ
읊다 > 읍따?? 이거인가 이게 (가)(나) 다 적용되었다
@ddong_gg0 허윽 고마워ㅠㅠㅠㅠ
아존나다행진짜 어휴 와 어휴
개다행...저거 복수 인정 되면 안돼....내 등급컷....근데 애초에 애매한 답보단 확실한 걸 골라야 함 수능은..
아;;
그래서 바뀔가능성 0프로?
후 다행 시바 컷 더 올라가면 눈물날뻔
2번함 ㅋㅋㅋㅋㅋ
존나다행 복수정답하면 등급컷.......ㅂㄷㅂㄷ
아씨발씨발씨발 나맞았다고 절대안댐 더올라가면 나 대학진짜못써요 제발 제발 제발
휴다행
ㅅㅂ이기적이지만 존나다행인데 평가원 욕들어쳐먹어도할말없음 나학교에서 음절끝소리부터 무조건다교체하라고배움
제발 복수정답 하지마ㅠㅠㅠㅠㅠㅠㅠㅠㅠ 내 등급컷8ㅅ8 ... 그 자세 유지해주라....
와 ㅜㅠㅠㅠㅜㅜ나5번이다 ㅠㅠㅜㅠㅠ존나감사합니다
좆됐다 나 4,5 뭐했더라
다행다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