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우리역사문화연구모임(역사문)
 
 
 
 
 

회원 알림

 
  • 방문
    1. 족구왕
    2. 과거와 미래
    3. 김용만
  • 가입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 가입
    1. 베드로사랑.1004
    2. 튜니티
    3. HueMC
    4. 케로스
    5. 엄지
    1. 염화미소
    2. 빼앗긴 들에도 봄..
    3. 최바른
    4. 김월회
    5. 인권연대1
 
 
카페 게시글
고구려 토론방 연개소문의 여동생 연수영은 실존인물?
明治好太王 추천 0 조회 1,058 10.09.06 15:41 댓글 10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0.09.06 15:59

    첫댓글 전쟁양상은 정사와 아귀가 맞는군요. 을상은 물론 군주도 많지 않으나 고구려 관직으로 확인되는 것이고...매괴왕은 처음보는 표현이네요. . 새로이 등장하는 인명도 여럿 보이고...한편 개화에 대한 판단은 적당해 보이네요. 비문이 신뢰도가 높다면 내용상 쓰임새가 크겠습니다. 전문을 볼 수 없는게 아쉽군요.

  • 작성자 10.09.07 13:02

    唐奴라는 표현도 흥미롭습니다. 비문이 실존한다면 발해 황후 두 명과 더불어서 중공에서 공개 좀 했음 좋겠습니다. 뭐가 그리도 캥기는지...;; 당장 비문의 일부 내용만 봐도 캥길만 하긴 합니다만...^^:;

  • 10.09.06 16:48

    호오.... 굉장히 재미있는 이야기군요. 스크랩 해 가야겠군요. //
    그런데 근거자료의 출처가 좀 더 자세했으면 좋겠는데... 아쉽군요. 저 비석들이 어느 시대의 유물이고, 비문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등등... '카더라' 통신 이야기에 또 낚이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고..

  • 10.09.06 16:52

    원 글을 보다 보니 '연수영이라는 존재를 주목한 게 '2003년 중국이 유네스코에 청석관 유적지를 등록한 것이 계기' 라고 되어 있군요. 그리고 중앙일보 블로그에 연재된 거의 같은 내용의 글에서는 중국 측의 관보와 유네스코에 영문으로 기재된 등재자료의 내용이라면서 꽤 상세한 내용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http://blog.joins.com/media/folderlistslide.asp?uid=hwang450915&folder=13&list_id=11302787)
    그런데 해당 유적을 유네스코에 등록한 흔적을 찾을 수가 없군요. 유네스코에 등록했다는 건 아마 '세계유산'(world heritage) 으로 등록했다는 이야기일 텐데, 중국의 세계유산 리스트를 확인해도 청석관이나 개주 쪽 유적은 나타나

  • 10.09.06 17:02

    지 않습니다.
    http://whc.unesco.org/en/list/439/multiple=1&unique_number=510
    (참고로 지도상에서 압록강 중류 정도에 찍혀 있는 점은 집안-환인 일대의 고구려 유적입니다)
    위 링크가 아마 청석관에서 가장 근접한 위치에 있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의 위치인 듯한데, 이건 심양의 유적을 말하는 것입니다. 아래 지도를 보시면 동아시아에서 세계유산의 위치가 점으로 다 표시되어 있는데 2003년에 등재되었다는 청석관 유적은 찾질 못하겠군요. 유네스코에 영문으로 기재된 등재자료가 어디 있는지 혹 보신 분이 있으면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작성자 10.09.07 18:06

    발해 황후 묘지석 두 개와 더불어서 중공 쪽에 미공개 자료들이 더 있을 듯 합니다. 공개하지 않는 이상 비문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지 모르겠네요.^^;; 일단 그나마 알려진 비문의 일부 내용들이 어떤 경로로 공개가 되었는지가 궁금하긴 합니다. 황작가님에게 자료를 제공했다는 전영미, 전기복 남매 학자가 관건일 듯 싶은데...;;

  • 10.09.06 16:46

    그럼 이환경 작가는 선견지명? 근데 그 전에 대본이나 잘 썼으면....

  • 작성자 10.09.07 00:05

    딱히 선견지명도 아닙니다. 이미 드라마 방영 전부터 연개소문 여동생의 활약이 담긴 전설들은 어느 정도 알만한 사람들은 알았으니까요.ㅋㅋ 연수정이 설인귀에게 죽는다는 설정만 봐도 전설을 참고한 흔적이 역력합니다.ㅋ

  • 10.09.06 17:32

    흠. 저는 나중에 보충 수정하면 스크랩하겠습니다. ^^

  • 작성자 10.09.07 00:06

    오타 수정하고 환단고기 면에서 살짝 보충했습니다. 보다 상세한 자료는 위의 링크한 곳에서 보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