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능금 내(㮏)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능금나무 내(柰)자를 했습니다. 능금나무 내(柰)자는 어찌 내(奈)자와 구별합니다. 능금나무 내(柰)자는 나무 목(木)자 아래에 보일 시(示)자는 했습니다. 눈에 잘 뜨이고, 제사상에 올릴 열매가 달리는 나무라는 뜻이지요.
+
= 㮏
쳇다리 성(㮐)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살필 성(省)자를 했습니다. 살필 성(䁞)자는 살필 성(省)자의 고자(古字)입니다. 살필 성(䁞)자는 눈으로 살피기에, 눈 목(目)자 위에 ‘𠈌’자를 하고, 아래에 ‘丆’자를 했습니다. ‘𠈌’자 아래에 ‘丆’자는 눈썹쯤에 손을 얹어서 살피는 모양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눈썹 미(眉)자도 눈썹 미(睂)자로 사용했던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살필 성(省)자는 덜 생(省)자로 전주(轉注)되었습니다.
+
= 㮐
수풀나무 모양 칩(㮑)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가래 삽(臿)자를 했습니다. 가래 삽(臿)자는 가래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가래를 사용할 때는 사람 세 명이 두 사람은 줄을 매서 당기고 한 사람은 사래를 땅에 꽂아서 흑을 퍼 옮깁니다. 뒤따를 칩(㞚)자도 가래 삽(臿)자가 들어 있어서 ‘칩’으로 읽습니다.
+
= 㮑
멧대추 연(㮒)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막을 인(垔)자를 했습니다. 막을 인(垔)자는 서녘 서(西)자 아래에 흙 토(土)자를 한 것처럼 보이지마는 여기서 서녘 서(西)자는 덮을 아(襾)자의 변형입니다. 덮고(襾) 흙(土)을 더하여 막았다(垔)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막을 인(垔)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연기 연(煙)자도 막을 인(垔)자가 들어 있어서 ‘연’으로 읽습니다.
+
= 㮒
다할 긍(㮓)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반달 긍(恆)자를 했습니다. 반달 긍(恆)자는 의부(義符)로 마음 심(心)자에 성부(聲符)로 걸칠 긍(亙,亘)자를 했습니다. 걸칠 긍(亙)자는 걸칠 긍(亘)자와 같은 글자입니다. 걸칠 긍(亘)자는 한 일(一)자 아래에 아침 단(旦)자를 했습니다. 아침 단(旦)자는 지평선이나 수평선에 해가 떠오르는 모양입니다.
+
= 㮓
연목 충(㮔)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무거울 중(重)자를 했습니다. 무거울 중(重)자는 저울 추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찌를 충(衝), 밀어 칠 충(揰)자는 무거울 중(重)자가 들어 있어서 ‘충’으로 읽습니다.
+
= 㮔
버섯 이(㮕)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가냘플 연(耎)자를 했습니다. 가냘플 연(耎)자는 말 이을 이(而)자 아래에 큰 대(大)자를 해서, 수염이 길게 가냘품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버섯 이(㮕)자는 말 이을 이(而)자가 들어 있어서 ‘이’로 읽습니다.
+
= 㮕
북 갈(㮖)자는 북은 나무로 테를 만들기에, 나무 목(木)자에 가죽을 입혀서 두드리면 소리가 크게 울리도록 만들기에, 가죽 혁(革)자를 했습니다. 가죽 혁(革)자는 가죽을 손으로 다루는 그림을 그린 글자입니다. 가죽은 그대로 사용할 수가 없고 부드럽게 만들어야 사용할 수가 있기 때문에 손이 많이 가서 가공을 해야 합니다.
+
= 㮖
창자루 근(㮗)자는 창 자루는 나무로 만들기에, 나무 목(木)자에 창에 찔리면 불상하게 되기에, 불쌍히 여길 긍(矜)자를 한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불쌍히 여길 긍(矜)자는 창 모(矛)자에 이제 금(今)자를 했습니다. 이제 금(今)자는 모을 집(亼)자 아래에 ‘ㄱ’자를 하여 지금까지 시간이 모여 쌓였다는 뜻을 표시했습니다. ‘이제’라는 시점은 과거가 쌓인 시간입니다. 불쌍히 여길 긍(矜)자는 창 앞에 서 있는 상황입니다. 아니, 창에 찔린 모양입니다. 목숨이 경각에 달렸으니, 불쌍히 여겨야겠습니다.
+
= 㮗
무성할 무(㮘)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힘쓸 무(敄)자를 했습니다. 힘쓸 무(敄)자는 창 모(矛)자에 칠 복(攵)자를 했습니다. 힘써서 창을 사용한다는 글자입니다. 전쟁할 때 무기를 힘써 사용한다는 뜻입니다. 전쟁할 때 무기를 힘써 사용하는 것이 하나의 일입니다. 힘쓸 무(敄)자에 힘 력(力)자를 더 해서 일 무(務)자가 되었습니다.
㮘
함정 악(㮙)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놀랄 악(咢)자를 했습니다. 놀랄 악(咢)자는 어조사 우(亐,于)자 위에 입 구(口)자를 두 개 했습니다. 어조사 우(亐,于)자는 방패를 상형한 것 같지만, 여기서는 얼굴을 상형한 것 같습니다. 글자 위에 입 구(口)자 두 개는 눈을 둥그렇게 뜬 놀라는 모습을 표시한 것 같습니다.
+
= 㮙
밤나무 률(㮚)자는 밤은 나무 위에 달렸기에, 나무 목(木)자에 밤송이를 그려서 나타낸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차지할 점(占)자 안에 사람 인(人)자를 두 개 한 것은 밤송이에 가시가 많음을 나타낸 것입니다.
㮚
숟가락 시(㮛)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옳을 시(是)자를 했습니다. 옳을 시(是)자는 이 시(是)자로 전주(轉注) 되었습니다. 이 시(是)자는 태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인 날 일(日)자 아래에 발 소(疋)자를 했습니다. 낮이 되면 사람이 활동하는 것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
= 㮛
목판 장(㮜)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감출 장(匨)자를 했습니다. 감출 장(匨)자는 상자(匚) 속에 감추었다고 표시하는 상자 방(匚)자에 발음을 표시하는 씩씩할 장(壯)자를 했습니다. 씩씩할 장(壯)자는 널빤지 장(爿)자에 선비 사(士)자를 했습니다. 널빤지(爿)에 귀한 것을 받쳐 든 선비(士)를 표시해서 당당한 선비(壯)의 모습을 나타냈습니다.
+
+
= 㮜
모서리를 만드는 공구 혁(㮝)자는 모서리를 만드는 공구에 자루는 나무로 만드니까, 나무 목(木)자에 모서리를 만드는 공구를 생각해서 골 곡(谷)자와 읍 읍(邑,⻏)자를 합한, 고을 이름 극(郤)자를 했습니다. 골짜기 곡(谷)자는 입천장을 그린 상형문자(象形文字)입니다. 입천장을 혀로 핥아보면 골이 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입천장의 골이 진 것을 그린 것이 입 구(口)위에 굴곡을 뜻하는 여덟 팔(八)자가 두 개가 위 아래로 있는 것입니다. 지칠 극(㞃)자도 골 곡(谷)자가 들어 있어서 ‘극’으로 읽습니다.
+
= 㮝
동자기둥 절(㮞)자는 동자기둥은 나무로 만드니까, 나무 목(木)자에 동자기중은 큰 기둥을 고정시키는데 사용하는 작은 기둥이니까, 버금 차(次)자와 입 구(口)자를 합한, 물을 자(咨)자를 했습니다. 물을 자(咨)자는 묻는 것은 말로 하니까 입 구(口)자를 하고, 발음을 표시하는 버금 차(次)자를 했습니다. 형성(形聲) 글자입니다.
+
= 㮞
갈 년(㮟)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 둘에 성부(聲符)로 돌 석(石)자를 했습니다. 맷돌 년(碾)자도 돌 석(石)자가 들어 있어서 ‘년’으로 읽습니다. 곡식을 갈아내는 맷돌은 둥글게 생긴 돌덩어리를 위 아래로 놓고 나무로 만든 손잡이를 돌리는 도구입니다.
+
+
= 㮟
실과 후(㮢)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과녁 후(侯)자를 했습니다. 과녁 후(侯)자는 활을 쏠 때의 목표물인 과녁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과녁 후(侯)자에서 화살 시(矢)자는 활을 쏠 때의 과녁임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사람 인(人)자는 사람을 표시한 글자가 아니라, 그려서 세워 놓은 과녁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과녁에는 호랑이 등 짐승을 많이 그렸습니다. 과녁 후(侯)자는 물을 후(候)자와 구별합니다. 물을 후(候)자는 과녁 후(侯)자에서 사람 인(人)자 다음 뚫을 곤(丨)자를 더 한 글자입니다. 물을 후(候)자는 기후(氣候)라고 할 때에는 기후 후(候)자로 전주(轉注) 되었습니다.
+
= 㮢
평미래 개(㮣,槩)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이미 기(既,旣)자를 했습니다. 이미 기(既,旣)자는 이미 밥을 먹어서 얼굴을 돌린 모습을 그림으로 표시한 글자입니다. 평미래 개(槪), 분개할 개(慨), 탄식할 개(嘅), 씻을 개(摡)자들은 아미 기(既,旣)자가 들어 있어서 ‘개’로 읽습니다.
槩
신나무 신(榊)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귀신 신(神)자를 했습니다. 귀신 신(神)자는 제사상을 차려 놓은 모양을 의부(義符)로 한 보일 시(示)자에 성부(聲符)로 거듭할 신(申)자를 했습니다.
+
= 榊
문설주 설(榍)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가루 설(屑)자를 했습니다. 가루 설(屑)자는 주검 시(尸)자 아래에 닮을 초(肖)자를 했습니다. 닮을 초(肖)자는 작을 소(小)자 아래에 육달 월(月,肉)자를 해서 고기를 잘게 나눈 것을 표시했습니다.
+
= 榍
개오동나무 가(榎)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여름 하(夏)자를 했습니다. 여름 하(夏)자는 조개를 잡으러 나아가는 계절입니다. 여름 하(夏)자는 조개 패(貝)자에 손을 두 개 하고, 천천히 걸을 쇠(夊)자를 해서 조개를 잡으러 간다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
= 榎
배 익(榏)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더할 익(益)자를 했습니다. 더할 익(益)자는 그릇 명(皿)자 위로 여덟 팔(八)자를 하고 그 위에 한 일(一)자를 하고, 또 여덟 팔(八)자를 하고 한 일(一)자를 해서 마치 켜켜로 떡을 찌듯이 가득 채웟다는 표시를 했습니다.
+
= 榏
나무 길 전(榐)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펼 전(展)자는 했습니다. 펼 전(展)자는 장인 공(工)자를 네 개나 겹쳐 놓음으로서, 물건을 진열해 놓은 모양을 그렸습니다.
+
= 榐
부상 부(榑)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펼 부(尃)자를 했습니다. 펼 부(尃)자는 클 보(甫)자 아래에 마디 촌(寸)자를 했습니다. 펼 부(敷), 부의 부(賻), 경단 부(糐), 스승 부(傅)자들은 클 보(甫)자가 들어 있어서 ‘부’로 읽습니다. 부상(榑桑)은 전설상의 신목(神木)입니다.
榑
나무 이름 녘(榒) 나무 이름이까, 나무 목(木)자에 아마도 약한 나무인 듯해서, 약할 약(弱)자를 했다고 봅니다. 약할 약(弱)자는 아직 깃털도 제대로 나지 않은 새의 새끼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榒
향나무 필(榓)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𥁑’자를 했습니다. ‘𥁑’자는 반드시 필(必)자 아래에 그릇 명(皿)자를 했습니다. 반드시 필(必)자는 주살 익(弋)자를 좌우(左右)에서 둘러 산 그림입니다. 살아감에 있어서 주살은 반드시 필요한 것이었겠지요. 무기로써도 그러하고 사냥을 할 때에도 필요한 화살이었으니까요. 그릇 명(皿)자는 그릇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 榓
벵골보리수 용(榕)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얼굴 용(容)자를 했습니다. 얼굴 용(容)자는 얼굴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벵골 보리수는 인도 동부가 원산지라고 합니다. 반야나무라는 별명도 있습니다. 부처님께서 득도한 나무라는 설명은 없지만 여러 가지 정황으로 보아 부처님께서 득도하신 나무 같습니다. 이 나무는 앙코르와트 사원에 있는 나무이기도 합니다.
+
= 榕
닥나무 곡(榖)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곡식 곡(穀)자는 닥나무 곡(榖)자에서 나무 목(木)자가 들어 잇는 부분에 벼 화(禾)자가 들어 있습니다. 바퀴 곡(轂), 뿔 잔 곡(觳), 닥나무 곡(瑴), 주름 비단 곡(縠), 땅강아지 곡(螜)자들을 보면 바퀴 곡(轂)자에서 수레 거(車), 뿔 잔 곡(觳)자에서 뿔 각(角), 닥나무 곡(榖,瑴)자에서 나무 목(木)자나 임금 왕(王)자, 주름비단 곡(縠)자에서 실 사(糸), 땅강아지 곡(螜)자에서 벌레 충(虫)자들이 있는 위치를 생각하면, 수레 거(車), 나무 목(木), 벼 화(禾)자들은 모두 의부(義符)로 보고, 나머지 부분을 성부(聲符)로 생각하여 ‘곡’으로 읽는다고 보는 것이 온당할 듯합니다.
榖
옥돌 진(榗)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나아갈 진(晉)자를 했습니다. 나아갈 진(晉)자는 날 일(日)자를 향해서 새가 날아오는 그림을 그렸습니다. 하늘로 날아가는 새를 그렸다고 볼 수 있습니다.
榗
열매 이름 답(榙)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좀콩 답(荅)자를 했습니다. 좀콩은 작은 콩으로 팥을 뜻하기도 합니다. 좀콩 답(荅)자는 풀 초(艸,艹)자 아래에 합할 합(合)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합할 합(合)자는 꼬두리 속에 콩알이 들어 있다는 표시를 한 글자입니다.
榙
나무 길 요(榚)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새끼 양 고(羔)자를 했습니다. 새끼 양 고(羔)자는 양 양(羊)자 아래에 불 화(火,灬)자를 했습니다. 여기서는 불 화(火,灬)자가 불을 뜻하는 글자가 아니라, 우리를 그린 글자인데, 불 화(火)자로 면형이 된 것입니다. 기와 굽는 가마 요(窯), 물 벌창할 요(溔), 피 요(蓔)자들은 새끼 양 고(羔)자가 들어 있어서 ‘요’로 읽습니다.
+
= 榚
개암나무 진(榛)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벼 이름 진(秦)자를 했습니다. 벼 이름을 나타낸다고 해서 ‘𡗗’자 아래에 벼 화(禾)자를 했습니다.
榛
매 방(榜)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두루 방(旁)자를 했습니다. 두루 방(旁)자는 의부(義符)로 범위를 표시하는 설 립(立)자 변형(變形)에 성부(聲符)로 모 방(方)자를 했습니다.
榜
나무 이름 살(榝)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죽일 살(殺)자를 했습니다. 죽일 살(殺)자는 나무 목(木)자 위에 벨 예(乂)자를 해서 나무를 자른다는 뜻을 표시했고, 글자의 오른쪽에 창 수(殳)자는 해서 죽인다는 뜻을 더했습니다.
榝
나무 이름 원(榞)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근원 원(原)자를 했습니다. 근원 원(原)자는 기슭 엄(厂)자 아래에 샘 천(泉)자를 해서 물의 근원을 이루는 샘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
= 榞
가래나무 재(榟)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재상 재(宰)자를 했습니다. 재상 재(宰)자는 의부(義符)로 집을 뜻하는 집 면(宀)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매울 신(辛)자를 했습니다. 가래나무 재(梓)자는 매울 신(辛)자가 들어 있어서 ‘재’로 읽습니다.
+
= 榟
명사나무 명(榠)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어두울 명(冥)자를 했습니다. 어두울 명(冥)자는 밝은 해를 뜻하는 날 일(日)자를 덮을 멱(冖)자로 위에서 덮고, 여섯 륙(六)자로 아래에서 받쳐 놓아 어두울 수밖에 없도록 했습니다.
+
= 榠
건목 칠 소(榡)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흴 소(素)자를 했습니다. 휠 소(素)자는 주인 주(主)자 아래에 실 사(糸)자를 했습니다. 실의 주인이 흴 소(素)자라는 뜻입니다. 옷감의 주인은 역시 흰 색입니다. 색깔이 희면 어떤 색깔이라도 물들일 수 있지요. 그런 듯에서 희다는 것은 바탕이 된다는 듯입니다. 회사(繪事)는 후소(後素)라는 말이 논어(論語)에 있습니다. 모든 그림의 바탕은 흰 색 캠퍼스에서 출발한다는 말이지요.
+
= 榡
시렁 가(榢)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집 가(家)자를 했습니다. 집 가(家)자는 집을 뜻하는 집 면(宀)자 아래에 돼지 시(豕)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돼지는 가족입니다. 시렁이라는 말을 선반을 배어놓고 물건을 올려 놓는 곳을 말합니다.
+
= 榢
큰 나무 요(榣)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질그릇 요(䍃)자를 했습니다. 질그릇 요(䍃)자는 그릇을 빚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질그릇 요(䍃)자는 육달 월(月,肉)자 아래에 장군 부(缶)자를 했습니다. 장군은 물이나 술을 담는 그릇입니다. 여기서 육달 월(月,肉)자는 손으로 빚는다는 뜻입니다.
榣
홰 걸(榤)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홰 걸(桀)자를 했습니다. 홰 걸(桀)자는 나무 막대기 위에 새들이 앉아 있는 모양입니다. 어그러질 천(舛)자 아래에 나무 목(木)자를 했습니다. 어그러질 천(舛)자는 걸어갈 때 발을 두 개가 서로 어그러지는 것을 그린 글자입니다.
+
= 榤
책상 황(榥)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밝을 황(晃)자를 했습니다. 밝을 황(晃)자는 해를 뜻하는 날 일(日)자 아래에 빛 광(光)자를 했습니다.
+
= 榥
산뽕나무 간(榦)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는 독립된 글자가 아닌 글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줄기 간(幹)자는 산뽕나무 간(榦)자에서 나무 목(木)자가 있는 부분에 방패 간(干)자가 있고, 날개 한(翰)자는 깃 우(羽)자가 있고, 흰 꿩 한(雗)자는 새 추(隹)자가 있고, 붉은 닭 한(鶾)자에는 새 조(鳥)자가 있습니다. 나무 목(木)자, 방패 간(干)자, 깃 우(羽)자, 새 추(隹)자, 새 조(鳥)자 등을 제외한 글자는 성부(聲符)로 ‘간’ 또는 ‘한’으로 읽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幹
翰
비자나무 비(榧)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대상자 비(匪)자를 했습니다. 대상자 비(匪)자는 의부(義符)로 상자 방(匚)자에 성부(聲符)로 아닐 비(非)자를 했습니다.
+
= 榧
술주자 자(榨)자는 술 주전자를 나타내기보다 술을 거르는데 사용하는 도구를 뜻합니다. 이 도구는 나무로 틀을 만든다는 뜻으로, 나무 목(木)자에 술 독에 들어가야 함으로 큰 그릇이 아니라 작은 그릇이라는 뜻에서 좁을 착(窄)자를 했습니다.
+
+
= 榨
모탕 건(榩)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정성 건(虔)자를 했습니다. 정성 건(虔)자는 호피 무늬 호(虍)자 아래에 글월 문(文)자를 해서 여러 가지 문(文)으로 정성을 다 하여 호랑이 비위를 맞추어 준다는 뜻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모탕이라는 말은 장작을 쪼갤 때 도끼날을 보호라기 위하여 쪼갤 나무를 받쳐 놓는 통나무로 만든 도구를 말합니다.
+
= 榩
나무로 테메울 마(榪)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말 마(馬)자를 했습니다. 말 마(馬)자는 말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榪
자루 박을 순(榫)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새매 준(隼)자를 했습니다. 새 매 준(隼)자는 새 추(隹)자 아래에 열 십(十)자를 해서, 높이 올라가 앉아 있는 새라는 뜻입니다. 글자의 예는 없지만 통운(通韻)이기에 ‘준’을 ‘순’으로 읽습니다.
+
+
= 榫
얼레 원(榬)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옷 길 원(袁)자를 했습니다. 옷 길 원(袁)자는 옷의(衣)자 가운데 입 구(口)자를 해서 옷이 길다는 표시를 하고, 글자 맨 위에도 옷 의(衣)자 위에 획을 더하여 옷이 긴 모양을 표시했습니다. 얼레는 연을 날릴 때 실을 감는 도구입니다.
+
= 榬
정자 사(榭)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궁술 사(射)자를 했습니다. 궁술 사(射)자는 몸 신(身)자에 마디 촌(寸)자를 한 것으로 보이지마는, 그저 활을 쏘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세월이 지나면서 글자가 변형하여 몸 신(身)자에 마디 촌(寸)자는 한 것으로 변했습니다.
榭
꽃 영(榮)자는 꽃은 나무에 피는 것이기에, 나무 목(木)자에 위에 꽃은 붉은 색으로 불이 난 것 같음으로, 불 화(火)자를 두 개 했습니다. 불 화(火)자 두 개는 꽃봉오리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榮
나무 곧게 설 시(榯)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때 시(時)자를 했습니다. 때 시(時)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관청 시(寺)자를 했습니다.
+
= 榯
주춧돌 지(榰)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늙은이 기(耆)자를 했습니다. 늙은이 기(耆)자는 늙을 로(老)자 아래에 날 일(日)자를 해서 날자가 많이 지났음을 표시했습니다. 버틸 지(搘)자도 늙은이 기(耆)자가 들어 있어서 ‘지’로 읽습니다.
+
= 榰
서까래 최(榱)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쇠할 쇠(衰)자를 했습니다. 쇠할 쇠(衰)자는 옷 의(衣)자를 위 아래로 벌리고 뚫을 관(毌)자를 해서 옷이 해어지고 오래 입어 헌 옷이 된 것을 표시했습니다. 상복이름 최(縗)자는 쇠할 쇠(衰)자가 들어 있어서 ‘최’로 읽습니다.
榱
기둥 온(榲)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어질 온(昷,𥁕)자를 했습니다. 어질 온(昷,𥁕)자는 물을 담은 그릇을 햇볕 아래에 두면 물이 따듯하게 데워지는 것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물이 더워지듯이 그렇게 마음이 따뜻한 사람이라는 뜻이지요.
+
= 榲
큰 나무 정(榳)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뜰 정(庭)자를 했습니다. 뜰 정(庭)자는 의부로 집을 뜻하는 집 엄(广)자 아래에 조정 정(廷)자를 했습니다. 조정 정(廷)자는 간다는 뜻의 길게 걸을 인(廴)자 변에 짊어질 임(壬)자를 했습니다. 조정에 나아가는 것은 일을 맡아 하려고 나아가는 것입니다.
+
= 榳
석류나무 류(榴)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머무를 류(留)자를 했습니다. 머무를 류(留)자는 성부(聲符)로 어릴 유(幼)자 아래에 의부(義符)로 밭 전(田)자를 했습니다. 머무를 류(留)자 위에 있는 글자를 왕성할 묘(卯)자로 볼 수도 있겠습니다. 버들 류(柳)자도 왕성할 묘(卯)자가 들어 있어서 ‘류’로 읽습니다.
+
= 榴
나무 이름 용(榵)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무성할 용(茸)자를 했습니다. 무성할 용(茸)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귀 이(耳)자를 했습니다. 솟을 용(聳)자도 귀 이(耳)자가 들어 있어서 ‘용’으로 읽습니다.
+
= 榵
산 앵두나무 당(榶)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당나라 당(唐)자를 했습니다. 당나라 당(唐)자는 집을 뜻하는 집 엄(广)자 안에 붓이나 손을 뜻하는 ‘肀’자와 말을 뜻하는 입 구(口)자가 합하여 된 글자입니다. 당나라 당(唐)자는 황당하다는 뜻도 가지고 있습니다. 당나라 당(唐)자는 구성하고 있는 붓이나 손을 뜻하는 ‘肀’자와 말을 뜻하는 입 구(口)자는 모두 인문학적이고 문화적인 글자들입니다.
+
= 榶
마른나무 뿌리 채(榸)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묻을 매(埋)자를 했습니다. 묻을 매(埋)자가 들어가서 ‘채’로 읽는 글자의 예는 없지만 ‘채’와 ‘매’는 통운(通韻)입니다.
+
= 榸
산 복숭아 사(榹)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뿔범 사(虒)자를 했습니다. 뿔범 사(虒)자는 뿔이 있는 범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뿔이 있는 범이란 아마도 상상의 호랑이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榹
잉아 승(榺)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이길 승(勝)자는 힘 력(力)자가 들어 있고, 밭두둑 승(塍)자는 흙 토(土)자가 들어 있고, 남을 승(賸)자는 조개 패(貝)자가 들어 있습니다. 또 오를 등(騰)자는 말 마(馬)자가 들어 있고, 베낄 등(謄)자는 말씀 언(言)자가 들어 있고, 물 솟을 등(滕)자는 물 수(水)자가 들어 있습니다. 이렇게 정리해 보면 나무 목(木), 힘 력(力), 흙 토(土), 조개 패(貝), 말 마(馬), 말씀 언(言), 물 수(水)자 등을 제외한 글자는 성부(聲符)로 ‘승’ 또는 ‘등’으로 읽는다는 것일 알 수 있습니다. 잉아는 길쌈을 할 때 천을 짜는 기구 중 도구를 표시하는 말입니다. 바디 승(榺)자로 읽기도 합니다. 모두 베틀에 어느 부위를 일컫는 말입니다.
榺
勝
걸상 탑(榻)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𦐇’자를 했습니다. 답답할 탑(傝), 떨어질 탑(塌), 베낄 탑(搨), 젖을 탑(溻), 얽을 탑(䌈), 큰 배 탑(䑽), 갈 탑(遢), 다락문 탑(闒)자들은 모두 ‘𦐇’자가 들어 있어서 ‘탑’으로 읽습니다.
榻
통 합(榼)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덮을 합(盍)자를 했습니다. 덮을 합(盍)자는 갈 거(去)자 아래에 그릇 명(皿)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갈 거(去)자는 간다는 뜻이 아니라, 그릇의 덮개를 그린 글자입니다.
榼
나무 이름 혜(榽)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어찌 해(奚)자를 했습니다. 어찌 해(奚)자는 손을 뜻하는 손톱 조(爪)자 아래에 곤충의 알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 작을 요(幺)를 하고 아래에 다시 사람을 그린 큰 대(大)자를 했습니다. 작은 곤충알을 어찌하느냐는 듯을 나타냈습니다. 뒵들 혜(豀), 돼지 새끼 혜(豯), 생가죽신 혜(鞵), 야생말 혜(騱)자들은 어찌 해(奚)자가 들어 있어서 ‘혜’로 읽습니다. 이 글자는 구체적으로 어떤 나무인지 알 수 없습니다. 이렇게 표시하는 대상이 불분명한 글자들은 시대를 거쳐 흘러 오면서 그 나무나 풀 등 대상을 잊은 글자들 같습니다.
+
= 榽
등걸 골(榾)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뼈 골(骨)자를 했습니다. 뼈 골(骨)자는 숨골 근처 뼈(등뼈의 제일 윗부분)를 그린 뼈 발라낼 과(冎)자 아래에 육달 월(月,肉)자를 했습니다. 살이 없는 뼈는 지탱할 수가 없겠지요. 등걸은 나무의 줄기를 베어내고 남은 밑동을 말합니다.
+
= 榾
오리나무 기(榿)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어찌 기(豈)자를 했습니다. 어찌 기(豈)자는 산 산(山)자 아래에 제기 두(豆)자를 해서 산에서 제사를 지낸다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
= 榿
마를 고(槀)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높을 고(高)자를 했습니다. 높을 고(高)자는 높은 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槀
나물 이름 손(槂)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손자 손(孫)자를 했습니다. 손자 손(孫)자는 아들 자(子)자 변에 이을 계(系)자를 해서 아들을 이어간다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
= 槂
쟁반 반(槃)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돌 반(般)자를 했습니다. 돌 반(般)자는 배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 배 주(舟)자 변에 몽둥이 수(殳)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몽둥이는 사앗대를 말하는 것입니다. 배룰 저으니, 배가 돌 수밖에는 없겠지요.
槃
가나무 도(槄)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퍼낼 요(舀)자를 했습니다. 퍼낼 요(舀)자는 손을 표시하는 손톱 조(爪)자 아래에 절구 구(臼)자를 했습니다. 절구질을 하면서 절구 확이나, 방아 확 속에 있는 곡물을 손으로 퍼내는 그림을 그렸습니다. 벼 도(稻), 물 넘칠 도(滔), 밟을 도(蹈), 감출 도(韜)자들은 퍼낼 요(舀)자가 들어 있어서 ‘도’로 읽습니다.
+
= 槄
나무 이름 도(槅)자는 나무의 이름을 나타내는 글자이기에, 나무 목(木)자에 솥 력(鬲)자를 했습니다. 솥 력(鬲)자는 솥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땔나무 종류가 아닐까 상상해 봅니다.
槅
참죽나무 순(槆)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풀이름 순(荀)자를 했습니다. 풀이름 순(荀)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열흘 순(旬)자를 했습니다.
+
= 槆
우듬지 전(槇)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참 진(眞)자를 했습니다. 참 진(眞)자는 눈 목(目)자를 중심으로 비수 비(匕)자를 위에 하고 아래에 눈을 받쳐 놓은 모양의 글자를 했습니다. 참은 눈으로 본 것만을 믿는 그런 글자입니다. 메울 전(塡), 거꾸로 될 전(傎), 산 무더기 전(厧), 꼭대기 전(顚), 칠 전(搷)자들은 참 진(眞)자가 들어 있어서 ‘전’으로 읽습니다. 우듬지는 나무줄기에서 가장 꼭대기 부분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槇
호미 누(槈)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욕되게 할 욕(辱)자를 했습니다. 욕되게 할 욕(辱)자는 별 진(辰)자 아래에 마디 촌(寸)자를 했습니다. 하늘을 향해 팥죽을 먹이는 그림이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 김맬 누(耨), 괭이 누(鎒)자는 욕될 욕(辱)자가 들어 있어서 ‘누’로 읽습니다.
+
= 槈
마를 고(槁)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높을 고(高)자를 했습니다. 높을 고(高)자는 높은 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槁
동자기둥 질(槉)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병 질(疾)자를 했습니다. 병 질(疾)자는 의부(義符)로 병들어 기댈 녁(疒)자에 성부(聲符)로 화살 시(矢)자를 했습니다. 화살 시(矢)자는 화살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여기서 화살 시(矢)자는 잃을 실(失)자의 모사(模寫)입니다. 화살 시(矢)자로 보지 말고 잃을 실(失)자로 보아야 합니다. 차례 질(秩), 갈마들 질(迭), 넘어질 질(跌). 책갑 질(帙), 시기할 질(㑵)자들은 잃을 실(失)자가 들어 있어서 ‘질’로 읽습니다.
+
= 槉
우듬지 전(槙)자는 우듬지 전(槇)자의 약자(略字)입니다.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참 진(眞,真)자를 했습니다. 참 진(眞,真)자는 눈 목(目)자에 눈 목(目)자 위에는 비수 비(匕)자를 했고, 눈 목(目)자 아래는 받쳐놓은 모양을 했습니다. 여기서 비수 비(匕)자는 사람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모두 눈을 받들고 본다는 뜻이 있는 글자들로 눈 목(目)자를 위아래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참이란 보태거나 빼지 않고 바로 눈으로 보는 것 그것만을 말한다는 글자입니다. 메울 전(塡), 성할 전(闐), 거꾸로 될 전(傎), 산 무더기 전(厧), 칠 전(搷), 우듬지 전(槇), 성할 전(滇), 앓을 전(瘨), 넘어질 전(蹎), 메일 전(窴), 바람개비 전(鷆), 사랑니 전(齻), 귀막이 옥 전(瑱)자들은 참 진(眞)자가 들어 있어서 ‘전’으로 읽습니다. 우듬지는 나무의 꼭대기 줄기입니다.
槇
호미 누(槈)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욕되게 할 욕(辱)자를 했습니다. 욕되게 할 욕(辱)자는 별 진(辰)자 아래에 마디 촌(寸)자를 했습니다. 하늘을 향해 팥죽을 먹이는 그림이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 김맬 누(耨), 괭이 누(鎒)자는 욕될 욕(辱)자가 들어 있어서 ‘누’로 읽습니다.
+
= 槈
창 삭(槊)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초하루 삭(朔)자를 했습니다. 초하루 삭(朔)자는 그 달에 들어가는 첫날이라는 뜻으로 거스를 역(屰)자에 달 월(月)자를 했습니다.
槊
얽을 구(構)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짤 구(冓)자를 했습니다. 짤 구(冓)자는 실이나 가는 막대기를 이리저리 얼어 짠 모양을 그린 글자입니다.
構
망치 퇴(槌)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쫓을 추(追)자를 했습니다. 쫓을 추(追)자는 쉬엄쉬엄 갈 착(辶)자 변에 ‘𠂤’자를 했습니다. ‘𠂤’자는 쫓아가는 대상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갓 이름 퇴(頧), 참새 이름 퇴(鴭)자들은 ‘𠂤’자가 들어 있어서 ‘퇴’로 읽습니다.
槌
창 창(槍)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창고 창(倉)자를 했습니다. 창고 창(倉)자는 물건을 많이 모아놓았다는 뜻으로 모을 집(亼)자 아래에 물건을 쌓아놓은 모습을 한 글자를 더해서, 창고에 물건을 쌓아놓은 모양을 그린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槍
나무 벨 사(槎)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어긋날 차(差)자를 했습니다. 어긋날 차(差)자는 손으로 만든 물건이 생각과 다른 것임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취하여 춤추는 모양 사(傞), 강 이름 사(溠)자는 어긋날 차(差)자가 들어 있어서 ‘사’로 읽습니다.
槎
창틀 겸(槏)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겸할 겸(兼)자를 했습니다. 겸할 겸(兼)자는 나무 두 개를 같이 묶어 놓은 모양을 그린 글자입니다.
槏
홰나무 괴(槐)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귀신 귀(鬼)자를 했습니다. 귀신 귀(鬼)자는 얼굴을 크게 그린 글자입니다. 발은 없이 이동할 수 있는 귀신을 상형(象形)한 글자입니다. 클 괴(傀), 흙덩이 괴(塊), 으뜸 괴(魁) 부끄러울 괴(愧)자들은 귀신 귀(鬼)자가 들어 있어서 ‘괴’로 읽습니다.
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