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2023. 1. 18. 수요일(음 임오년 섣달 스무이레)
며칠 뒤에 오는 2023. 1. 22.은 음력설날이다.
이날부터 토끼띠의 해 계묘년이 시작된다.
음력설에 대한 뉴스가 며칠 전부터 떴다.
세배하는 예법과, 차례상에 음식물을 올려놓은 배치에 관한 제도를 설명했다.
유교적 예법을 전하는 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는 설 세배에 대해서 설명했다.
세배 때 하는 절은 ‘전배’(展拜)로 공수 자세를 취한 후 몸을 굽혀 절을 하면 된다.
공수는 복부와 주먹 하나 정도의 간격을 두고 두 손을 배꼽 높이에 가지런히 모으는 것으로, 이른바 ‘배꼽 인사’를 말한다.
이때 음양 원리에 따라 남자는 왼손이 위로, 여자는 오른손이 위로 가도록 포갠다.
설명하는 내용에서 '공수'라는 낱말을 보았으나 나는 전혀 그 뜻을 몰랐다.
중국 한자말이라고 짐작한 뒤 인터넷 어학사전으로 검색했더니만 '공수'에 관한 낱말이 무척이나 많이 뜬다.
도대체 어떤 낱말(단어, 용어)이냐고?
한자 '공'은 인터넷어학사전에는 55개, '수'는 무려 183개이다
.'공'과 '수'로 '공수'라는 단어를 만들면 무려 10,065개의 낱말을 만들 수 있다
55 x 183 = 10,065
중국 한자말의 장점이자 단점이다.
'공수'라는 음은 귀에 하나로 들리지만 한자의 뜻은 상상을 초월할 수 없을 만큼 많다.
위 중국에서 전래된 유교 예법을 잘 아는 자들이나 쓰는 중국 한자말에 나는 고개를 흔든다.
중국말 '공수'를 한글로 써서, 눈으로 보거나 귀로 들으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게 도대체 무슨 말/뜻인가를 모를 게다.
인터넷어학사전으로 '공수'를 검색해서 조금만 여기에 올린다.
한자 모양은 제각각 다르고, 낱말의 뜻도 전혀 다르다.
空輸 : 낙하산, 헬리콥터 등으로 공중으로부터 적지에 투입되어 작전하는 부대
攻守 : 공격과 수비를 아울러 이르는 말.
拱手 : 1. 왼손을 오른손 위에 놓고 두 손을 마주잡아 공경의 뜻을 나타냄 2.팔짱을 끼고 아무 일도 하지 않고 있음
空首 : 1.구배의 하나 2.무릎을 꿇고 맞잡은 두 손을 땅에 댄 다음 머리가 손에 닿도록 엎드려 하는 절
空手 : 아무것도 없는 빈 손
空輸 : 항공기로 사람이나 화물 등을 수송하는 사업을 통틀어 이르는 말
工數 : 어떤 작업에 필요한 사람의 수를, 일할 시간 또는 일할 날짜로 나타낸 수치
供需 : 1. 수요와 공급을 아울러 이르는 말 2. 절에서 손님에게 무료로 대접하는 음식
供水 : 물의 공급
公須 : 1. 공공의 목적으로 씀 2. 공공 단체에서 공적으로 쓰는 비용
公水 : 공공의 목적에 사용되는 물
公需 : 예전에, 지방관아에서 공적으로 쓰이는 비용을 이르던 말
共守 : 공동의 적을 함께 막아 냄
공수(넋두리) : 무당이 죽은 사람의 뜻이라고 하여 전하는 말.
..... 이하 생략.
중국 한자말을 많이 알고서 이를 언어생활에 쓰는 한문쟁이들이 무척이나 그렇다.
설날이면 나는 집나이 일흔여섯 살이 된다. 내가 태어난 날을 기준으로 하면 만74살이다.
이렇게 나잇살 먹은 내가 중국 한자말을 몰라서 절절매는 꼬라지라니 내가 한심스럽다.
한편 중국 한자말을 많이 알아서 유식한 것들에 대해서는 나는 할말이 많이 있을 게다.
'정말로 잡것들이다', '지랄하네'라고 말하고 싶다.
음력설을 쇠면 나는 한살을 더 먹는 늙은이이가 되어서 등허리는 앞으로 더욱 숙여져서, 굽혀질 게다.
어째거나 ... 나는 우리말이나 제대로 했으면 싶다.
우리말을 세종대왕이 만든 한글로서 말하고, 글 쓰고 싶다.
그냥 쉬운 말로 말하고, 쓰기 쉬운 한글로 글 쓰고 싶다.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다' 라는 생각으로 생활하고 싶다.
2023. 1. 18. 수요일. 맑음
햇살이 내 아파트 유리창가로 서서히 다가온다.
햇볕이 나면 나는 덩달아서 마음이 훤해지며, 밝아진다.
추운 1월 말경에 태어난 나는 따뜻한 햇볕과 맑고 환한 날씨가 훨씬 더 좋다.
첫댓글 유리창으로 들어오는 따사로운 햇쌀이 이처럼 반가운데오
댓글 고맙습니다.
몸은 서울에 있어도 마음은 늘 시골에 내려가 있습니다.
시골집을 에워싼 텃밭에서 흙 파고, 풀 뽑고, 나무 심으면서 일하고 싶지요.
일하다가 지치면 차 타고는 조금만 달리면 서해바다가 시원하게 펼쳐지지요.
저는 거친 일 못해서 환장한 것처럼 서울에서 지냅니다.
시골사람은 흙냄새를 맡고 살아야하는데도 이게 무슨 일이래유.
서울에서는 할일이 없기에 날마다 컴퓨터를 켜서 회원님의 글을 읽고, 나도 이렇게 잡글이나 끄적대지요.
지존님이 부럽습니다.
일 열심히 하시니까요.
음양 원리에 따라 남자는 왼손이 위로,
여자는 오른손이 위로 가도록 포갠다.
오른손이 위로 가도록 포개야하는데....전 포갤일 있음
왼손을 위로가게 포개게 됩니다...왜냐면 ..오른손보다
왼손이 쫌더 고운거 같아서요.......잉~
댓글 고맙습니다.
저는 음양의 원리는 모르겠고요.
저한테는 아버지보다는 어머니가 먼저입니다.
어머니가 나를 뱃속에 잉태했고, 배 아프게 낳아서 젖을 물려서 키웠지요.
저는 쌍둥이었기에 젖이 부족했을 터 죽을 끓여서 이빨로 잘근잘근 씹어서 쌍둥이한테 퍼 먹였을 겁니다.
위 왼손.. 오른손의 위치가 다르면 법에 저촉되어서 처벌을 받나요?
형식적인 것을 억지로 만들었던 과거의 양반네들이 그렇네요.
이씨조선...이런 유교문화를 철저히 지켰던 이씨조선... 세계에서 엄청나게 가난했고. 일본한테 망했고....등.
유교문화가 낳은 후유증이....
국민 위주로, 민주주의 생각으로 문화가 바꿨으면 합니다.
제사문화를 더욱 축소해서.... 편안한 서민으로 발전했으면 합니다.
종가집 종손인 제가 이렇게 말하다니... 그냥 편한 대로 가야겠습니다.
이런 거 몰라서 잘 먹고, 잘 사는 세상이었으면 합니다.
중어중문과 전공 둘째에게 물어도 잘 모른다고... 중국어 발음 좋아서 물어 보았거던요
코로나 시국에 친인척 모이지 못하다보니
기제사 명절에 대한 인식이 대폭 변했어요
그것도 지역이 아닌 나라 통채
국민의 생각에 공자 유교식 예법이 후퇴하게 되었어요
올해 공수 절 예법 공포하고
전 부치지 말라
과일 안올려도 된다
간소화 편리함으로 다가 갑니다
우리 세대에 이루어지니
초스피드 세상 삶이 실감 많이 납니다
앞으로의 세상은 더욱 빠르게
한 획이 그어질것임이 분명하기에
정신 똑띠 차리고 편승해야할듯 싶어요
종교적으로는
여자도 왼발이 오른발 위로 포개지게
절을 합니다
댓글 고맙습니다.
저는 이런 거 몰랐지요.
지금껏 숱하게 절을 올렸고, 어린시절 청년시절에는 동네 세배하러 다녔지요.
제 어린시절에 동네 어른한테 세배하러 갔지요.
쌍둥이 형제가 세배 절을 두번이나 올리니 노인들이 껄껄 웃으시면서 알려주시대요.
세배 절은 한 번이고, 사람이 죽으면 두 번 절을 하는 것이라고....
저는 그런 거 별로 믿지 않습니다.
위 자세한 설명.... 이런 거 몰라도 저는 지금껏 살아오고 있지요.
저.. 시골에 내려가면 십여대의 종가종손이거든요.
제 어린시절에 보았던. .. 그 숱한 예법들이.... 모두 형식이기에 지금 저는 편안한 대로 절을 올립니다
위 예법 겁이 나는군요. 저는 알지도 못하는 예절이기에.
최 선생님 덕에 '공수'에 대하여 배우고 갑니다.
박민순 작가님.
댓글 고맙습니다.
아름다웁고 쉬운 우리말이 있는데도 구태여 그 어려운 중국 한자말을 써서
유식한 체하는 것들을 보면 .... 답답하대요.
우리나라 독립하려면 아직도 멀었나 봅니다.
대한민국은 영토가 작아도 문화유산은 세계적입니다.
우리 문화 가운데 우리말과 우리글자가 으뜸이지요.
아직도 우리말에 서툰 저를 반성합니다.
아 많이 배웠습니다.
댓글 고맙습니다.
제 어린시절... 초등학교에 대전으로 전학갔지요.
돌집손자, 돌집아들이었기에 할아버지방에는 비석에 새길 비문.
붓으로 한문글자를 쓰던 노인들을 많이 보면서 자랐지요.
말총 망건을 쓰고, 도포자락 흔들던 노인들은 온통 한자로만 .... 붓으로 써서
빗돌에 붙여서 쇠정으로 쪼아 새기대요.
저한테는 그거.. 글씨가 아니라 그림이었지요.
전혀 읽지도 못하는 거. 그거 우리말로 소리내어 쓴다고 해도 이해가 되나요?
전혀...
위 성균관.... 어쩌구저쩌구 하는 노인네가 말한 '공수' 도대체 그게 무슨 말이냐고요?1
우리말을 모르는 것들이 유식한 체를 하는 꼬라지이대요.
겨울이면 햇볕이 더 고맙게 느껴집니다
오늘도 만보걷는데 바람이 차가왔지만
기분좋게 걸었습니다
댓글 고맙습니다.
잘 하셨군요.
햇볕은 났어도 쌀쌀하고 추운 날이었지요.
하루에 만보 걸었으니 몸건강 마음건강하셨군요.
날마다 걸으면 기분 더욱 좋아지겠지요.
저도 오후에 서울 송파구 잠실에 있는 석촌호수로 나가서 한 바퀴 2,565m 걸으면서 뜀박질하는 체하면서 돌았지요.
날씨는 추워도 마음은 밝아지대요. 추위 속인데도 봄이 들어 있으니까요.
꽁꽁 언 땅인데도 식물은 움틀 준비를 하더군요.
자꾸만 사그라지는 겨울을 아쉬워 해야겠습니다.
봄이 다가오기에....
하루 만보씩 걷는 체력과 마음건강을 칭찬합니다.
공수래 공수거 이런 말도 있던데요 ㅎㅎ
젤 추울때 태어나신 최윤환님
댓글 고맙습니다.
운선 작가님은 어려운 한자문구를 많이 하시는군요.
한자말이 어려워서 그냥 우리 토박이말을 더 아끼렵니다.
아쉽게도 어린시절 객지로 떠나서 토박이말을 많이도 잊었지요.
고향 옛어른들이 썼던 말이.... 이제는 거의 다 사라졌지요. 그거 누군가가 모아서 기록해야 했었는데...
예...
저 추운 겨울에 태어났지요. 양력으로는 1월 하순에. 곧 제 진짜 양력설이 오는군요.
일전... 음력생일을 보냈지요. 손주들한테 둘러싸여서...
절을 할 때 어느 손이 위로 가면 어떻습니까?
옛 사람들 할 일 없으니 그런 걸 다 예절이라고 정 한 거 같습니다
인사는 윗 사람에게 공손한 자세로 하면 되는 거라 여깁니다
저는 집나이 일흔다섯살.
지금껏 숱하게 절을 했고, 또한 초상집 문상에 가서도 절을 올렸습니다만
남자의 손, 왼손이 위로 간다는 사실을 위 사례를 보고 처음 알았습니다.
이해가 안 되는 예법이군요.
왜 그래야 하는데? 라는 의문과 질문이 숱하게 나올 것 같습니다.
님의 견해대로 그냥 편한대로 자연스럽게 절을 했으면 합니다.
제 손자는 저한테 세배하면서 장난을 칩니다. 자연스러운 예법, 간소화한 예의가 보존되었으면 합니다.
찌그러져 사라져야 할 구닥다리 중국 옛풍속을 왜 우리나라가 아직껏 지켜야 합니까?
쪼다 이씨조선을 병들게 했던 양반 유교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