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인천항 항만배후단지 물동량 56만5천TEU로 사상 최대치 달성
○ 인천항만공사(www.icpa.or.kr, 사장 최준욱)는 지난해 인천항 항만배후단지에서 사상 최대 물동량 56만5천TEU를 처리했으며, 이에 따른 배후부지 물동량 부가가치 발생성과가 2,573억원에 달한다고 13일 밝혔다.
○ IPA에 따르면, 2021년 물동량과 배후부지 물동량 부가가치 발생성과는 각각 47만8천TEU, 2,116억원이었으며, 글로벌 경기침체 장기화 등 대내외 환경 악화에도 각각 18.3%, 21.6% 상승이라는 주목할만한 결과를 이뤄냈다.
○ IPA는 ▴입주기업 역량강화 지원사업 ▴마케팅 지원 ▴인천항 항만배후단지 홍보 ▴입주기업 사업실적 평가 등 입주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추진한 노력이 물동량 상승으로 이어졌다고 분석하고 있다.
○ 특히, 2021년 인천 신항배후단지가 개장 이후 입주기업의 순차적 운영개시로 전년 대비 6배 수준인 4만TEU, 아암물류2단지는 ODCY 완전개장으로 전년 대비 2.5배 수준인 15만4천TEU, 북항배후단지 북측이 신규 개장으로 6천TEU를 달성하면서, 지난해 물동량의 44%를 기록한 신규 항만배후단지의 공급 효과가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올해 인천항 항만배후단지 목표 물동량은 전년 대비 10% 상승한 62만TEU로 2개 기업의 운영개시 및 지난해 운영개시한 기업의 안정화 시 물동량 상승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 지난해 인천항 항만배후단지 고용실적은 1,949명으로 역대 배후단지 고용실적 중 최대치를 기록했으며, 전년 고용실적인 1,726명 대비 12.9% 상승한 실적이다. 또한, 지난해 정규직 고용실적은 전년 대비 226명 증가한 1,602명이며, 총 고용인원 대비 정규직 비율은 전년 대비 2.5%p 증가한 82.2%이다.
○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경영환경 악화에도 신규 항만배후단지 공급으로 양질의 일자리가 다수 창출된 것으로 풀이된다.
○ 인천항만공사 김종길 운영부문 부사장은 “역대 최대 물동량 달성은 IPA와 입주기업이 함께 노력한 결과”라며 “경쟁력 있는 물류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한편, 인천항 배후부지 부가가치 발생성과는 배후부지의 물동량 창출을 통한 부가가치 발생효과를 측정하고 지역경제 및 인천항 기여도를 평가하는 성과지표로, 물류활동을 통해 발생하는 직접적인 경제적 효과와 경제적 파급효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산출된다.
출처 : 인천항만공사